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8/30 08:21:55
Name 어강됴리
Link #1 https://www.youtube.com/watch?v=ONWFJIZxYTY
Subject [일반] [방산] 60조 캐나다 잠수함 사업, 한화오션-HD현대 컨소시엄 최종진출



폴란드 K2 흑표 2차 계약분 9조원을 뛰어넘을것으로 보이는 역대 최대 무기도입 사업

60조원 상당의 캐나다 잠수함 12척 건의 최종후보, 숏리스트에 한화오션-HD현대 컨소시엄이 들어갔습니다.

나머지 하나는 잠수함 종주국이자 우리 잠수함 기술의 원천이자 스승인 TKMS-콩스버그 컨소시엄 이구요 






그런데..




 








https://media.zenfs.com/en/reuters.com/46233698782544964fdc5b8c4cccf0c1" alt="Thyssenkrupp defence unit short-listed in Canadian submarine deal, PM says  in Berlin" />


독일 컨소시엄이 최종 후보에 들었다는 이야기를 캐나다 총리가 독일을 방문한 가운데 발표했습니다..

뭐여.. 분위기 싸한데









참 독일하고는 징글징글하게 붙네요 

제 기억으로 독일과 숏리스트에 함꼐간 경우는

노르웨이 차기 전차사업 (KMW vs 현대로템)- 레오파르트 A8이 K2흑표에 승리
호주 장갑차 사업 (한화디펜스 vs 라인메탈) - AS21 레드백이 KF41 링스에 승리

다른 경우가 있을지는 모르겠는데 또 한번 붙었습니다. 






한국 컨소시엄의 제안은

- 사업비의 절반이 넘는 240억 달러를 잠수함 건조를 위해 캐나다에 투자
- 2035년까지 잠수함 4척을 남품 (경쟁국인 독일은 2034년까지 1척, 2037년에 2척), 해마다 1척을 남품해 2043년까지 모두 납품해 전력공백을 없에겠다
- 공급망 내재화로 차질없는 납품 가능 



독일정부와 TKMS 컨소시엄의 제안은

- 독일 이탈리아 해군이 이미 쓰고 있는 검증된 모델인 TYPE 212A 모델의 개량형
- (한국이 불리한) 북극지역 작전경험
- 캐나다 희토류 개발 사업에 참여 
- 태평양 연안에 편중된 LNG프로젝트의 대서양 방면 개발투자

등이 있습니다. 





캐나다 총리가 올 10월 APEC 참석차 방한하는데 바짓가랑이 붙잡고 조선소 투어라도 돌려야 겠네요  
최종선정은 2027년중에 발표된다고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8/30 08:33
수정 아이콘
전통적인 잠수함 맛집 명가의 부활?
하하하하하하하하
25/08/31 08:41
수정 아이콘
100년 전통의~
마카롱
25/08/30 09:11
수정 아이콘
전략자산 같은 경우는 들러리 설 가능성이 매우 높죠.
Liberalist
25/08/30 09:24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실제 수주까지는 쉽지 않겠네요.
가이버
25/08/30 09:41
수정 아이콘
한가지 장점은 3천톤급 이상 재래식 잠수함 설계 및 건조는 독일이 경험이 없다는 것이겠죠?
25/08/30 10:16
수정 아이콘
노르웨이의 경우에는 독일과 정치 경제적으로 엮인게 많아서
그랬는데 캐나다가 독일과 정치경제적으로 교류를 많이 하고
있다면 들러리일 가능성이 높겠지요
singularian
25/08/30 10:32
수정 아이콘
기술 적합성(캐나다 임무 프로파일 상) 등 :
- 지속성/원양 전개/확장성: KSS-III 우위.
- 은밀성/나토 체계/혈통: 212CD 우위.
- 산업(가중평가): 양측 모두 경쟁적 패키지 가능. 다만 한국은 배터리·전자·조선 결합 ITB로 규모의 경제를 제시하기 용이. 산업적 포트폴리오는 물론이고 지상방산도 있어 다양함.
- 일정·납기(공백 회피): 한국의 KSS-III가 상대적으로 유리, 독일의 212CD는 납기 늦는 것이 상수.
- 운용 실적: KSS-III는 현물 실함 운용 데이터 누적, 212CD는 ‘신규’.

독일 리스크 : KSS-III(3,700톤) 보다 작은(2,500톤) 체적으로 북극 얼음을 극복해야하는 작전에 불리. 납기 준수(메누리도 모르는 납기), 212CD는 완성 모델이 없고 초도함 제작 중, 212CD는 북극 운영 경험 없음, 티센크루프 사업부 분할.
정치권이 나토 정서에 정치적으로 매달리는 핵심 이유 : 조선업 기술적 우위 유지 의지 부족에 ThyssenKrupp의 전략적 포기. 조선 핵심 사업부 매각 시도했으나 매각 실패. 아무도 안삼. 그래도 사업부 분할은 진행.

핵심은 캐나다가 “실용성(Pragmatism)”을 선택할 것인가, 아니면 “동맹이란 정치적 상징(Alliance politics)”을 우선할 것인가라는 문제가 서로 상충됨. 개인적으로 가능성 51%로 봄. 왜냐하면 캐나다는 스마트 하니까.
가이버
25/08/30 14:03
수정 아이콘
저도 의견에 동의합니다.

