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11/03 12:12
    
        	      
	 6점으로 두되 월즈를 먹은 선수와 못 먹은 선수로 나누는 건 가혹할라나요 크크크크
 
가중치를 다르게 한 결과값들을 보는 것도 재밌을거같네요 
	25/11/03 12:35
    
        	      
	(수정됨) LCK 가 독주하다보니 약간 양궁 느낌이 나는데, 저도 위에 분들과 비슷한 느낌입니다. 
 
심지어 우리나라에서는 국대 선발전이나 전국체전(?)도 우승은 무지하게 힘들지만 위상은 올림픽 금메달이 월즈 비유인 것 같고, 금메달을 따고 나서 나머지 아시안게임, 세계선수권 등의 비유가 맞을 것 같아요. 쵸비와 젠지를 응원하다보니 비유해보면 전국체전, 아시안게임, 세계선수권 다 우승하고 있지만 정작 가장 위상이 높은 올림픽 가서 매번 준결승 탈락 느낌입니다. 그것도 기대와 달리 상당히 안 좋은 모습으로. 
	25/11/04 00:07
    
        	      
	 그러게요.. 므시 점수로 치면 3점 주면 무난한거 같으면서도, 우승 난이도가 월즈보다 그렇게 월등히 쉽냐? 면 아니죠 어케보면 월즈랑 별 차이 없다고 할 수도 있겠어요.  근데 말씀대로, 한국 양궁으로 보자면 전국체전이나 국대선발전 난이도가 올림픽 난이도랑 별반 차이가 안날텐데, 그거 암만 우승해도 올림픽에서 성과를 못내면 좋게 평가받을 수가 없긴 합니다.
 
다른 프로스포츠랑은 다르게 롤 경기는 롤드컵 위상이 너무나도 높아서, 비상업 스포츠에서 올림픽 같이 거기서 성과를 못내면 탑급으로 평가하기는 어려운 느낌이네요 
	25/11/03 12:54
    
        	      
	 므시를 6점 이상 주는 사람은 거의 없을 껍니다
 
특히나 LCK 에서는요 LCK에서는 월즈 만능론이 나올 수 밖에 없을 정도로 월즈 우승을 독식했으니 그 외 대회 비중이 낮을 꺼고 반대로 유럽, 미국, 동남아, 라틴 쪽은 그래도 희망볼 수 있는 므시 우승을 높게 치겠죠 
	25/11/03 12:56
    
        	      
	 월즈 든 선수들에게 므시 몇개를 월즈 하나와 바꿀수있니 물어보면 므시를 암만 많이 준다해도 그걸 고를 사람이 있나싶긴해서(페이커 제외) 월즈가 12점이면 므시는 한 2-3점? 정도 줄수있을거같습니다
 
리그 2점 므시 3점 정도 
	25/11/03 13:35
    
        	      
	 므시 3점을 준다해도 므시4개를 1월즈라고 할 사람은 없을거같아서..
 
일단 월즈1개있는사람기준으로 2/5/12 이렇게 가야하지않나.. (지역리그2개보단 므시가 높았으면 하고, 므시2개보단 월즈1개가 더 나았으면 해서.) 월즈0개인 사람끼리는 따로 비교해야...? 
	25/11/03 14:30
    
        	      
	 위의 몇 분들 말처럼 그냥 월드를 든 선수들끼리 챙기는 가산점 같은 것 같아요. 아니면 월드를 안든 사람끼리 약간의 서열을 나누는 정도.
 
리그우승 10번을 롤드컵이랑 바꾸고 싶다는 말이 있는 것처럼. MSI도 그럴 것 같긴해요. 
	25/11/03 15:47
    
        	      
	 잘 봐줘야 3-4점?
 
https://www.pgr21.co.kr/humor/505183?divpage=93&ss=on&keyword=%EC%BB%A4%EB%A6%AC%EC%96%B4 좀 지난 자료지만 어차피 저기서 월즈를 추가한건 그 노인이니 4점만 해도 샤오후는 역2미 확정급인데 그 정도 평가를 받는가? 하면 답이 나오죠 
	25/11/03 15:47
    
        	      
	 전 6 이상 이라 봅니다. 보기 깔끔한 건 6이고요.
 
한국에서 공식적으로 대회를 평가하는 경우는 생각나는게 딱 하나, LCK 균형지출제도에서 감면조건인데, 월즈와 MSI는 2점으로 동점입니다. FST는 1점이고요. 동일한 팀들에게 동일한 출전기회가 주어진 세계대회를 점수비중을 절반 줬다고 높다고 뭐라하는 건 크게 잘못됐다 생각해요. 저는요. 
	25/11/03 15:54
    
        	      
	 솔직히 그냥 월즈가 전부인거 같아요. 그냥 2점 정도
 
왜냐하면 시간 지나고 보면 msi 우승 몇번 했더라 누가 했더라 이런거 사람들이 크게 기억을 안하더라고요. msi를 몇번 우승하다니 훌륭한 선수구나~ 하지도 않고요. 
	25/11/03 16:03
    
        	      
	 냉정히 말하자면 롤판은 라이엇이 만든 권위로 인해 월즈를 제외하면 모든 우승은 값어치가 월즈 예선전용이라서.. 높게 쳐줬자 3점이네요. 
 
	25/11/03 16:50
    
        	      
	 므시는 3점 넘겨서 주기는 좀 그렇다고 봅니다. 4점이면 샤오후를 월즈 위너 취급해줘야 하는데, 어디 샤오후 위상이 그런가요. 
 
	25/11/03 17:58
    
        	      
	 걍 상금이 크다정도 
 
월즈와 리그까지 우승하며 아직 아무도 달성못한 골든로드를 달성했을때는 의미가 있다보지만 결국 월즈를 못먹는 세계선이면 큰의미없다봄 
	25/11/03 19:05
    
        	      
	 msi는 월즈에 비하면 그냥 이벤트전 느낌입니다.
 
그다지 가치는 없지만 또 없으면 평가절하 당하는 계륵 같은 거요. 굳이 점수를 주자면 3~4점인데 이거 서너개를 들고 와도 월즈 하나랑 비교는 안되는 것 같네요. 
	25/11/04 06:19
    
        	      
	 월즈를 하나도 못든 상태에선 셈하는게 의미가 많이 희박해지고
 
샤오후가 3개를 먹었는데 평가를 보면 하나라도 땃다면 3정도가 적당해 봅니다 
	25/11/04 06:45
    
        	      
	 4점이라고 생각하는데, 그렇다고 3개가 모인다고 월즈랑 같아지는건 절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커리어 정량화 할 때는 쓰이지만 일단 월즈 카운팅하고 그 뒤로 생각. 
 
	25/11/04 09:11
    
        	      
	 총상금으로 봤을때 
 
월즈 총 500만 달러 msi 총 200만 달러 위에 샤오후 얘기 하시는데 샤오후 3MSI 는 월즈 1개정도 쳐줘도 되지 않나요? 옛날 MSI는 더 이벤트 느낌이긴 한데.. 물론 다 개인적인 의견이고 의미는 없다고 봅니다 크크; 
	+ 25/11/04 13:43
    
        	      
	 전 월즈 제외하고 모든 대회 우승해도 월즈 우승이랑 비교가 안된다고 봐서 0.1점이요
 
월즈만 혼자 자릿수가 다르게 놀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10점-1점도 과대평가인거 같아요. 100점-한자릿수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