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10/12 15:53
1. krx 투자는 유튜브 보면 상세히 나와 있습니다.
증권사 가실 필요없구요. 그냥 앱다운 받아서 금거래 계좌 만드시면 됩니다. 전혀 어렵지 않구요. 유튜브 따라하시면 금방 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로 현재 김치프리미엄이 많이 붙어있습니다. 대략 20프로 정도? 그러니까 국제 금시세보다 한국 krx에서 거래를 하려면 20프로 비싸고 주고 사야 한다는 말이죠. 따라서 거래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실물 거래도 가능합니다만 구입 시 부과세 10프로가 부과됩니다. 아니면 미국에 상장되어 있는 금 ETF에 투자하셔도 됩니다. GLD, IAU 를 주식 사듯이 사면 됩니다. 2. 25프로 정도 투자면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만, 투자는 개인의 선택입니다. 대박나세요.~
25/10/12 19:56
댓글 감사합니다. 김프가 금에도 해당되는군요...
금은 많이 올랐다고 보시는 지요? 투자를 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이네요.
25/10/12 17:55
1. 과세 관련해서 보면 KRX금시장에서 사는게 제일 좋아보이는데, 첫댓글 말대로 지금 김프가 껴있기도 하고 이 문제가 자주 발생한다는 점은 고려하셔야 해용
2. 부동산이 인플레 헷지라는 면에서 주요 투자자산 중에서는 금이랑 성격이 비슷하니, 금 비중을 25%는 꽤 많은 듯하며, 예적금과 같이 원금보장되는 안정적인 투자수단 말고 주식(코스피, S&P 500, 나스닥 ETF 선에서 고려하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개별주나 뭐 다른거 신경쓰지도 말고), 채권 등도 고려해보셔용
25/10/12 19:58
감사합니다. 김프가 신경이 쓰이네요..
금 비중보다 코스피 주가 자체에 투자하라는 말씀이실까요? 돈이 많은 편도 아니고 저도 헷지에 신경을 쓰고 싶어서 위험보다는 안정성이 중요하다보니 신경이 많이 쓰이네요. 좋은 의견 있으시면 부탁드리겠습니다.
+ 25/10/12 21:31
묻어가는 질문으루요...
김프가 있다면 팔때까지 김프가 있으면 마찬가지 아닌가요? 20프로 비싸게 사고 20프로 비싸게 팔면 또이또이 아닌가요...
+ 25/10/12 22:25
(수정됨) 1. KRX 금시장 : 증권사별로 수수료가 많이 차이남 + 어떤 증권사는 거래는 싼데, 보관수수료를 받음 (1년 보유시 총수수료가 다른회사와 동일해 짐), 대신 매매차익이 비과세
2. 금 현물 ETF : ACE 금현물, Tiger 금현물이 있고, Kodex 금 액티브 가 있음 앞에 2개는 국내 KRX시세, 뒤에 Kodex는 국제 금 시세라서 김치 프리미엄이 없음, 대신 16.4% 매매차익 과세, 금융소득종합과세 (연 2000만원 이상이면, 근로소득과 함께 과세, 의료보험 추가) 3. 금 선물 ETF : 금은 보관비용이 비싼 상품이라서 선물가격이 현물에 비해서 늘 낮음. 개인이 투자할 필요가 있을지.... 4. 미국 금 현물 ETF : GDU/IAU (금1배), SHNY (금3배) 등, 매매차익 22% 과세 1번이 제일 좋은데, 1번은 시장이 얇아서, 누가 맘먹고 밀어버리면 최근에 하루에 10%씩 밀리기도 하고, 김치 프리미엄이 높을 때는 국제금보다 5-20%씩 비싼 금을 사야 됩니다. 연평균 김치프리미엄이 3% 선입니다. 그리고, 거래하는 증권사를 잘 고르셔야 됩니다. 생각보다 거래비용이 비쌉니다. 현물로 출금이 가능합니다. (10% 수수료 지불) 1번 다음은 2번인데, 2번은 ISA나 비과세/분리과세 계좌에서 해야합니다. 잘못하면, 이자소득세 2000만원으로 큰 낭패가 생깁니다. 3번은 요즘 별로 안하는 분위기인데, 이것도 시장을 잘아는 분들은 용도가 있다고 하시더군요. 비과세/분리과세 계좌를 못쓸때는 4번도 괜찮습니다. 일단 다른 미국주식과 동일하게 취급하면 되고, 3배 상품도 있어서, 금의 느린 상승에 도파민이 부족하면 투자할 수 있습니다. 좀 더 과감한게 좋으면 gdxu 같은 금채굴 3배 etf도 있습니다. 이런건 하루에 5-10%씩도 변동이 있죠. (보통 금채굴 지수가 금 상승기에, 금값상승에 1.5-2배 변동)
+ 25/10/12 22:38
아예 장기보관용이고, 매매를 할 생각이 없으시면 금 거래소에서 사시는 것도 좋습니다. 투자용금이라고, 바 형태로 가공안하고, 대충 형태만 잡아놓은 것들은 KRX보다 6% 정도 비쌉니다. 금거래 플랫폼에서 사서 근처 한국금거래소에서 가져가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