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4/09 15:53:12
Name 글곰
Subject [일반] 삼국지 드래프트? 숨은 진주를 찾아보자 (2) (수정됨)
  삼국지의 과소평가된 삼국지 인물들을 찾아보자! 그 두 번째 시간입니다.

  지난 시간에 다루었던 양홍(https://www.pgr21.co.kr/?b=8&n=80690)의 인지도가 정말이지 바닥을 기는 것과 달리, 이번에는 양홍보다는 조금 더 유명한 사람인데요. 보통 ‘마초를 설득하여 유비에게 데려온 사람’으로만 기억되는 이회가 오늘의 주인공입니다. 하지만 이 양반, 사실 알고 보면 생각보다 훨씬 대단한 사람이에요.

  자가 덕앙(德昂)인 이회는 익주 건녕군 출신입니다. 원래 독우라는 별 거 없는 벼슬을 하다가 하필이면 고모부인 찬습이 사고를 치는 바람에 연좌되어 파면당해 버렸지요. 하지만 그 고모부가 나름대로 방귀깨나 뀌던 사람이었던 덕분에 그는 다시 벼슬길에 나설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임명장을 받으러 성도에 도착하기도 전에 대격변이 생깁니다. 유비가 유장 공격에 나선 것이죠. 이 때 이회는 뛰어난 판단력을 발휘합니다. 이 전쟁에서 반드시 유비가 승리할 것이라 생각하고는 방향을 바꾸어 그를 만나러 간 거죠. 뜻하지 않은 항복에 기뻐한 유비는 전쟁을 치르는 동안 이회가 자신을 수행하도록 지시합니다.

  이후 마초가 곤궁에 빠졌을 때 유비는 이회를 파견하여 마초를 회유합니다. 이 중대한 임무를 이회는 완수해내지요. 유비는 마침내 익주를 평정한 후 이회를 익주의 공조서좌주부(功曹書佐主簿), 즉 요즘으로 치면 인사담당비서관 정도로 임명합니다. 이후 이회는 모종의 반란 음모에 엮여 체포되기에 이르지만 유비가 이회의 결백함을 밝히고는 오히려 그를 별가종사(別駕從事), 즉 익주목인 자신의 수석 보좌관이자 주(州)의 이인자 자리로 승진시키기까지 하지요.

  이러한 저간의 사정을 살펴보면 유비가 그의 능력을 몹시 높게 보았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삼국지연의에서 나타난 것처럼 단지 말빨로만 먹고 산 사람은 아니었다는 거죠. 물론 말솜씨가 대단하긴 했습니다만.

  하지만 이회의 진정한 능력은 오히려 그 뒤에 나타납니다. 당시 익주의 남부 일대는 남중(南中)이라고 불렸는데, 삼국지연의에서 흔히 [남만지역]이라고 일컬어지는 곳입니다. 이곳은 이민족들이 많았을 뿐만 아니라 그 지역에 오래도록 터 잡고 살아온 호족들의 세가 여간 크지 않아 중앙정부의 영향력이 제대로 미치지 않는 지역이었습니다. 더군다나 남중에서도 특히 세력이 강성했던 대호족 옹개는 유비에게 대 놓고 반감을 드러내며 손권과 손잡기까지 하는 형편이었죠. 그래서 유비는 익주목이 된 후 내항도독(庲降都督)이라는 직책을 두어 남중의 여러 군현들을 총괄하도록 했습니다. 이 내항도독은 여러 이민족들을 잘 다스리는 정치력과 반란을 진압하는 군사적 능력을 겸비해야만 하는 중요한 자리였습니다.

  221년. 내항도독 등방이 세상을 떠나자 유비는 이회를 불러 질문합니다.

  “누가 등방을 대신할 수 있겠소?”
  
  그런데 이회의 대답이 걸작이었습니다.

  “사람은 저마다 장단점이 있습니다. 그러니 공자께서도 ‘사람을 임용할 때는 그 그릇을 헤아려야 한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또 군주가 현명하면 신하된 자도 마음을 다하는 법입니다. 그래서 조충국은 선령강족과 전쟁이 벌어졌을 때 ‘이 늙은 신하만한 인물이 없습니다.’라고 한 게 아니겠습니까. 신은 감히 스스로의 재능을 평가할 수 없으니 폐하께서 살펴 주십시오.”

