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10/31 18:47:39
Name Regentag
Link #1 http://m.boannews.com/html/detail.html?idx=111111
Subject [일반] OpenSSL, 초고위험도 취약점에 대한 패치 예고
http://m.boannews.com/html/detail.html?idx=111111

오픈소스 암호화 통신 라이브러리인 OpenSSL에서 [초고위험도 취약점]에 대한 패치가 예고되었습니다.
OpenSSL은 리눅스 운영체제를 비롯하여 수많은 IT서비스의 기반 통신 시스템에 사용됩니다.

패치는 11월 1일 공개될 예정이며, 취약점의 내용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아마도 패치가 공개될 때 자세한 설명도 나오지 않을까 합니다.

전문가들은 [초고위험도] 취약점이니 만큼 지난 2014년의 하트블리드 사태급의 위협이 아닐까 예상한다는군요.
하트블리드 사태는 나무위키에 설명이 잘 되어있습니다: https://namu.wiki/w/하트블리드

모쪼록 관련업계에 계신분들은 큰 일 없이 무사히 넘기시길 바라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Towasama
22/10/31 19:03
수정 아이콘
으아아아아
유리한
22/10/31 19:06
수정 아이콘
openSSL이 몇년 전 기준으로 사실상 두명이 만들던건데.. 지금은 기여자가 좀 늘었나 모르겠네요.
LG우승
22/10/31 19:07
수정 아이콘
11월 2일이 생일이라 연차를 냈는데 생존할 수 있을 것 인가..
Regentag
22/10/31 19:33
수정 아이콘
사실 패치 나오면 적용하고 조용히 넘어갈 수도 있습니다.
하트블리드 때와 비슷하다면 이런 유형의 취약점들은 일단 뭔가라 털렸다는걸 인지해야 문제가 되는데 털리는건 둘째치고 일단 [내가 공격을 받았는지 안 받았는지] 조차도 잘 모르니까요(…)
-안군-
22/10/31 19:28
수정 아이콘
OpenSSL 쓰고있는 프로젝트가 수없이 많을텐데... 덜덜덜;;
22/10/31 19:33
수정 아이콘
(수정됨) https://namu.wiki/w/%ED%95%98%ED%8A%B8%EB%B8%94%EB%A6%AC%EB%93%9C

대략적인 설명이 여기 나와있군요

잘못된 정보입니다 8년전 오류네요 크크
22/10/31 19:36
수정 아이콘
이래서 비밀번호같은 내용을 메모리에 갖고 있는것도 위험한. 쓰고나서 밀어버려야.
22/10/31 19:43
수정 아이콘
죄송합니다 잘못된 정보입니다 8년전 오류네요 크크
22/10/31 19:44
수정 아이콘
본문에도 있어서 일부러 올리신 줄 크크
22/10/31 19:34
수정 아이콘
기사로는 OpenSSL 3.0.6 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이라 하더라고요. 레드햇 계열에서는 아직 1.1.1 로 사용중이여서 문제는 없는데 우분투처럼 공격적으로 업데이트 하는 배포판을 사용중이거나 별도 OpenSSL 을 사용해서 사용한다면 취약점에 거릴듯 해요. 1.1.1 EOS 가 1년도 안남아서 슬슬 갈아타는 곳도 있을것 좀 있지 않을것 같은.

1.1.1 좀 더 쓰면 안되겠니! 거지같은 CentOS5 까지 지원해야 한다고!
순둥이
22/10/31 20:19
수정 아이콘
으악
Paranormal
22/10/31 21:24
수정 아이콘
어휴 살려주세요..
닉넴바꾸기좋은날
22/10/31 23:39
수정 아이콘
Log4j 사태, Heartbleed 같은 오픈소스 보안 취약점 문제는 참 무섭습니다. 아주 많은 사람들이 쓰고 있어서 더욱이요.
시큐어코딩이란게 참 어려운 것 같습니다.
Regentag
22/11/02 16:41
수정 아이콘
OpenSSL의 이번 취약점은 CVE-2022-3602, CVE-2022-3786입니다. 예정대로 패치가 발표되었고, 위험도는 High로 재조정 되었습니다.
https://news.hada.io/topic?id=7718

