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 25/10/09 06:29
본문 첫문단에서 자본주의와 민주주의를 근본적으로 대립하는 가치로 설정하셨지만..
두 시스템은 서로 충돌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서로의 존재를 통해 현대적 생명력을 얻는 상호보완적 관계로 보는 것이 더 현실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자본주의와 민주주의의 관계는 마치 그림의 명도와 채도처럼, 각기 다른 차원에서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적이지만 유기적인 요소입니다. 자본주의가 물질적 풍요와 혁신을 이끌어내는 동력역할을 한다면, 민주주의는 그 동력의 방향이 편중되지 않도록 운전대 역할을 하며 장기적인 시스템 안정시키죠. 두 시스템이 현대에 가장 보편적으로 양립하는 것은, 이들의 결합이 다른 조합들보다 현대 사회의 복잡성에 가장 적합한 우월한 시스템임을 역사적으로 증명했기 때문입니다. 간단하게 `공산주의+민주주의, 자본주의+독재, 공산주의+독재 <<<<<<<<<< 자본주의+민주주의` 입니다. 민주적 절차는 단기적으로 '비효율적'으로 보일 수 있으나, 법치주의와 사회적 동의를 기반으로 자본주의의 예측 가능성을 높이는 핵심 인프라라고 볼수도 있구요. `민주적 절차가 자본의 이익을 위한 '도구적 수단'으로 변질되었다`는 부분은, 오히려 이들이 '대립'이 아닌 '생존과 번영을 위해 서로를 이용하는 공진화관계'에 있다는 강력한 근거가 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두 시스템 간의 긴장은 분명히 존재하지만, 그 본질을 '대립' 이라고 할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 25/10/09 06:56
그리고 AI와 자본주의를 거의 동치로 놓고 설명하시는것에도 비판점이 있습니다.
AI는 본문에도 나왔듯, 어디까지나 `기술`입니다. 공산주의적 관점이긴 하지만, `자본주의는 이윤을 만드는 노동(사람) 대신, 이윤을 만들지 못하는 기계(기술)에 너무 많은 투자를 하게 된다는 모순을 내포한다.' 이 부분에서 기술이 극대화 되는 경우를 AI가 야기하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본문의 `자본의 힘이 노동의 가치를 영구적으로 능가하게 되었음` 과 같은 결이죠. 따라서 본문의 AI의 부작용은, 민주주의보다는 자본주의를 공격한다고 생각합니다. 차라리 `자본주의와 한편인 AI가 민주주의를 무너트린다.` 라는 내용보다는 `AI가 철인정치를 하게되어 민주주의를 무너트린다`라는 내용으로 전개 되었으면 동의할수 있을것 같습니다. 그리고 다른부분들은 `AI가 여론에 미치는 부작용` 이라고 해야겠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