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7/23 19:40:47
Name Categorization
Subject [일반] AI에 대한 두려움 극복 방법 (수정됨)

생각해보면 '원래 이런 것이 중요했다'라는 생각이 들 때가 있습니다. 사실, 희미했을뿐이지 그 중요성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었습니다.
세상은 점점 복잡해지지만, 동시에 점점 명확해지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보다 명확하지않아 보이지않았던 것이지만, 지금은 명확해진 것,
AI의 등장은 여전히 중요했지만 희미했던 것을 명확히 해줍니다. 그것은 '인간다움'이라는 것인데, AI는 인간 일부분의 모습이고, AI가 인간의 일부를 가져가므로써 인간의 '인간다움'의 농도는 더욱 높아질 것입니다.

인간의 두려움은 '막연한' 두려움일 때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상황, 현상에 대한 두려움은 그것의 본질을 잘 모를 때 증폭됩니다.
정확한 원인, 근본을 알게되면 두려움의 크기는 작아지고 우리는 그만큼의 편안함을 느낍니다. 세상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성장합니다. 지금 이순간에도 인류는 진화하며 세상의 변화와 성장을 만들어냅니다. 발전하는 세상속에서 한 개인으로써 인간은 때때로 불안하고 두려워집니다. 전인류 80억명이 만들어낸 변화를 스스로가 감당해내야하기때문입니다. 이미 시작된 AI시대도 마찬가지입니다. 전화기, 컴퓨터, 인터넷, 스마트폰에서 AI로 이어지는 시대의 변곡점은 한 개인으로써 적응해야할 대상입니다. 대상에 대한 두려움이 낮아질 때 우리의 안정감은 커지고 안정감이 커지면 그만큼 적응할 수 있습니다.

AI의 최대 약점은 자의식(Cousciousness, Awareness)이 없다는 것입니다. 생명이 있는 존재만이 가지고있는 자의식이 당연히 AI에게는 없습니다. AI는 자기가 AI인지도 모르며, 이는 AI의 발달로 만들어지는 박사급의 지능 혹은 IQ 200, 300에 도달하는 지능을 가진 AI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리고 때때로 우리는 AI와의 대화에서 감동을 느낍니다. 이는 사실 자기가 자기 얘기를 듣고 느끼는 감동이며 AI가 살아있는 것 같다고 느끼는 것은 인간의 착각입니다. 자의식이 없는 AI, 인간과 AI의 주종관계는 여기서 성립됩니다.

AI는 일정부분 인간을 대신하게 되는데 이는 '일'의 영역이지 '감정'의 영역은 아닙니다. AI는 인간의 '일'을 대신해주기위해 만들어진 것이지, 인간의 '감정'을 대신 느끼기위해 태어난 것이 아닙니다. 자의식이 없이 일만하는 AI를 통해 인간은 좀 더 인간다운 일에 자기 시간을 쓰고 집중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인간이 보다 인간다워질 때  AI와의 격차는 분명 유지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인간이 자신의 감정의 영역을 더욱 강화할때 인간과 AI의 주종관계는 유지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인간다워지기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첫번째로, 나는 무엇을 할 때 일상에서 행복함을 느끼는가? 나는 무엇을 좋아하는가?에 대해서 스스로에게 지속적으로 질문해봐야합니다.
인간다움의 길은 스스로가 느끼는 '감정'에 있으며, 이에대해 자기자신을 향한 고민을 해야합니다. 행복한 감정은 인간만의 영원한 고유권한인데, 튼튼한 행복감은 나와 AI를 보다 명확히 구분해 줄 것이며, 이를 위해 자기만의 일상속 소소한 행복을 많이 만들면 만들수록 좋습니다.

두번째로, 인간의 판단력과 방향설정능력입니다.
앞으로 저마다 AI의 사용으로 인간의 능력은 상향 평준화 될 것입니다. 하지만 이것이 인간간의 완전한 평준화를 의미하지는않습니다.
개인 스스로의 판단력과 방향설정능력의 차이가 인간의 능력의 차이를 만들 것입니다. 인간은 AI가 만든 결과물의 적합성과 우수성에 대해서 판단을 해야하며, AI가 인간에게 감동을 주는 결과물을 만들게 하기 위해서는 AI가 어떻게 시작하는게좋을지 그 방향을 알아야합니다.
그러기 위해 인간과 AI의 결과물들을 많이 보고 읽고 그것의 의미를 이해하려고 노력해야합니다.

