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12/06 03:24:32
Name 후추통
Subject [정치] 어떤 무기력한 자의 회고와 기도
에...일단 제 성향은 극도의 친노친문반명성향입니다.

그래서 이재명 XXX

전 민노당을 좋아했고, 지선이나 총선에서 가능하다면 표를 줬으며 이후에 정의당으로 넘어갔죠. 그러던 와중 안철수의 "새정치","혁신전대"라는 말에 정말 열이 받아서 새정련에 입당했습니다. 원래 김한길을 증오하기도 했지만요. (제가 민노당이나 정의당에 더 관심이 많고 지지를 보낸 이유도 김한길의 온갖 잡질때문이기도 했습니다.)

12~13년에는 피지알에 글을 올리며 어느정도 정치를 잊었지만(사실 그때 박근혜의 당선으로 인해 멘탈이 산산조각났었습니다) 2014년 김-안의 온갖 패악질에 넌덜머리가 났던 때(당시에 할아버님이 돌아가시고 집안에 풍파가 이는 등 는 창고관리직을 전전하면서 정치를 잊어봤고, 15년에는 해외 롤을 보고 분석하며 정치에 신경쓰지 않았습니다. 국정농단 정국을 거쳐 17년, 문재인 대통령이 당선되었을때 "이제 뭐 다시 롤보고....그러면 되겠네 뭐"

근데...제가 응원하던 CJ 엔투스가 날아가더라구요? 하하하..

뭐 코로나때는 이거 저거하면서 자가격리도 당해보고....하하하...

에..저는 이재명을 굉장히 혐오합니다. 17년 대선경선과정에서 벌어진 이재명의 "손가락혁명군"과 그들의 패악질에 질려버린 사람이거든요. 거기다 뭔 오렌지 색을...

거기다 성남시장 시절이나 경기도지사 시절 보여줬던 굉장히 과격하고 합의 따윈 개나줘버려라 하는 스탠스에서도 저는 정말 질렸습니다. 20대 때의 과격한 양비론이나 비회색지대론에 틀어박혀 살던 시기에서 30대 초반으로 들어오면서 저 양비론과 비회색지대론을 산산히 깨부숴버린 사건이 저에게 있었기 때문에, 그리고 그 사건으로 인해 저는 매우 중요한 것을 잃었기 때문에 이재명의 그런 행태를 매우 혐오합니다. 물론 오늘도요.

-----------------------------------------------------------------------------------------------------------

23년 12월 이후 전 다시 정치에 눈을 두기 시작했습니다. 이유는 화가 났기 때문입니다.

비명횡사 공천이다. 라고 말이 나오면서 이낙연을 비롯한 비명계들은 당을 탈당해 신당을 만들었습니다.

정말 화가 났습니다. 이재명이 아닌 비명계들에게요.

"공천에 불만이 있다면 경선을 요구하고, 그 경선에 당당히 승리해서 말해야지 고작 한다는게 탈당인건가? 정치인이 되어서 당에 남아 본인이 생각하는 불만을 제대로 말도 못하는 자들이 비명횡사 공천을 말하는게 타당한가?"

저는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문재인, 윤석열을 뽑는 대선 투표를 모두 참여했습니다. 그리고 투표 과정에서 모멸감에 몸서리친 대선이 두번 있는데 바로 이명박과 윤석열이 당선된 대선입니다.

이명박vs정동영의 선거가 질걸 알면서도 투표해야했던 선거였다면, 윤석열 vs 이재명은 둘 다 증오하는데 어쩔수 없이 이재명에게 표를 주어야 하는 나 자신에 대한 모멸감에 휩싸인 선거였습니다.

그리고 그날 전 투표를 마치고 집에 들어와 샤워기를 틀고 펑펑 울었습니다. 차라리 포기할걸. 거기에서 투표하지 말걸. 이렇게 모멸감에 미쳐 문을 잠궈두고 우는 것밖에 못할거면서 투표는 왜 했냐며. 선택지가 없던 나에게 결국 세상에서 가장 증오하는 사람 중 한명에게 내 표를 줬다는 모멸감은, 눈물 콧물과 토사물까지 나오고 탈진한 뒤에도 저를 감쌌습니다.