  순식간에 옛 고사를 둘씩이나 끌어다 쓰는 솜씨도 그렇거니와 그 말솜씨는 더더욱 걸작입니다. 자기 생각에는 자기만한 인재가 없으니 얼른 내항도독으로 임명이나 해 달라고 채근하는 거죠. 이 얼마나 능글맞은 사람입니까. 하지만 누울 자리를 보고 다리를 뻗는다고, 유비가 굳이 자신을 불러 이걸 물어보는 게 무슨 의미인지 모를 이회가 아니었습니다. 아니나다를까 유비는 껄껄 웃으며 말하지요.

  “사실 내 뜻은 이미 그대에게 있었소.”

  이회는 내항도독에 임명되어 남쪽으로 파견됩니다. 행정적인 능력이야 여러 벼슬을 거치면서 나름대로 검증받았지만 군사적 능력은 단 한 번도 확인된 적이 없었던 걸 감안하자면 파격적인 인사였죠. 그러나 훗날 이 인선은 매우 적확했던 것으로 밝혀집니다.

  223년에 유비가 세상을 떠나자 옹개는 이민족의 수령 고정, 장가태수 주포, 호족 맹획 등을 포섭하여 일거에 반란을 일으킵니다. 제갈량은 225년에 이들의 반란을 진압하려 출병하죠. 이 때 이회는 미처 제갈량과 합류하기 전에 두 배가 넘는 적들에게 포위당해 버리고 맙니다.

  여기서 또다시 그의 말솜씨가 빛을 발휘합니다. 그는 반란의 주모자들에게 간곡하게 말하죠.

  “제가 건녕군에서 태어났으니 우리 따지고 보면 같은 지역 출신 아닙니까. 전 항상 고향을 그리워했거든요. 그런데 듣자니 제갈량의 군사들은 식량이 떨어져 귀환한다고 하더라고요. 저도 이제야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되었네요. 그러니 우리 서로 친구 먹고 친하게 지냅시다! 한 번 믿어보라니까요? 저 진짜 여러분 편이에요!”

  이 말에 적들은 넘어가서 포위를 느슨하게 풀어 버립니다. 이회는 즉시 출격하여 적들을 대파하고 추적하여 박살낸 후 제갈량과 연합하죠. 그래서 제갈량의 남만 평정에서 수위로 꼽히는 전공을 거두고 안한장군(安漢將軍)으로 승진까지 합니다. 소설에서는 전혀 드러나지 않았던 그의 최대 공적입니다.

  이후 제갈량이 성도로 돌아간 이후에도 이회는 계속 남쪽에 남아 후방을 책임졌습니다. 또다시 반란이 일어나자 그는 직접 토벌에 나섰고, 유력한 호족들을 아예 성도로 이주시켜 후환이 없도록 했습니다. 게다가 수족과 복족 등 이민족들에게 소와 말과 금과 은 등을 세금으로 거두어 수도로 보냄으로써 군용물자에 부족함이 없도록 했으니 그로 인해 제갈량은 북벌을 감행할 자원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이회는 거의 십 년 가까운 세월 동안 남중 일대를 성공적으로 통치합니다. 이후 내항도독은 촉나라 중후기의 명장인 장익과 마충이 차례대로 맡게 되지요. 하지만 오래도록 남중을 안정시켰던 이회의 공로는 실로 대단한 것이었기에 저는 그를 삼국지 드래프트에서 저코스트에 뽑힐 만큼 과소평가된 두 번째 인물로 꼽습니다.

