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09/22 08:02:48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2881059617
Subject [일반] <파이트 클럽> - 왜 이걸 이제 봤지?(약스포)

그러니까, 저한테 <파이트 클럽>은 조금 애매한 영화였습니다. 결말을 비롯한 몇몇 이미지로 남아있는 영화인 동시에, 감각적인 연출로 유명한 동시에, 이걸 언제 한번은 봐야지 생각만 하던 영화 중 한 편이었죠. 그 전에 먼저 제 데이빗 핀쳐 감독의 역사를 짚어보자면,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를 맨 처음 극장에서 보고, 이후 나온 작품들을 보고 <세븐>을 나중에 봤던 사람이었습니다. 그 때 당시에는 나이가 안되었거나, 혹은 태어나기도 전인 경우였으니까요. 여튼 그래서 <파이트 클럽>은 언젠가 봐야지 하고 냅뒀던 영화였습니다. 그러다가 이번 9월달에 넷플릭스에서 내려간다는 얘기를 듣고 봐야겠다 마음을 먹었습니다.


일단 초반부의 감탄은 소위 말하는 감각적 연출이 여전히 감각적이라는 점이었습니다. 그러니까, 보통 혁신적 촬영이나 기법을 사용했다는 영화들은 지금 다시보면 촌스러운 부분이 보일 텐데, 이 영화는 그렇지 않습니다. 여전히 임팩트 넘치고 감각적이라는 표현이 어울릴 것 같네요.


두 번째는 마초성입니다. 그러니까, 이 요소는 다른 것과 엮어서 이야기하게 될 수 밖에 없는데, 현대 사회의 억압입니다. 어찌보면 이야기의 주제 자체는 이후에 나온 수많은 영화들과 비슷할 거에요. 기본적인 얼개도 어찌보면 비슷할 겁니다. 하지만, 이 영화가 가지고 있는 최대의 특징은, (그리고 어쩌면 호불호가 갈릴 지점은) 특유의 폭발하는 마초적 분위기가 아닐까 싶습니다. 브래드 피트라는 배우의 젊은 시절 가지고 있는 카리스마와 마초적 분위기가 말 그대로 영화 내내 지배하고 있습니다.


현대 사회의 억압, 혹은 짜여진 틀 속에서 (이케아 가구로 표현되는 소비사회에서) 누구나 일탈을 꿈꾼 적이 있을 겁니다. 그리고 이 영화는 그 지점을 공략하는 영화라고 생각해요. 결말을 알고 봐도 재밌게, 혹은 의미심장하게 볼 수 있다는 것이 이 영화가 좋은 영화라고 생각할 수 있는 이유가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다만, 어떤 측면에서는 매끈하게 뽑힌 영화는 아니긴 합니다. 어찌보면 흥행 실패나 혹은 개봉 당시의 저평가가 이해되는 측면도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굉장히 마초적이라는 얘기는 양면성을 동시에 지닌 영화라고 생각하구요. 어찌보면 '컬트'의 영역에 가장 걸맞는 (이동진 평론가의 표현에 따르면) 컬트의 만신전에 들어간 영화라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카미트리아
22/09/22 08:09
수정 아이콘
The first rule of Fight Club is: you do not talk about Fight Club.
The second rule of Fight Club is: you DO NOT talk about Fight Club!
네리어드
22/09/22 08:20
수정 아이콘
You met me at a very strange time in my life.
aDayInTheLife
22/09/22 08:23
수정 아이콘
명대사가 참 많은 영화네요. 흐흐
22/09/22 08:27
수정 아이콘
섹쿠시한 브레드 피트
aDayInTheLife
22/09/22 08:44
수정 아이콘
야성적이면서도 반항적이더라구요 흐흐흐
22/09/22 08:46
수정 아이콘
지극히 페미닌한 제 성향에도 불구하고 인생 영화 꼽으라면 항상 들어가는 영화. 결말부는 잊혀지지가 않네요.
aDayInTheLife
22/09/22 08:54
수정 아이콘
저도 마초적인 성향과는 거리가 있다고 느끼는데 그 ‘일탈’의 분위기가 좋았어요.
*alchemist*
22/09/22 09:42
수정 아이콘
분위기 죽이죠 흐흐흐흐흐 그냥 가만있어도 노튼은... 아.. 이거 이야기하면 혹시나 스포가 될 수 있겠구나 크;
아무튼 타일러 더든 멋지죠. 흐흐흐 브래드 피트도 참 멋있는 배우에요
aDayInTheLife
22/09/22 10:22
수정 아이콘
어허 약 스포입니다? 크크
영원히하얀계곡
22/09/22 10:13
수정 아이콘
뭔 영화인지 모르고 친구방 가서 봤는데, 반전에 뒤통수 크게 얻어맞았네요.
제 영화경험 반전영화중 반전 최고였습니다.
aDayInTheLife
22/09/22 10:22
수정 아이콘
반전 자체보다는 저는 영화의 에너지가 참 인상적이더라구요.
22/09/22 10:22
수정 아이콘
빵횽 몸이 너무 이쁨. 축복받은 골격..
aDayInTheLife
22/09/22 12:34
수정 아이콘
크으 번들거리던 피와 근육…
페로몬아돌
22/09/22 11:03
수정 아이콘
최고 영화
aDayInTheLife
22/09/22 12:34
수정 아이콘
왜 좋아하시는지 알겠더라구요.
부질없는닉네임
22/09/22 11:49
수정 아이콘
브래드 피트가 60억 인구 중에서 가장 섹시하던 시절
aDayInTheLife
22/09/22 12:35
수정 아이콘
엄청 마초적인데 또 끌리더라구요.
22/09/22 12:05
수정 아이콘
데이빗 린치감독이든가요? 핀처인가?;;
파이트클럽 재미있게 보셨다면
감독 나이먹기전 작품 한번 찾아보세요.
언젠가부턴 별로인데
그시절 감독작품 정말 좋습니다.
aDayInTheLife
22/09/22 12:34
수정 아이콘
핀쳐입니다 흐흐 세븐은 이미 봤네요. 스릴러의 대가… 느낌에서 이젠 거장으로.
22/09/22 12:44
수정 아이콘
세븐이 제인생 영화에요. 흐흐
빵형 마지막 들판씬..!!
뉴타입
22/09/22 12:37
수정 아이콘
좋은 의미로도 나쁜 의미로도 거친 영화죠.
aDayInTheLife
22/09/22 12:51
수정 아이콘
거칠다. 그 표현이 적합한 것 같네요.
elegantcat
22/09/22 13:21
수정 아이콘
'We do your laundry, cook your food and serve you dinner. We guard you while you sleep. We drive your ambulances. Do not fuck with us.'