-----------------------------------------------------------------------------------------------------------

어떤분과 잠깐 대화를 나눌때 윤을 두고 대화를 나누다가 이런말을 한 적이 있습니다.

"전 이거보다 더 못할거라 예상했어요."

그게 12월 1일 오전 11시 24분 이었습니다. 그리고 12월 3일. 제 생각보다 더 심각한 일이 터졌습니다.

저는 광주사람입니다. 몇번 말한적 있지만 5.18의 거의 한 가운데인 전남대 정문이 제가 뛰어다니며 놀던 곳입니다. 1980년대 그곳이 어떻게 생겼는지 아직까지도 기억하고 누가 살았는지도 가끔씩 꿈에 나옵니다. 그리고 거나하게 취하신 어르신들이 그때 당시의 상황과 본인들이 느낀 공포를 지겹도록 들으며 살았고, 어떤 시점까지도 매해 4월부터 터져나가는 최루탄을 맡으며 건물 틈에 낀 최루탄 가루가 조금 부는 바람에 퍼지며 다시 또 눈물 콧물 짜며, 빈틈없이 비가 내려 잔존 최루탄이 씻겨 내려가는 것에 기뻐했죠.

최근 저는 5.18 당시 그때 동네에 사셨던 분들의 감정을 비슷하게 느낀것 같습니다. 처음엔 의문, 다음은 공포, 마지막엔 분노.

냉담자가 된 지금이지만, 저는 기도를 올리는 것 밖에 할 수 없네요.

"신이시여. 위기에 빠진 제 조국과 제 조국의 민주주의를 지켜주소서. 오늘의 민주주의를 위해 피흘린 분들의 피가 증발하지 않게 해주소서. 제 조국과 조국의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자들을 징벌하고 처단할 기회를 주십시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전자수도승
24/12/06 03:33
수정 아이콘
일단 "대머리의 마음은 타들어간다"(Cool head and warm heart.) 가 돼야죠
머리에 열이 너무 뻗히면 과격해지고, 과격해지면 실수하기 쉽습니다
그럼 님이 그렇게 싫어하는 손가혁과 비슷한 짓을 하게 되실 겁니다

원래 민주주의는 피곤한 제도라죠
모든 유권자들의 평균 수준에 맞는 정부가 구성되기 때문에 모든 유권자들은 필연적으로 항상 날이 선 상태로 정치를 바라봐야 하니까요
중력과 돈, 그리고 권력은 원래 놔두면 한군데로 모이는게 자연의 이치인데 이걸 한땀한땀 인위적으로 분산시켜놓은 제도니 얼마나 피곤하겠습니까만은
그 날선 깨어있음이 유지되지 않으면 한순간에 사그라들 수 있는 제도라서 말입니다
후추통
24/12/06 03:46
수정 아이콘
마음은 진짜....그나마 어쩔수 없이 지방에 사는게, 그리고 부모님을 돌볼 사람이 당장은 저 혼자라는게 다행인지 불행인지..

제가 잃은 소중한 분 때문에 민주주의는 피곤하지만 게으른자는 할 수 없는 것이다라는 걸 느낍니다.
알아야지
24/12/06 07:08
수정 아이콘
다행히 뮨파는 되지 않으셨군요
24/12/06 08:34
수정 아이콘
저도 90년대 광주에서 살았습니다.

저는 반 민정당 스탠스라서 노무현 문재인 이재명 찍을 때 별 다른 고민이 없었죠.

아 정동영은 찍으면 서도 기분이 더럽긴 했네요.