  [내맘대로 능력치]
  이회 : 통솔78 무력35 지력90 정치86 매력94 특기 달변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유행끝남
19/04/09 15:58
수정 아이콘
이회도 놀랍지만 황숙님 인재보는 눈은 진짜...
비익조
19/04/09 15:5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유비 사람 보는 눈이란 진짜...그리고 전예도 다뤄주셨음 합니다!
Liberalist
19/04/09 16:05
수정 아이콘
전예가 북방의 장료라 할 만 한데 진짜 저평가되어 있죠.
촉빠 입장에서 정사 기준 아까운 인재 1순위가 전예입니다.
미카엘
19/04/09 16:07
수정 아이콘
전예 특정 모드에서는 엄청난 사기 캐릭입니다 크크
19/04/09 17:03
수정 아이콘
골든전예는 이미 너무 유명하지 않나요...
19/04/09 18:03
수정 아이콘
완전소중골든전예
及時雨
19/04/09 17:04
수정 아이콘
골-든
19/04/09 16:03
수정 아이콘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역시 이번편도 꿀잼..
찾아보니 삼국지 게임상 능력치도 준수한편인데 괜히 이거보니 공명전하고싶어지네요
19/04/09 16:09
수정 아이콘
이회의 첫 벼슬이 그 유명한 독우였군요 흐흐 불과 몇년전까지만 해도 저 독우가 사람이름인줄 알고 있다가 큰 충격을 받았던 기억이 나네요
백곰사마
19/04/09 16:37
수정 아이콘
보면서 위화감이 있더니만! 그 독우가 사람이 아닌
벼슬 이름였네요. 저도 하나 알아갑니다.
19/04/09 16:56
수정 아이콘
하나의 군에 속한 여러 현들을 감찰하는 직위였습니다.
홍승식
19/04/09 16:21
수정 아이콘
독우면 삼국지 초반에 큰 역할을 하는 분 아닙니까!
지난번 양회는 1점이었는데 이분은 2점이시군요.
다음 연재는 3점이겠죠?
19/04/09 17:02
수정 아이콘
소설에서는 장비에게 맞았지만 사실은 문 박살내고 들어온 유비에게 개 맞듯 두드려맞았죠. 심지어 유비와는 원래 안면도 있었는데...
19/04/09 17:20
수정 아이콘
아무리 생각해도 유비패황설이 신빙성 있어요. 관우랑 장비 성격 생각하면 더더욱...
가만히 손을 잡으
19/04/09 16:26
수정 아이콘
동네 동생들로 관우, 장비 거느리는 황숙님 인복 대단하네요. 사실은 인복이라기 보다 인재를 알아보는 눈이 좋은 거겠지만요.
그래서 제갈량 겟!

역만없이지만, 조조가 없었다면 황숙님 천통 가능했을지...
19/04/09 17:04
수정 아이콘
조조 대신 원소... 어쨌거나 험난하긴 했겠습니다.
가만히 손을 잡으
19/04/09 17:22
수정 아이콘
그래도 원소는 유비가 잡을거 같긴 합니다.
그런데 조조가 없으면 황제는 못되었을지도요.
메가트롤
19/04/09 16:30
수정 아이콘
잘 봤습니다. 추천.
화씨100도
19/04/09 16:41
수정 아이콘
삼국지 게임에서는 능력치가 좋은 편이라 게임내 인지도는 낮지않죠. 게임을 하기 전에는 누구인지 알지 못했지만요.

이회라면 역시 99렙 군악대?!가 생각나네요. 간손미와는 다르다....
지니팅커벨여행
19/04/09 22:43
수정 아이콘
군악대의 원조는 간손미의 미축 아닌가요!
엘제나로
19/04/09 16:47
수정 아이콘
저평가하면 초기 황보숭도...
주준 노식 황보숭 트리오로 묶이기만 하는 안타까운 망국의 명장이죠
티모대위
19/04/09 18:02
수정 아이콘
이회 진짜 대단한 인물이지요.
촉나라는 그 사람이 어느정도의 인물인지 하나만 보고 평가하면 됩니다. 유비에게 어떤 대우를 받았느냐...
界塚伊奈帆
19/04/09 18:18
수정 아이콘
그래서 마속은...(읍읍!!)
19/04/09 19:31
수정 아이콘
마속은 유비가 꺼려했지요
제이홉
19/04/09 18:42
수정 아이콘
이회(TWICE)가 유비에게 꽤나 총애?를 받았군요. 유비의 사람보는 능력은 참 좋네요.
마우스질럿
19/04/09 19:40
수정 아이콘
삼국지는 나이 먹어 감에 따라 보이는 사람이 다르다고 하더니
몰랐던 인물들을 알아 가네요

