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 25/11/05 16:49
상징성도 있지만 고교/대학 야구 감독, 코치같은 강력한 기득권과 연결되어있어서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미루고 미루고 미루다 나중에 불가항력적으로 되었을때 바뀌겠죠.
+ 25/11/05 16:59
(수정됨) 이전에 유스 클럽 운영의 실패의 가장 큰 이유는 서울공화국 때문입니다
인재들이 애초에 어릴때부터 싸그리 서울권에 모이니 지방구단들은 그것 때문에 지역연고 우선권도 폐지하고 전국단위 지명을 하게 되엇구요. 삼성,한화,롯데 등등이 지원을 못한게 아닙니다 지금도 북일고는 최고의 지원을 해주죠 애초에 프로에 갈 실력이 있는 상위 1% 애들이 중,고등학교때 이미 서울로 다 몰려서 문제였던거죠 지금은 오히려 이게 해소 됐습니다 그이유는 사교육으로 점점 야구가 변화되고 사설교육기관 때문에 야구 훈련의 질이 점점 평등화 됐습니다 그러니 애들이 굳이 서울 안가고 지방에서 학교 다니면서(오히려 주전의 기회도 생기고) 주말에 서울이나 기타 지방에 있는 사설기관에 따로 훈련받으면서 해소됐죠 사설기관의 폐해를 말하는 사람이 있지만 오히려 저는 긍정적인 측면이 더 많다고 봐요 지방에 있는 학교 선수들 진짜 주말만 되면 수도권이나 지방 중심지에 있는 사설학원 엄청 다닙니다
+ 25/11/05 17:02
축구는 승강재로 수많은 구단이 있고 그 구단들이 다 유소년 체제를 하니까 인제 풀이 유지가 될 거 같은데, 야구는 1군 구단이 몇 개 안 되잖아요.
그 구단이 유소년을 해도 몇 개 안 명 안 될 거 같은데 그 몇 명 안되는 유소년으로 인제 풀을 할 수 있을까요?
+ 25/11/05 17:03
10대 나이대에 좋은 선수가 되기 위한 훈련이 아니라 당장 이기기 위한 훈련을 하는게 안좋은건 종목 불문 확실한 사실이지만
고교야구,대학야구 생태계에서 사는 사람들 전부 실업자 만들고 드레프트 제도라는 뿌리까지 갈아야 하는 작업이라 할 수있는 사람이 없을듯
+ 25/11/05 17:08
이러나 저러나 유소년 레벨에도 대형 자본이 들어와야 버틸 수 있긴 합니다
지역 소상공인들 때문에 코스트코 입점하면 안된다 이런 얘기로 들려요
+ 25/11/05 17:13
축구는 주전으로 뛴다던지 해외진출에 용이함을 위해 일반고 선택도 하는게
야구는 잘 모르겠네요... 바로 미국가면 마이너리그 허덕이다 고생하니 먼저 크보에서 증명하고 나가는게 정루트라... 일반고에서 힘들어하지않을까하는 생각도 드네요
+ 25/11/05 17:23
(수정됨) 호남야구가 왜 강한줄 아세요. 그 시작은 군산상고돌풍이었어요. 이용일이란 사람이 군산의 유소년들 모아 야구부만들고 공짜로 운운동시켰어요. 개들을 군산상고 진학시켜서 우승시키면서 전국적으로 붐을 일으켰어요. 김성한이요 고아였는데 학교가 집이었다고 했어요. 그러니까 광주일고야구대부 김종태가 그걸벤치마킹해 호남야구를 부흥시켰어요 그게 해태타이거즈전성기의 시작이었어요. 훗날 이용일은 한국프로야구의 기획자가 됐구요. 유소년야구는 그렇게 키워야 해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