캐나다도 잠수함이 급한 걸로 아는데 도산안창호 급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포프의대모험
25/08/30 12:41
수정 아이콘
납기가 별로 안중요한듯 자꾸 유럽거쓰네
미드웨이
25/08/30 13:28
수정 아이콘
러우전쟁이라는 특이한 상황때문에 러시아랑 육지로 연결된 지역들이 당장 무기가 급해서 납기가 빠른 한국이 이득을 크게 본거죠. 그거 아니었으면 폴란드에 지금처럼 대량수출은 어림도 없었을테니
25/08/30 12:43
수정 아이콘
당장 발등에 불이 안떨어지니까 납기같은걸 신경안쓰지..

폴란드가 그거에 치를 떨고 우리쪽으로 돌아선거고
국수말은나라
25/08/30 13:13
수정 아이콘
독일과 폴란드는 한일 관계 아닌가요? 원래 가까우면 친구 아님 원수라서 오히려 한국제가 경쟁 열위가 아니었을듯

잠수함은 원조맛집이 독일이니 조선강국인것과 별개로 쉽지 않아 보이네요
미드웨이
25/08/30 13:23
수정 아이콘
한국제가 경쟁 열위죠. 독일이 EU에 돈을 넣고 EU가 폴란드에 예산 지원을 해주는 상황에서 폴란드가 무기를 사는건데요.

한일관계라는 생각도 잘못된거고요. 가까우면 원수가 아니라 지금은 EU내 파트너로서 친구관계라 봐야죠.
콩순이
25/08/30 14:33
수정 아이콘
그래서 주식 뭐 사면 되는 건가요?
다람쥐룰루
25/08/30 15:06
수정 아이콘
잠수함사업정도 되면 5년쯤 늦어지는게 그렇게 큰 리스크가 아닌가보죠
폴란드가 전차사는 정도의 다급함이 있어야 한국산을 구매한다 이건가
25/08/30 21:50
수정 아이콘
납기아니면 한국제 살 이유가 없죠.
탑클라우드
25/08/31 07:45
수정 아이콘
비록 소액 주주이기는 하나, HD계열사 여럿이 차지하는 포트 내 비중이 높은지라,
이번에는 평소보다 좀 더 열렬히 응원하는 마음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5302 [일반] 런던베이글뮤지엄 직원 과로사 사건 [194] 롤격발매완료13438 25/10/28 13438 14
105301 [일반] 자고 일어나니 재벌그룹이 해체됨 [36] 신정상화11324 25/10/28 11324 24
105300 [정치] 윤석열 "니가 뭔데! 내가 대통령이야!" [175] 코로나시즌13810 25/10/28 13810 0
105299 [정치] 서울 자치구별 30평대 아파트 수익률(CAGR:2006-2025년) 계산 [94] 바람돌돌이7233 25/10/27 7233 0
105298 [정치] '대북송금' 안부수, 규정 어기고 검찰청서 딸과 면회 [11] 베라히7072 25/10/27 7072 0
105297 [정치] 싸우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94] Neuromancer12712 25/10/27 12712 0
105296 [일반] [주식] 콩고기의 난 [52] 깃털달린뱀8266 25/10/27 8266 5
105295 [일반] 유동성의 파티 끝에는 뭐가 있을까요 [92] Hydra이야기9316 25/10/27 9316 4
105293 [정치] 코스피, 장중 4,000선 돌파…역대 처음 [237] 전기쥐12786 25/10/27 12786 0
105292 [정치] 자게 #105255. "돈을 번 아파트, 돈을 못 번 아파트 분석" 글에 대한 비판 [37] 달푸른6711 25/10/27 6711 0
105291 [일반] 9박 11일 폴란드 여행기 Day 1. (data 주의, scroll 주의) [7] 강력세제 희드라3702 25/10/26 3702 12
105290 [일반] 2025년에 가장 많이 들은 일본노래 [6] Pika485622 25/10/26 5622 0
105289 [일반] 램 3~50% 가격 상승에도 추가 상승 전망 [69] SAS Tony Parker 9398 25/10/26 9398 1
105288 [일반] [팝송] 도자 캣 새 앨범 "Vie" [3] 김치찌개4719 25/10/26 4719 2
105287 [정치] 보이지 않는 유권자/정치참여자가 된 그룹들 [51] 유동닉으로8600 25/10/25 8600 0
105286 [일반] 올해 5급 공채시험 수석/최연소 등 면면들 [46] 흰둥9109 25/10/25 9109 5
105285 [일반] 자동차 '페달 오조작 방지장치' 2029년부터 장착 의무화 [22] 굄성7632 25/10/25 7632 5
105284 [일반] 너무 늦게 쓰는 한달짜리 미국 여행기(스압) [15] 퀘이샤4940 25/10/25 4940 11
105280 [일반] 안녕하세요. 자유게시판 운영위원 마르코입니다. [27] 마르코6482 25/10/25 6482 50
105278 [정치] 김어준이 이번 부동산 정책에서 의외로 조용한 이유? [241] petrus12538 25/10/25 12538 0
105277 [일반] 부고니아(지구를 지켜라 리메이크) 감상평 [6] 흰긴수염돌고래4889 25/10/25 4889 5
105276 [일반] 실생활에 체감될 듯한 '다크패턴' 규제정책 [23] 오컬트6757 25/10/25 6757 15
105275 [정치] [속보] 이상경 국토차관 사의표명 [193] petrus13889 25/10/24 1388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