세번째로, 자기 생각의 표현입니다.
인간의 생각, 상상은 표현할 때 비로소 가치를 가지게됩니다. 여기서 가치라는 것은 자기 자신을 좀 더 명확하게 알게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입니다. 자기 얘기를 하면 할 수록 자기자신에 대해서 알게되듯이 건전한 상상을 건전한 방법으로 표현하면 그것은 다시 자기자신에게 돌아옵니다. 인간의 자의식은 생각의 표현으로 좀 더 명확하고 단단해집니다.

AI시대, 인간이 AI로 인해 보다 행복해졌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다시마두장
25/07/24 02:59
수정 아이콘
제가 요새 품고 있는 AI에 대한 두려움은 제 일자리가 언제라도 금방 대체될 수 있다는 지점에서 나오는 것이라 그쪽 관련된 주제일 줄 알았는데, 보다 근원적인 주제라 뭔가 부끄럽기도 하고 리프레싱 되는 기분이었네요. 분명 AI라는 주제가 막 침투하던 시절엔 이런 거시적인 부분에서의 두려움이 앞섰는데 이제는 현실의 제 밥그릇 걱정이 앞서는 걸 보니 이제 AI가 저의, 그리고 우리의 일상에 당연한 요소로 녹아들어 있다는 걸 새삼 느끼게 됩니다.

마침 AI 관련 밥그릇 걱정과 맞물려 '내가 하고 있는 일을 어차피 끝까지 못 할거라면 내가 행복할 수 있는 일을 찾아보는것도 좋겠다'는 생각도 하던 차라 말씀해주신 부분에 공감이 되네요. 좋은 글 잘 읽엇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891 [일반] 110가지 짧은 생각 [10] 번개맞은씨앗9416 25/08/31 9416 4
104890 [정치] 윤석열·김건희 모두 당황시킨 '비화폰 통화기록' 이렇게 나왔다 [26] Davi4ever11710 25/08/31 11710 0
104889 [일반] 30대 중반 들어서며 시작한 자기관리 [20] 피를마시는새6801 25/08/31 6801 5
104888 [정치] 김진태가 이재명 거들어주는 희귀한 영상 (feat. 권성동) [71] Davi4ever9382 25/08/31 9382 0
104887 [일반] GPT 5에게 탈모인을 위한 주기도문,사도신경,십계명을 쓰라 해보았습니다 [15] SAS Tony Parker 5315 25/08/31 5315 2
104886 [일반] [초장문주의] 프라하 & 바르셀로나 여행 잡다 정보 [7] 낮잠대장5910 25/08/31 5910 6
104885 [일반] [팝송] 마룬 5 새 앨범 "Love Is Like" [3] 김치찌개4587 25/08/31 4587 2
104884 [일반] 귀멸의 칼날을 전혀 모르는 사람이 영화보고 온 간단 후기.. ( 스포유.. ) [10] 마르키아르6683 25/08/31 6683 2
104883 [일반] <노바디 2> - 독특함은 줄었지만. (노스포) [11] aDayInTheLife5399 25/08/30 5399 1
104882 [일반] 6월 말에 곡 발표 하나 했었습니다~^^ [8] 포졸작곡가4779 25/08/30 4779 12
104881 [일반] 수건 돌리기 [4] 초모완6201 25/08/30 6201 16
104880 [일반] 美항소법원 "상호관세 불법," 트럼프 "상고하겠다" [39] lightstone10965 25/08/30 10965 5
104879 [일반] [방산] 60조 캐나다 잠수함 사업, 한화오션-HD현대 컨소시엄 최종진출 [17] 어강됴리8897 25/08/30 8897 7
104878 [일반] 당신의 통찰은 안녕하십니까? [11] 최적화8030 25/08/30 8030 25
104877 [정치] ‘바른말’만 할 줄 아는 샌님들의 한계 (안철수, 유승민 편) [241] Quantumwk13283 25/08/30 13283 0
104876 [일반] 천마신교에서 마광수까지. [15] 일월마가5986 25/08/29 5986 6
104875 [일반] [역사] 세계사 구조론 - 서세동점은 필연이었는가? [51] meson8380 25/08/29 8380 33
104874 [정치] 특검, 김건희 구속기소…역대 영부인 재판행 첫 사례 [137] Davi4ever14230 25/08/29 14230 0
104873 [일반] 초간단한 목적론과 존재론 [95] 번개맞은씨앗9462 25/08/29 9462 0
104872 [일반] 검정고무신 2심 판결 "출판사, 이우영 작가 유족에 4000만원 손해배상" [7] 빼사스12078 25/08/28 12078 6
104871 [일반] 유명 데뷔곡들의 추억 [40] Poe8354 25/08/28 8354 7
104870 [정치] 한덕수 구속영장이 기각되었습니다 [70] 짭뇨띠18270 25/08/27 18270 0
104869 [일반] 의지란 무엇인가 [23] 번개맞은씨앗8414 25/08/27 8414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