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05/20 18:41:21
Name 베라히
Subject [일반] 흑해곡물협정 가까스로 연장···러시아, 경제 피해 용납 못하는 중국-튀르키예 눈치 보기 (수정됨)
https://n.news.naver.com/article/032/0003224344?sid=104

중국과 터키가 우크라이나로부터 곡물을 많이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네요.
그래서 러시아가 중국과 터키의 눈치를 보며 곡물협정 연장에 합의한 모양입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1867805?sid=104

에르도안을 도와줄려고 하는게 아니냐는 반응에
러시아 외무장관은 부인을 하고 있는데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3953605?sid=104

올해 초에 러시아가 터키로부터 받아야 할 가스대금을 포기한 것을 보면
러시아가 터키에게 질질 끌려다니는 것으로 보입니다.
에르도안 대통령은 그 보답으로 러시아에 대한 경제제재에 동참하지 않겠다고 선언했구요.

28일날 터키에서 결선투표가 있는데
여기에 가장 관심을 가질 나라는 러시아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5/20 18:47
수정 아이콘
터키 선거는 답이 나온것같더라구요... 야권이 이기는게 신기..
베라히
23/05/20 18:57
수정 아이콘
선거전 여론조사만 보면 정권교체가 될 확률이 높아보였는데
실제 투표결과는 정반대가 나와버렸음.
신성로마제국
23/05/20 19:10
수정 아이콘
샤이 에르도안이 많았나보군요
-안군-
23/05/20 21:47
수정 아이콘
야당 후보가 많이 불리한 상황이더라고요.
쿠르드족 혼혈인데다가 시아파라, 우리나라로 치면 탈북자 출신 이슬람교도가 대통령이 되는 급이죠. 이정도까지 끌고온것만 해도 대단하다고 해줘야 되는...
23/05/20 22:48
수정 아이콘
그래도 결선투표까지 온 거 자체가 사실상 에르도안의 패배라서
마치 박정희 vs 김대중 대선 결과 같은 분위기죠

