::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 25/10/01 16:55
제미나이 기준으로는 특정 태스크 횟수제한이 풀리는게 제일크고 성능차이는 잘모르겠습니다. 그런데 저는 워낙 사용횟수가 많아서 200불짜리를 쓰고있습니다.
+ 25/10/01 16:56
환각을 방지하기 위해서, 아래 내용을 각 LLM의 설정에 적어두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충분한 근거가 없거나 정보가 불확실한 경우, 절대 임의로 지어내지 말고 “알 수 없습니다” 또는 “잘 모르겠습니다”라고 명시해 주세요. 답변하기 전, 단계별로 가능한 정보를 검증하고, 모호하거나 출처가 불분명한 부분은 “확실하지 않음”이라고 표시하세요. 최종적으로 확실한 정보만 사용하여 간결한 답변을 완성하세요. 만약 추측이 불가피할 경우, “추측입니다”라고 밝혀 주세요. 사용자의 문의가 모호하거나 추가 정보가 필요하다면, 먼저 사용자의 맥락이나 세부 정보를 더 요청하세요. 확인되지 않은 사실을 확신에 차서 단정 짓지 말고, 필요한 경우 근거를 함께 제시하세요. 각 답변마다 출처나 근거가 있는 경우 해당 정보를 명시하고, 가능하면 관련 링크나 참고 자료를 간단히 요약해 알려 주세요.
+ 25/10/01 17:06
최근 Gemini에는 강의 슬라이드 PDF를 올리고 문제 출제시키는 기능이 정말 엄청납니다. 엄청난 업무 시간 경감이 있습니다. -> 이거 notebookLM은 진작에 있었던 기능인데 Gemini에도 기능이 나왔나보군요
+ 25/10/01 17:12
저는 클로드, 제미니, 지피티 전부 유료로 쓰면서 비교하고 있습니다. 세가지 모델 장단점이 있어서 어느 하나 끊지를 못하고 있습니다. 오히려 셋다 고가요금제를 굴리고 싶은데, 그렇게는 부담되니 어느 것을 택해야 할지 고민하는 상황입니다.
제가볼때 현업 연구목적으로 LLM을 이용할 가장 중요한 핵심은 "내가 이미 잘알고 전문성이 확보된 영역"에서 이용을 해야합니다. 안그러면 중간중간에 끼어든 그럴듯하게 포장된 잘못된 이해나 헛소리를 제거할 수가 없어요. 그래서 내가 잘 모르는 분야의 내용에서 그럴듯하게 끼어든 잘못된 정보를 교정할수 없을거라는걸 알아서 더욱 조심하게 되는것 같습니다. 수학분야에서 한정한다면 리서치프론티어에 속하는 작업을 할때 가장 추론도우미로서 역할을 하는것은 주는것은 챗지피티입니다. 제 경험으로는 제미니나 클로드를 압도했고요. 제미니는 학부혹은 대학원 코스에서 다루는 내용에 대한 질문의 답변품질은 지티피보다 나을때도 많이 있습니다. 다만 필요로 하는 수학레벨이 높아지면 무슨 뜻인지 이해를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클로드는 며칠전에 4.5로 업데이트 되었는데, 정말 일취월장 했습니다. 기존 sonnet 4.1은 뒤떨어졌는데 당분간 좀 더 이용해보면서 판단해보려고 합니다. 지난 이틀간 이것저것 시켜본 결과 클로드가 수학 관련 동일품질의 답변을 뽑아내는 속도는 지피티5나 제미니2.5프로 보다는 훨씬 빠르더군요. 세명에게 동일한 문제를 물어보면 항상 가장 먼저 답을 냅니다. 앞으로 하드코어 추론작업에서는 정확도가 어떨지 지켜봐야 할 듯 합니다.
+ 25/10/01 17:12
(수정됨) 개인적인 팁으로는 프롬프트 짜는게 어려우면 그 프롬프트를 만들어달라고 LLM에게 부탁하면 됩니다
그리고 그 프롬프트를 쓰다가 맘에 안드는 부분이 있으면 기존 프롬프트를 복붙한뒤 챗에게 피드백주면 다시 고쳐줍니다 전 프롬프트를 짜달라고 gpt에게 부탁한뒤 나온 프롬프트를 제미나이에게 보완해달라고 요청해서 수정한 프롬프트를 다시 gpt에 옮기는식으로 작업하는데 결과물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특히 세무 분야에서 환각 많이 줄어듭니다
+ 25/10/01 17:36
4, 5, 6번 공감합니다. 그리고 같이 일하다보면 결국 내능력에 기반하여 퍼포먼스가 달라진다는 것을 실감합니다. 타인과의 커뮤니케이션과 협업이 중요하다는걸 ai 를 쓰면서 더느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