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07/31 19:05:10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2835546969
Subject [일반] 책 후기 -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은 제가 처음 극장에서 본 청소년 관람불가 영화였습니다. 이러한 상황이 영화는 참 이쁘고 좋은 영화였지만, 동시에 저에게 꽤 어려운 영화로 받아들여진 이유일 것 같습니다.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은 많은 분들이 말씀하시듯, 과거에 대한 영화이고, 과거의 어떤 순간에 대해 몰입시켰다가 갑자기 그 세계 밖으로 쫓아내듯 내보냄으로써 어떤 향수의 감정을 불러 일으키는 영화니까요.


제가 책 <웨스 앤더슨 컬렉션: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을 고른 이유는 영화가 굉장히 아름다운 영화로 기억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일종의 아트북과 비슷한 개념으로 책을 고른 셈이었고, 약간은 빗나간 기대를, 대신 '슈테판 츠바이크'라는 이름과 약간의 슬픔을 가진 채로 책을 덮게 되었습니다.


책은 공교롭게도 읽으면서 웨스 앤더슨의 최신작이었던 <프렌치 디스패치>가 떠올랐습니다. 3개의 부분으로 크게 나눠진 책은 한 장마다 웨스 앤더슨의 인터뷰가 첫 머리에 실려있고, 배우, 미술감독, 촬영감독 그리고 평론가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인상적이었던 건, 웨스 앤더슨의 작업 방식에 있었습니다. 보통, 완벽하게 조율된 화면과 구조를 선호하는 감독 성향 상 꽉 짜인 틀을 좋아하는 방식일 것 같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보면 공통적으로 입을 모아 '어느 정도는 짜여져 있지만, 그 안에서 자율권을 준다'라고 표현을 하더라구요.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의 세계는 아름답고, 유쾌하며, 약간은 음울한 세계입니다. 어쩌면 짧게 언급되는 2014년과 소설가의 노년을 제외하면, (그나마도 모티브가 된 소설가 '슈테판 츠바이크'의 생애를 참조하면 그 조차 불안하긴 합니다만.) 음울한 세계들을 관통하고 있습니다. 모두들 여유로워 보이고 행복해보이지만 전쟁을 걱정하는 그 좋았던 옛날의 끄트머리와, 이미 쇠락해버릴 대로 쇠락해 곧 닫을 일만을 기다리고 있는 냉전 시대. 그리고 결국은 그 모든 것들을 파고 들어가는 상실이라는 주제까지.


어쩌면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이 뛰어난 영화였던 이유는 달기만 하지 않은, 뒷맛은 씁쓸한 그런 영화였기 때문은 아니었을까하는 생각을 하게 해준 책이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8/01 14:54
수정 아이콘
저는 영화는 잘모릅니다
하지만 제일 좋았던 영화중 세손가락 안에 그랜드부다페스트호텔을 꼽아요
단지 색감의 아름다움과 음악때문입니다.
내용은 개인적으론 세련되지도, 새롭지도 않았지만 영상미만으로 제게는 크게 다가왔습니다.
이런 영화가 책으로는 어떨지 또 궁금하네요
영화의 영상미가 빠진 그랜드부다페스트호텔은 어떨지..
aDayInTheLife
22/08/01 15:06
수정 아이콘
저는 솔직히 말해서 위에도 썼지만, 아트북 같은 느낌으로 고른 책이었습니다만, 생각과는 내용이 좀 다르더라구요. 대신 웨스 앤더슨이라는 창작자의 세계를 엿보고 그 세계를 현실화 하는 단계에서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에 대해서 볼만한 책이었다고 생각해요.
작곡가인 알렉상드르 데스플라의 인터뷰도 있으니 한번 서점에 들릴 수 있으시다면 보고 고르셔도 좋을 것 같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9243 [정치] 4대강 사업 때 만든 상주보·구미보 둔치 와르르…“폭우에 취약 구조 드러나” [37] 베라히13456 23/07/20 13456 0
99242 [일반] <바비> - 독특하고 이상한 바비랜드.(약스포) [11] aDayInTheLife9352 23/07/20 9352 4
99241 [일반] 결혼하는 신혼부부들은 연봉이 어떻게 될까? [37] rclay16077 23/07/19 16077 5
99240 [일반] 어제 신규교사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습니다 [359] 하카세27331 23/07/19 27331 37
99239 [일반]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커닝 파트 1 (강스포) [27] Blooming9198 23/07/19 9198 1
99238 [일반] 흔한 이혼 [53] 두괴즐17289 23/07/19 17289 20
99236 [일반] 엔비디아, 4060ti 16GB 출시 [39] SAS Tony Parker 12171 23/07/19 12171 1
99234 [일반] 예천 호명면서 수색하던 해병대 일병 급류 휩쓸려 실종 - 사망 확인 [83] 만찐두빵16654 23/07/19 16654 3
99233 [일반] 잠 못 드는 밤 비는 멈추고. [8] aDayInTheLife9372 23/07/19 9372 4
99232 [일반] 세상은 아직 따뜻합니다. [21] 돈백14202 23/07/18 14202 19
99231 [일반] AI 시대가 온다면 한국은 이민자, 외노자 유입이 이전보다 더 필요해집니다 [38] 보리야밥먹자12429 23/07/18 12429 1
99230 [정치] 한국 게임계에 방금 핵폭탄이 터졌습니다 [199] nmcpvwe28800 23/07/18 28800 0
99228 [일반] 아티스트의 영혼 (적폐가 되다/ 에세이) [11] 두괴즐8908 23/07/18 8908 1
99227 [일반] 공장 엔지니어 신입 가스라이팅 수법_형 동생, 너 나 특별한 존재와 피프티 피프티 [24] 깐부12780 23/07/18 12780 9
99226 [정치] 尹 "이권·부패카르텔 보조금 전부 폐지…수해복구에 투입" [191] 베라히20395 23/07/18 20395 0
99225 [일반] 종합상사를 무대로 새 일드가 나왔네요 [VIVANT] [12] 흰둥10820 23/07/18 10820 2
99224 [일반] 그게 뭔데 한국이 갈라파고스화 되어있다는 거야? [168] Valorant19860 23/07/18 19860 4
99223 [정치] 사무장병원 판단 기준 변경 [22] 맥스훼인13975 23/07/17 13975 0
99222 [일반] 광역시 단위 취약계층이동지원 서비스를 소개합니다 [2] SAS Tony Parker 11522 23/07/17 11522 8
99221 [일반] 20년만에 스타를 다시 해보다. [84] 채무부존재13745 23/07/17 13745 23
99220 [정치] 尹우크라행 "현장 피부로 느끼기 위해"호우엔 "서울 뛰어가도 상황 못바꿔" [334] 사브리자나33419 23/07/16 33419 0
99219 [정치] 오늘 일본 통신사 발표 원전 여론조사가 나왔네요. [55] 기찻길21081 23/07/16 21081 0
99218 [일반] 뉴욕타임스 7. 9. 일자 기사 번역(남탓은 이제 그만.) [7] 오후2시16257 23/07/16 16257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