이 영화가 극장에서 재개봉했을 때 저는 서비스 업종에서 일하고 있었는데 이 대사를 보고 묘한 감동을 느꼈던 기억이 나네요. 이게 카타르시스?
aDayInTheLife
22/09/22 14:52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 이분 위험하신 분이네요 크크
MissNothing
22/09/22 13:23
수정 아이콘
저도 한 5년전쯤 본것같은데, 그때만해도 처음 봐도 반전은 이미 예상 가능할정도로 좀 클리셰적이였지만
그거 제외해도 대단한 영화라고 생각합니다. 90년대 미국이 그러했듯 지금 한국상황이 딱 저상황이니까요 크크
aDayInTheLife
22/09/22 14:52
수정 아이콘
폭발 직전의 권태감…이라고 해야할까요. 이미 뭐 저도 스포 달긴 했지만 알면서 보긴 했네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좋아하는덴 이유가 있다 싶더라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6807 [정치] 전현희 "감사원, 종료 직전 서해사건 유권해석 감사…정치공세 의도" [9] 베라히14755 22/10/07 14755 0
96806 [일반] 부산국제영화제 후기. (사진과 스포 다량 함유!) [8] aDayInTheLife13957 22/10/07 13957 0
96804 [일반] 송도에 대한 잡감 [45] 아스라이17178 22/10/06 17178 17
96803 [일반] 작은 개발사를 운영하며 겪는 경제 위기 [27] 시드마이어16982 22/10/06 16982 52
96802 [일반] '우리 집'에서 산다는 것의 행복함 [83] 여수낮바다21629 22/10/06 21629 80
96801 [정치] 법원, 이준석 가처분 기각…정진석 비대위원장 직무집행 효력 인정(링크 수정) [243] 대법관27487 22/10/06 27487 0
96800 [일반] 드디어 애플페이가 11월 30일 (예정?) 에 상륙합니다. [100] Leeka18500 22/10/06 18500 2
96799 [정치] 결국 드론택시가 강남을 못가게 생겼습니다. [65] DownTeamisDown22228 22/10/06 22228 0
96798 [일반] 김정기 화백을 안지 오래되지 않았지만 이 분은 우리나라의 국보였다고 생각합니다. [29] 홍철19732 22/10/05 19732 6
96796 [일반] 김정기 작가 별세. [71] 앓아누워19196 22/10/05 19196 7
96795 [일반] <블레이드 러너> 후기 [45] aDayInTheLife14221 22/10/05 14221 6
96794 [정치] "尹몰랐던 '아나바다 뜻', 준비 자료에 있었다" [86] 베라히23119 22/10/05 23119 0
96793 [정치] 감사원 사무총장이 대통령실 수석이랑 문자를 하다 걸렸습니다. [84] 마빠이26966 22/10/05 26966 0
96792 [일반] 드디어 국내 통신망 문제에 대해 이슈화가 가속화되네요 [36] 가마성16503 22/10/05 16503 0
96791 [정치] 여가부 폐지 →복지부 산하 본부로…정부조직개편안 野에 보고 [81] 바둑아위험해17432 22/10/05 17432 0
96790 [정치] 김동길 명예교수 별세 [42] 츠라빈스카야16398 22/10/05 16398 0
96789 [정치] 윤대통령 전대변인 SNS "가르치려 드느냐’ 화내고 1시간 중 혼자 59분 얘기" [106] 빼사스25868 22/10/05 25868 0
96788 [정치] 여왕조문을 가지못한 이유.. [184] Darkmental28067 22/10/05 28067 0
96786 [일반] 강릉에서 미사일 오발 사고가 난 모양입니다. [46] 20426 22/10/05 20426 0
96785 [일반] [테크히스토리] 너의 마음을 Unlock / 자물쇠의 역사 [10] Fig.153977 22/10/05 53977 11
96784 [정치] 항공우주산업에 과감하게 투자하겠다고 약속했던 윤석열대통령 [140] 베라히26936 22/10/04 26936 0
96783 [정치] 만화 ‘윤석열차’ 논란에… 정부 “노골적 정치색, 엄중 경고” (문체부 공식 트윗 추가) [279] 밥도둑35296 22/10/04 35296 0
96782 [일반] 유튜브는 4K 스트리밍을 프리미엄 가입자로 제한하고, 더 많은 광고를 보여줄 수 있음 [59] SAS Tony Parker 19371 22/10/04 19371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