한 번 매운 맛을 본 에드로안이 이러다가 유신 헌법 같은 거 들이미는 거 아닐지 덜덜덜
23/05/21 12:04
수정 아이콘
터키판 유신헌법은 몇 년 내에 거의 확정이지 않을까싶어요.
DownTeamisDown
23/05/21 12:35
수정 아이콘
여기서 변수는 역시 군부입니다.
100%장악 못해서 말이죠.
일반적으로는 못움직이지만 유신헌법이면 움직일수도
서린언니
23/05/20 18:58
수정 아이콘
전쟁나면 옆나라들이 돈벌죠 ... 지진으로 에르도안 몰락할 줄 알았는데 오래오래 해먹을듯...
23/05/20 19:00
수정 아이콘
전쟁이 누구의 승리로 끝날지 모르겠는데 이겨도 본전일거 같은데 지거나 적당한 선에서 협정으로 끝나면 러시아가 이전같은 지역강국으로서의 힘을 발휘할 수 있을까요?
밤수서폿세주
23/05/20 19:07
수정 아이콘
저도 정세알못입니다만 우크라이나 동부땅 조금 먹는다고 이제껏 소모한 국력, 인력이 회복되지는 않지 않을까요? 게다가 남겨진 우크라이나 중서부가 발작적으로 친서방이 될거고... 유럽도 반러시아 기조가 훨씬 강해졌고. 가스같은 자원은 여전히 많으니 지역강국 자리를 잃지는 않겠지만 전쟁 이전 수준 회복하는데도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을까요. 애초에 푸틴과 올리가르히 중심으로 돌아가던 부패한 나라인지라 시장 효율이 좋지도 않았는데. 전쟁때문에 인재들도 많이 빠져버린터라
23/05/21 00:15
수정 아이콘
지구온난화가 가속되는 상황이라면 몇십년후에 지역강국으로 돌아올수는 있을지도 모릅니다
DownTeamisDown
23/05/21 12:3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문제는 러시아라는 국체가 유지될것인가가 문젤거에요
분리독립 통제가 안되면 음
닉네임을바꾸다
23/05/21 15:35
수정 아이콘
유의미한 독립움직임이 있던가요?
DownTeamisDown
23/05/21 16:06
수정 아이콘
일단 아직은 없죠.
이쪽같은경우 2인자가 없는 러시아와 많은 소수민족에서 나오는 리스크라서 아예 없을수도 있지만 만약 분열이 니온다면 지역강국 복귀가 어려울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분열만 안되면 강대국 자리서도 안내려가겠죠.
핵은 계속 있을테니까요
Energy Poor
23/05/20 19:04
수정 아이콘
러시아는 완전 호구된 듯
o o (175.223)
23/05/20 19:17
수정 아이콘
이게 블라디미르야 보리스야
wish buRn
23/05/20 20:49
수정 아이콘
튀르키예는 곡창으로 유명하지 않았나요?
닉네임을바꾸다
23/05/20 20:53
수정 아이콘
물부족이 저기도 꽤 있을거라서?
베라히
23/05/20 21:17
수정 아이콘
참고로 중국은 식량자급률이 90%가 넘는 수준으로
한국,일본보다는 훨씬 높은데
문제는 먹여야 할 인구가 너무 많아서....
어둠의그림자
23/05/20 23:45
수정 아이콘
인구증가가 너무 심해서 의미없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8905 [일반] [역사] 청주, 약주, 정종의 차이를 아시나요? / 청주의 역사 [28] Fig.113774 23/06/01 13774 26
98904 [일반] 삼성 990 PRO SSD 2테라 풀렸습니다 (21.9만 플스5 장착 O) [40] SAS Tony Parker 12421 23/06/01 12421 3
98903 [일반] 전세계 풍토병이 된 신종코로나 [16] 지나가는비11948 23/06/01 11948 2
98902 [일반] 한국을 역전할 나라는?(gdp ,행복지수) [17] 꽃차13004 23/06/01 13004 0
98900 [정치] 한국인은 애초에 정치에서 타협을 한 적이 없는 게 아닐까 [135] 사람되고싶다16574 23/06/01 16574 0
98899 [일반] K-사이비 동향 (1) [11] 삭제됨9804 23/05/31 9804 0
98897 [정치] 일본언론 "한국군, 日초계기 갈등 이후 마련한 지침 철회할 듯" [48] 아롱이다롱이15985 23/05/31 15985 0
98896 [일반] 北 "정찰위성 만리경1호 추락" 공식 발표…"빠른 시간 내 2차 발사" [60] 유료도로당15740 23/05/31 15740 1
98895 [정치] 욱일기 논란이 최신이라고 잘못된 건가? [115] 지나가던S15348 23/05/31 15348 0
98894 [정치] 일본에서 오늘 발송한 재난문자 현황 [108] Leeka18021 23/05/31 18021 0
98893 [일반] 6시 32분에 북한에서 미사일 발사(서울상공 지나간것은 오보) [332] 슈터29250 23/05/31 29250 1
98892 [일반] 요즘 교권 메타에서 일부(?) 젊은 초등학교 교사 마인드라는 글 [206] qwerasdfzxcv18663 23/05/30 18663 20
98891 [정치] 월간조선 “양회동 유서대필 의혹 기사 사실 아냐” 공개 사과 [30] 밥도둑12371 23/05/30 12371 0
98890 [정치] ? 그럼 2차대전 한창이던 미국이 느낀 욱일기는 어땠을까? [68] 투게더15009 23/05/30 15009 0
98889 [일반] (장문의 넋두리) 헤어짐은 언제나 슬픕니다. [16] 다시마두장9528 23/05/30 9528 26
98888 [정치] 하태경 "욕 들을 각오하고 말씀드린다, 욱일기와 화해해야" [230] 빼사스27638 23/05/30 27638 0
98887 [일반] 걱정되는 가계부채 문제와 한국 경제의 앞날 [46] 홈런볼13242 23/05/30 13242 6
98886 [일반] 구글바드 살짝 비교 체험기 [20] Lord Be Goja9090 23/05/30 9090 7
98885 [일반] 열역학 제2법칙과 소통에 대하여 [13] 삭제됨7330 23/05/30 7330 13
98884 [일반] 스타크래프트 발전사로 예상해 보는 케이팝의 미래 [94] 보리야밥먹자17547 23/05/29 17547 2
98883 [정치] 안기부가 배포한 허영만의 만화와 최근의 언론보도 [44] kurt18437 23/05/29 18437 0
98882 [일반] 새 카메라와 렌즈로 찍어본 전투기 [25] 한국화약주식회사12013 23/05/29 12013 12
98881 [일반] 팀켈러 목사님이 지난 5/19 소천하셨습니다 [60] Taima15121 23/05/29 15121 2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