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4/24 21:54:01
Name chldkrdmlwodkd
Subject [일반] 도스토예프스키와 톨스토이,그리고 나 자신
도스토예프스키와 톨스토이. 제가 가장 좋아하는 작가들입니다. 왠지 처음 이름을 들었을 때부터 마음에 들었습니다. 뭔가 간지난다고 해야하나요? 이후에 그들의 작품을 보면서 점점 매료됐습니다.

두 작가의 작품은 읽어본 분들이라면 아시겠지만 완전 극과 극입니다. 도스토예프스키의 작품이 기본적으로 우울하고 베드엔딩(지하로부터의 수기,악령,백치)인 경우가 많다면 톨스토이의 작품은 고난이 있더라도 희망적인 엔딩(전쟁과 평화,부활,바보 이반)이 많습니다.

저는 사실 내성적인 성격이라서 그런지 도스토예프스키 소설이 더 취향에 맞았습니다.저런 세계적인 대문호도 우울한 걸로 비슷한 생각 한다는 게 일종의 동질감이 느껴진다고 해야 하나요? 하지만 톨스토이의 작품을 읽으면서 너무 우울한 것보다는 조금이라도 밝은 게 좋아졌습니다. 그러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밝기만 하는 것도 안 좋아지게 됐습니다.

성격을 조금이라도 바꾸고 싶어서 저는 제 자신이 찌질할 수 있다는 걸 부정하려고만 했습니다. 밝은 것만 추구하려고 했습니다.하지만 두 거장의 소설을 계속 읽다보니 마음 속에는 찌질함과 희망이 모두 있고 둘 모두를 감싸안으며 살아가는 게 사는 걸 더 좋게 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뜬금없는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제 몇 시간 뒤면 출근인데 여러분 모두 내일 일이나 공부 잘 하셨음좋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4/25 12:38
수정 아이콘
톨스토이의 소설은 19세기 러시아 그 자체라는 생각이 듭니다. 정말 다양한 인간군상과 사회 구석구석에 대한 성찰이 담겨 있지요.
작가는 모든 것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이라는 명제와 딱 들어맞는 작가가 톨스토이가 아닌가 싶네요.
특히나 톨스토이는 지금도 작가들에게 더 인정받는 작가인데 우리나라 작가분들 중에서도 톨스토이 찬양하시는 분들이 많지요.

도스토예프스키도 마찬가지입니다만 도끼는 좀 더 사람 개인의 내면을 파고드는 작가인 것 같습니다. 내면의 우울함 고독함에 대해서요.
톨스토이와 도스토예프스키는 어떻게 보면 요즘 말로 인싸와 아싸 같다고 할 수 있겠네요.
역사상 손꼽히는 작가 둘이 한 국가에서 동시대에 살았다는 게 참 대단하게 느껴집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1438 [일반] 아이폰(7,xs)에서 갤럭시(s10e)로 넘어온 후기 [27] 푸끆이14081 19/06/09 14081 4
81437 [일반] 흑인 사무라이, 야스케 이야기. [11] 及時雨12865 19/06/09 12865 9
81436 [일반] 그래,차라리 하렘이면 이렇게 막나가길!-트러블 다크니스 [18] chldkrdmlwodkd7920 19/06/09 7920 3
81435 [일반] 영화 '기생충'을 보고 되살아난 지하집의 악몽 [17] 청자켓11266 19/06/09 11266 17
81434 [일반] [토막MLB] 교체 선수 단일경기 최다 홈런은? [9] skatterbrain6116 19/06/09 6116 1
81433 [일반] 나는 내주변피셜을 믿는다 [21] 삭제됨10310 19/06/09 10310 10
81432 [일반] 최근 며칠간 이어진 고위공직자들의 몰카 러시 뉴스모음 [175] 괄하이드16352 19/06/09 16352 16
81431 [일반] 국민 체크카드(신규카드,발급중단카드,이벤트)이야기 [8] style10859 19/06/09 10859 2
81430 [일반] 2019년도 고2 6월 모의고사 수리 가형 30번 오류 [31] 물맛이좋아요19322 19/06/09 19322 4
81429 [일반] 수능 6개월이 지난 후의 피드백 [9] 포제9495 19/06/08 9495 33
81428 [일반] 예술가의 사생활과 작품에 관해서 [59] chldkrdmlwodkd11461 19/06/08 11461 2
81427 [일반] 문대통령이 현충일에 언급했어야 할 분들 - 김홍일, 지청천 [84] 10214421 19/06/08 14421 59
81426 [일반] (스포) 엑스맨의 시리즈의 피날레로 보기에 너무 아쉬웠던 피닉스 [32] 삭제됨7878 19/06/08 7878 1
81425 [일반] 고전영화 감상문 [12] chldkrdmlwodkd6429 19/06/08 6429 2
81424 [일반] 검증이 필요한 현 정부의 역사관. [389] HVN20203 19/06/08 20203 71
81423 [일반] 구글 스태디아는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을까? [110] 아케이드12941 19/06/07 12941 2
81422 [일반] 건보공단 "경찰대 성평등 교육에 불만 제기한 직원 조치하겠다" [218] AKbizs18805 19/06/07 18805 47
81421 [일반] [이것은 정모글] 번개글은 뜬금없이 올려야 제맛 (in 부산) : 최종 공지글 [7] 은하관제6337 19/06/07 6337 0
81420 [일반] 6차원에서 온 기생충 리뷰 [14] 삭제됨7128 19/06/07 7128 4
81419 [일반] 美 국방부, 대만을 ‘국가’로 지칭…‘하나의 중국’ 원칙 또 흔들었다 [124] 카루오스20240 19/06/07 20240 7
81418 [일반] 문재인 대통령의 현충일 추념사 김원봉 언급 논란 [621] 아유30217 19/06/07 30217 51
81417 [일반] [스포일러] 기생충 보고 와서 쓰는 생각들 [27] 새님11074 19/06/07 11074 16
81416 [일반] <라스트 킹덤> 영국의 탄생 신화 [15] 일각여삼추12265 19/06/07 12265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