* 이번에 발표된 취약점은 X.509 Email Address Buffer Overflow 와 관련됨
* 인증서에 버퍼 오버플로우을 트리거하도록 설계된 특수하게 조작된 퓨니코드(Punycode)로 인코딩된 이메일 주소가 포함되어 있을 때 발생할 수 있음
* 처음 발표되었을 때에는 Critical 로 발표되었으나, 11월 1일 High로 낮춰짐
- REC(Remote Command Execution, 원격 실행)보다는 DoS(서비스 거부) 취약점에 가까운 것으로 확인되어 위험도 조정됨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7096 [정치] 오늘자 이태원 참사 뉴스들 입니다. [172] Croove27171 22/11/04 27171 0
97095 [정치] 삭제된 보도자료, 삭제된 기사 [1] kurt15208 22/11/04 15208 0
97094 [정치] 문체부,BBC 보도내용 수정 요청 [49] 크레토스20636 22/11/04 20636 0
97093 [정치] [뉴스타파]용산구청 참사 당일 핼러윈 무질서 이용해 구정홍보 준비했다 [45] 체크카드19473 22/11/04 19473 0
97092 [일반] 봉화 광산 사고는 오늘도 진행중입니다 [34] 똥진국12516 22/11/04 12516 13
97091 [정치] 윤석열 대통령, 이태원 참사에 대해 첫 사과, 그리고 천공 논란. [96] 빼사스22960 22/11/04 22960 0
97089 [일반] AMD, 999달러 RX 7900 XTX 및 899달러 RX 7900 XT 발표, 12월 13일 출시 [25] SAS Tony Parker 14016 22/11/04 14016 0
97088 [정치] [갤럽] 尹 긍정평가 29% [63] Croove20468 22/11/04 20468 0
97087 [일반] 울산 최대 재개발사업지 시공사선정이 유찰 되었습니다. [24] 10216083 22/11/04 16083 3
97086 [일반] 우유 '1리터 3000원' 시대 현실화…밀크플레이션 우려 [86] 톤업선크림16394 22/11/04 16394 1
97085 [일반] [바둑] 최정 9단의 이번 삼성화재배 4강 진출이 여류기사 최고 업적인 이유 [100] 물맛이좋아요20902 22/11/04 20902 28
97084 [일반] 큰거 왔다.. 3080ti -> 4090 첫 인상 (스왑) [48] Lord Be Goja20027 22/11/03 20027 20
97083 [일반] 전화번호부와 카카오톡 친구목록을 정리한 이야기 [8] 지대호16024 22/11/03 16024 13
97082 [정치] 박희영 용산구청장 이 사람 문제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네요 [92] 홍철24791 22/11/03 24791 0
97081 [일반] 엉덩이 종기(표피낭종) 수술후기 [51] 기사조련가23320 22/11/03 23320 18
97080 [정치] 천공 발언은 까면서 문재인 발언은 쉴드치는 분들이 계신 것 같은데 [61] 홍철22143 22/11/03 22143 0
97079 [일반] 화섬식품노조 파리바게트지회 투쟁승리 [39] lexicon18565 22/11/03 18565 15
97078 [정치] 윤석열부부 멘토 자처하는 천공, 이태원 참사에 “엄청난 기회” 막말 논란 [158] 삭제됨24770 22/11/03 24770 0
97077 [정치] 경북 봉화 아연광산 사고는 아직 진행중입니다.. [23] 유목민16141 22/11/03 16141 0
97076 [일반] [책소개] 셰일 혁명과 미국 없는 세계 - 파월의 FOMC 발언 즈음에 생각난 책 [30] 헤세드8314432 22/11/03 14432 7
97075 [정치] 대통령실과 참사가 일어난 골목과의 거리 1.5km [70] kurt23452 22/11/03 23452 0
97074 [일반] 앞으로는 전세계가 버블경제 터진 직후 일본처럼 될듯합니다 [59] 보리야밥먹자21324 22/11/03 21324 1
97073 [일반] 11월 FOMC 요약: 설레발 치지마라 [60] 김유라19823 22/11/03 19823 2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