개인적으로 이재명이 소인배긴 하지만 정치력이나 행정력은 있어서 크게 문제 될 게 없다고 봤는데

왜 그렇게 증오하시는지 궁금하네요.
Far Niente
24/12/06 10:40
수정 아이콘
심경이 절절히 담긴 글 잘 읽었습니다.
다만 투표하고 울고 토까지 하실 정도라니 본인 건강을 해칠 정도로 정치에 너무 과몰입하시는 것 같아 걱정이 되네요.
후추통
24/12/06 10:49
수정 아이콘
정치 과몰입보다는 제 자신에 대한 혐오감이 더 컸어요. 차선 대신 차악을 뽑아야한다고 생각했는데 극악을 거부하기 위해 최악을 뽑았다고 생각해서요.

다시는 이런 정치구도 안올거라고 생각했는데 이런 상황이 된것도 화가 났고 거기다 이낙연...하아...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3392 [일반] 새해 첫날 새옷을 입어본 결과 [24] LA이글스7331 25/01/02 7331 2
103391 [정치] 與 법사위원들 “尹 체포 영장, 삼권분립에 위배 원천 무효” [52] 철판닭갈비13799 25/01/02 13799 0
103390 [정치] 국회 소추인단, 편지 헌재에 제출하기로(수정) [18] 빅프리즈11369 25/01/02 11369 0
103389 [일반] 아니 시내 한복판에서 170을 밟으시면.. [47] Lord Be Goja12644 25/01/02 12644 7
103388 [일반] 재즈피아노를 1년 동안 / 하루 1시간씩 연습했을 때의 결과물 [15] 79년생8443 25/01/02 8443 7
103387 [일반] 오래만의 독서의 당혹스러움-한국 인터넷 밈의 계보학을 읽고 [5] ekejrhw349746 25/01/02 9746 5
103386 [정치]  현행범으로 체포하겠다 [78] 키르히아이스19060 25/01/02 19060 0
103385 [정치] 윤석열 "끝까지 싸울것", 지지자들에게 신년메시지 [148] 어강됴리20081 25/01/01 20081 0
103384 [일반] 해외 여행지에서 중국인 만났던 기억 [29] 럭키비키잖앙10458 25/01/01 10458 0
103383 [정치] 대한민국에서, OO할 권리 [15] 니드호그11978 25/01/01 11978 0
103382 [일반] [서평]《오일러가 사랑한 수 e》 - 역사를 통해 수학 상수 e를 찾다 [13] 계층방정7892 25/01/01 7892 5
103381 [일반] [2024년 결산] 40살 다 되어서 첫 취업했습니다. [78] 삭제됨15037 25/01/01 15037 97
103380 [정치] 헌법재판관 2명 임명에 반발해서 사표를 내는 정부 인사들 [92] 매번같은19470 25/01/01 19470 0
103379 [정치] 오늘의 여론조사들 [71] 감모여재14095 25/01/01 14095 0
103378 [일반] 24년 들은 노래 중에 취향이 맞는 사람들에게 소개하고 싶은 노래 5곡 + a [1] 차라리꽉눌러붙을7090 25/01/01 7090 5
103377 [정치] 방첩사 여인형, 수방사 이진우 기소장, 국회 해산 가능한가 검색 [27] 빼사스11824 25/01/01 11824 0
103376 [일반] 2025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31] 바밥밥바5712 25/01/01 5712 20
103375 [일반] [2024년 결산] 한 해 취미 활동 결산 [9] 메존일각6572 24/12/31 6572 5
103374 [일반] [2024년 결산] 2024년을 마무리하는 달리기.jpg [4] insane7627 24/12/31 7627 6
103373 [일반] [2024년 결산] 개인적으로 뽑아본 2024년 올해의 노래.list [5] eigergletscher9156 24/12/31 9156 5
103372 [일반] LLM을 대학 교실에 도입하는 것은 필연적인가? [15] 스폰지뚱7960 24/12/31 7960 0
103371 [정치] 최상목 대행 헌재 재판관 2명임명, 쌍특검법은 거부 [365] 감모여재31804 24/12/31 31804 0
103369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63. 집 호(戶)에서 파생된 한자들 [9] 계층방정8762 24/12/31 8762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