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7/04 20:19:27
Name chldkrdmlwodkd
Subject [일반] 도스토예프스키를 긍정하게 된 소설 '악령'
사실 도스토예프스키는 톨스토이보다 덜 좋아하는 소설가였습니다. 남들이 모두 톨스토이보다 도스토예프스키가 더 좋다고 해도 저한테는 여전히 톨스토이가 최고의 소설가였습니다. 예전 글에서도 적었지만 '죄와 벌','지하로부터의 수기'등은 재미있게 읽었어도 그의 최고작이라는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이 저한테는 그렇게 큰 감흥으로 다가오지 않았거든요.

그러던 중에 그의 또다른 대표작이라는 '악령'이라는 책을 읽게 됐습니다. 사실 읽는 내내 가독성이 매우 떨어지고 시점이 자주 바뀌어서 진도가 매우 느리게 나갑니다. 그런데 참고 읽어나가니까 의외로 재미있습니다. 저한테는 '죄와 벌'보다 더 강렬하게 다가왔습니다. 주인공인 스타보로긴은 그야말로 '무'에 가장 가까운 인물로 주변 인물들은 물론 자신도 파멸시키려고 합니다. 조연인 키릴로프는 죽음을 통해 신이 된다는 사상을 갖고 있어서 이걸 지키려고 자살합니다. 전체 줄거리는 사회주의 사상을 가진 조직이 세상을 바꿔보려다 파멸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데요. 제가 이걸 좋아하게 된 건 인물들이 회개하지 않고 끝까지 가서 파멸한다는 것 때문입니다.

'죄와 벌'의 주인공 라스콜리니코프는 마지막에 암시이긴 하지만 뭔가 뉘우칠 듯한 모습을 보입니다. 하지만 '악령'의 인물들은 그렇지 않습니다. 스타보로긴과  키릴로프는 물론이고 대부분의 인물들이 죽거나 파멸합니다. 한번쯤 뉘우칠 기색을 보일법도 한데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저는 이게 마음에 다가왔습니다. 악인이 반성한다기보다는 끝까지 자신의 믿음을 추구하다 파멸하는 게 시간이 지날수록 좋아지네요.

톨스토이 작가만큼 좋아지진 않았지만 그래도 사람들이 왜 도스토예프스키에 열광하는지는 알 거 같은 작품 '악령'이었습니다. 제가 지금까지 이 사이트에 적은 글 중 가장 긴 글일 거 같은데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 하루 모두 수고하셨고 내일 불금도 잘 보내셨으면 좋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담배상품권
19/07/04 20:33
수정 아이콘
저도 도스토옙스키보다는 톨스토이를 더 좋아합니다. 이반 일리치의 죽음은 제가 무덤으로 가기 전에 마지막으로 읽어볼 소설이 아닐까 싶어요.
그런데도 가난한 사람들은 이반 일리치의 죽음과 비슷한 울림을 받았어요. 저 두 문호는 거대한 산맥입니다.
chldkrdmlwodkd
19/07/05 01:56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두 문호 모두 거대한 산맥이죠.
구밀복검
19/07/04 21:06
수정 아이콘
이건 당대 분위기를 알아야 더 재미있게 읽을 수 있죠. 현대 한국에 빗대 보면 이런 겁니다. 한쪽에는 미국빠들이 있어요. 우루과이 라운드와 WTO와 쌀개방과 FTA 같은 미국식 뉴 오더를 수용해서 미개한 한국의 적폐를 청산하여 선진국으로 도약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겁니다. 언제까지 박정희 시절의 개발독재 관치금융 정부주도 패러다임을 러시아 정교마냥 안고 갈 거냐 이거죠. 또 다른 한편에는 북서유럽 빠는 사회주의자 친구들이 있는 거고요. 평등 인권 여성 소수자 서발턴 같은 걸 이야기하면서 역시 미개한 한국의 적폐를 청산하고 선진국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죠. 우리 안의 권위주의 파시즘을 깨부셔야 비로소 러시아는 아시아가 아닌 진정한 유럽으로 탈아입구할 수 있는 겁니다. 그 반대편에 도스토예프스키식 신토불이가 있는 거고요. 쌀이야 보리야 콩이야 팥이야~ 우리 몸엔 우리 건데 남의 것을 왜 찾느냐~ 이런 신토불이 슬라브주의 vs 사대주의 선진국 콤플렉스, 러시아 정교 vs 프랑스 혁명, 전통주의 vs 민주주의 등등의 대립의 축을 이해하고 봐야 비로소 도스토예프스키의 문장들이 생동감 있게 읽히죠. 스테판은 586 운동권인 거고 표트르는 이석기인 거고 그런 식으로..
닭장군
19/07/04 21:22
수정 아이콘
윈도우즈토예프스키
리눅스토예프스키
강철심장
19/07/04 22:19
수정 아이콘
저는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은 술술 읽었는데.. 악령은 진짜 너무 읽는 속도가 안나서 잠시 스톱 하고 나중에 도전해보려고 합니다.