대통령병 환자들에 신물이 난 이후로는
본인이 군사지위에 있으면서 와룡봉추 천거하고 물러난
서원직을 제일 주목해서 보고 있었는데 ..
뽀롱뽀롱
19/04/09 21:11
수정 아이콘
저평가라면 유표도 많이 저평가된거 아닌가요?
타이밍 문제겠지만 유표 생전에는 형주쪽은 꽉 잡고 있었는데요
19/04/10 08:25
수정 아이콘
형주에서는 거의 패왕 수준이었죠. 극에 달한 정치력으로 형주의 무수한 호족들을 제압하고 회유하여 권력을 잡았고 남중국에서 최대 세력을 구축했으니까요. 본인의 군사적 역량이 없다시피하고 과감한 판단력이 부족했던 게 가장 큰 단점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30] jjohny=쿠마 25/03/16 37877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7] 오호 20/12/30 314928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9112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75434 4
105200 [일반] 영포티론에 대하여 – 40대 남성은 20대 여성을 욕망해도 되는가 솔로몬의악몽81 25/10/14 81 0
105199 [일반] 댄스 필름 촬영을 이어오면서의 소회. [7] 메존일각1948 25/10/14 1948 18
105198 [정치] 12월 3일 계엄의 밤, 국무회의실 CCTV 대공개 [146] 빼사스7551 25/10/13 7551 0
105197 [정치] 이준석이 까이는 이유와 이준석을 까면 PGR 모두가 행복한 이유 [116] 유동닉으로6344 25/10/13 6344 0
105196 [일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용병대장의 최후 [2] 식별3040 25/10/13 3040 18
105195 [정치] 흥미로운 지점들 [281] 한강두강세강13017 25/10/13 13017 0
105194 [정치] 이준석의 존재는 '거대담론 시대'의 종언이라고도 봅니다. [171] petrus9078 25/10/13 9078 0
105193 [일반] 닉네임 변경 기간 연장 공지 [26] jjohny=쿠마3744 25/10/13 3744 2
105192 [정치] 국민의힘 해산론 국민 54.2% 공감 외 [시사IN-한국갤럽 2025 신뢰도 조사] [196] 전기쥐13658 25/10/12 13658 0
105191 [일반] 비트코인 좋아하시나요?? 비트코인에 몰빵한 이야기 [73] Bitcoin9571 25/10/12 9571 19
105190 [정치] 이준석은 '여성XX에 젓가락' 발언을 사과했는가? [229] 방구차야10459 25/10/12 10459 0
105189 [일반] [팝송] 에드 시런 새 앨범 "Play" [1] 김치찌개3426 25/10/12 3426 1
105188 [일반] 노스포] 달리는 인간들의 찬가 - 영화100m가 보여준 ‘나다움’의 진짜 의미. [13] 대장햄토리3370 25/10/12 3370 2
105187 [정치] 한국의 중산층과 사다리-중산층이 늘어나서 중산층이 붕괴된다 [115] 유동닉으로10250 25/10/11 10250 0
105186 [일반] 트럼프 "APEC서 시진핑과 회담? 그럴 이유 없는 듯" [92] 빼사스16045 25/10/11 16045 2
105185 [정치] 다이나믹 재팬, 골라봐 다카이치 지옥불 or 용광로 쇳물 or 식물총리 [62] 후추통14692 25/10/10 14692 0
105184 [정치] 압수수색영장을 법원이 기각할 확률은 얼마나 될까? [73] SkyClouD10194 25/10/10 10194 0
105183 [정치] 2025 노벨 평화상 수상자는...두두두두두두두 [56] Janzisuka10617 25/10/10 10617 0
105182 [일반] 한국 대중가요 전성기라 불리는 1990년대의 어두운 점: 표절 시비 [151] Quantumwk10416 25/10/10 10416 1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