최근에는 다섯 번째 계절 읽고 있는데 너무 재미나네요..
전자수도승
19/07/05 00:30
수정 아이콘
https://m.ruliweb.com/family/212/board/1010/read/30610131?search_type=subject&search_key=악령
요즘 루리웹에 이런저런 소설 감상 올리는 분이 계시는데 예전에 악령도 다뤘었죠
꽤 괜찮은 감상만화였다 싶습니다
chldkrdmlwodkd
19/07/05 01:59
수정 아이콘
추천 감사합니다. 저도 들어가서 봤는데 괜찮네요. 줄거리 요약도 잘 돼 있고요.
캐터필러
19/07/05 10:35
수정 아이콘
굿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1781 [일반] 유명 멘토 신영준 박사의 베스트셀러 짜집기 논란 [40] 다록알18214 19/07/11 18214 4
81779 [일반] '이반 일리치의 죽음'과 '가난한 사람들'을 읽고 [1] chldkrdmlwodkd5816 19/07/11 5816 5
81778 [일반] [소식] 북한이 헌법을 개정했습니다. [38] aurelius13113 19/07/11 13113 3
81775 [일반] (정보글)아디다스 시즌오프 세일 [28] 능숙한문제해결사11633 19/07/11 11633 3
81774 [일반] 스티브 유(유승준)씨 비자발급 거부에 대한 대법원의 판결 [90] 홉스로크루소12241 19/07/11 12241 2
81773 [일반] 큰 할어버지의 한 마디 [7] 삭제됨6676 19/07/11 6676 5
81772 [정치] 과연 할복을 볼수 있을까요?? [54] 로즈마리11988 19/07/11 11988 10
81770 [일반] 오늘부터 파업에 돌입했습니다. [87] 굿리치[alt]16658 19/07/11 16658 13
81769 [정치] 홍콩풍이 불고 있는 중화민국(대만) 총통선거 [17] 나디아 연대기12709 19/07/10 12709 2
81768 [일반] 몇 개의 만화 감상문(강철의 연금술사,니세코이,암살교실,목소리의 형태 스포 있습니다) [4] chldkrdmlwodkd5720 19/07/10 5720 2
81767 [정치] 한국 정부와 기업이 일본과의 장기전을 공식화했습니다. [279] 청자켓27006 19/07/10 27006 48
81766 [일반] [연재] 종교, 명상과 중독 - 노력하기 위한 노력 (10) [19] 229943 19/07/10 9943 24
81765 [일반] 베트남 여성 폭행사건에 대한 뒷이야기. [124] 삭제됨14994 19/07/10 14994 5
81764 [일반] (스포)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 후기 [67] 카디르나7820 19/07/10 7820 7
81763 [정치] 전략물자 관리에 대한 관련 기사 [42] 及時雨9489 19/07/10 9489 3
81762 [일반] 여름이지만 입맛이 없진 않네요 하핫 [41] 비싼치킨9759 19/07/10 9759 8
81761 [일반] 사회가 감내할 수 있는 적정비용을 찾아서 [41] Danial12670 19/07/10 12670 46
81760 [일반] 지난 일의 후일담 [21] 界塚伊奈帆5579 19/07/10 5579 2
81759 [일반] 그래도 이건 아니지! [59] 전직백수10227 19/07/10 10227 32
81757 [일반] (스포) 60일 지정생존자 - 넷플릭스 [14] 주우운6901 19/07/10 6901 0
81756 [일반] (스포)스파프롬홈 후기 ㅡ 너무 기대했나봐요 [57] 로랑보두앵7547 19/07/10 7547 1
81755 [일반] 전소미의 방황 - 길을 잃은 재능 [79] 에리_918286 19/07/10 18286 6
81754 [일반] 탈모인을 괴롭힌 풍성의 최후 (영화리뷰) [4] 박진호8482 19/07/09 8482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