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9/03 23:32:38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3571318029
Subject [일반] <희생> - 다시, 근원의 질문으로. (스포)
근 2주가 지난 이야기이긴 합니다만, CGV 아트하우스에서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감독전을 하고 있습니다. 저는 이번 기회를 통해서 처음 접하게 되었구요, <희생>을 봤습니다.

<희생>의 이야기는 굉장히 난해합니다. 스토리를 요약하기도 쉽지 않구요, 어찌보면 굉장히 뜬금없는 일들이 벌어지기도 합니다. 솔직히 말하자면 당황하지 않았다면 거짓말일 것 같기도 하구요. 그래서 이번 글은 어찌보면 리뷰라기 보단 그저 하나의 감상문에 가까운 글일 수도 있겠네요.

니체, 윤회 등의 이야기들이 초반부를 나오지만, 아무래도 영화의 가장 중심에 놓여진 이야기는 성서적 신화의 이야기가 아닐까 싶습니다. 동시에, 그 신화적 이야기를 어떻게 개인이 '받아들이느냐'에 대한 이야기일 수도 있겠네요. 영화의 오프닝 크레딧을 장식하는 다빈치의 '동방박사들의 경배'와, 죽어버린 나무를 심어 물을 준다는 이야기로 시작과 끝을 장식하는 것은 그 신화적 이야기로 걸맞은 시작과 끝이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믿음이 없던 이가 세상의 종말 앞에서 구원 받은 뒤로, 집을 불살라 희생제를 지내고, (다시) 말문이 트인 아이의 유일한, 그리고 영화의 끝을 장식하는 대사로 '빛이 있으라'를 되묻는 것은, 그런 점에서 하나의 거대한 윤회 내지 원을 그리는 것 같기도 합니다. 그래서, 어찌보면 앞서 언급한 윤회나 니체 같은 것들이 빠져도 될 것 같으면서도, 또 굉장히 중요한 물음들을 던지고 있는 건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영화 외적으로 바라보면, 이 영화는 타르코프스키 감독의 유작입니다. 암으로 시한부 선고를 받고 만든 작품으로 알고 있는데요, 그런 점에선 이 영화는 약간... 유서 같기도 합니다. 모든 것이 끝났으면 좋겠다는 마음을 가지고 있지만, 확실한 세상의 끝에서는 번뇌하고, 또 구원을 바라기도 하구요. 바흐의 마태수난곡이 흘러나오며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라고 말하는 이 영화는 분명 냉전 막바지의 공포감을 담고 있으면서도, 그 상황을 자세히 묘사하진 않으면서 상당히 '일반적'인 이야기로 변환합니다.

저는 이 영화가, 떠나온 자가, 돌아갈 곳을 태워 바치는 영화가 아닐까 싶습니다. 어떤 점에서는 노사제의 마지막 희생제를 보는 것 같다는 느낌을 받기도 했어요. 그리고, 이야기는 다시금, 다음 세대가, 처음으로 시작하는 건 아닐까, 그렇게 생이라는 게 시작하는 건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사다드
24/09/04 07:17
수정 아이콘
주7일 근무로 바쁘게 살다보니 감독전 하는것도 몰랐네요. 자주 영화 보시고 사유하시는 것이 부럽습니다. 타르코프스키의 <봉인된 시간>을 읽어보시지 않으셨다면 권해드립니다. 제 인생책입니다.
aDayInTheLife
24/09/04 07:46
수정 아이콘
고생많으십니다. 저는.. 그냥 다른 거도 해보고 싶긴 한데 집중력이 딸려서 영화를 주로 보게 되더라구요.
책 추천 감사합니다. 읽어보겠습니다!
MurghMakhani
24/09/04 08:49
수정 아이콘
이동진의 언택트톡으로 봤는데 이동진씨가 자기가 언제 타르코프스키 얘기를 또 해보겠냐면서 엄청 열심히 얘기하시더라고요. 흥미로웠던 것은 이 작품이 타르코프스키 작품세계를 집대성한, 말씀하신 대로 유작인 게 너무나도 잘 어울리는 작품이었던 것과는 달리 영화를 만들 당시 타르코프스키는 자신이 시한부 상태라는 것을 몰랐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아들에 대한 극중 주인공의 애틋한 마음은 당시 타르코프스키 본인의 상황이 많이 투영된 거라 합니다. 아들을 러시아에 두고 이탈리아에 망명하게 되어 한참동안 볼 수가 없었다 하니... 사실 저는 영화 볼 때 왜 그렇게 아들에게 눈물겨울 정도로 애틋한 마음을 보내는지 확 와닿지는 않았는데(영화 내 중요한 사건과는 별개로 주인공-아들 간의 관계는 그저 계속 함께 사는 관계였으니까요) 해설을 들으니 좀 알겠더라고요.
aDayInTheLife
24/09/04 09:32
수정 아이콘
우왕! 언택트톡!
저도 그거로 봤으면 좋았을 텐데 주말에는 시간이 없어서..
여튼 유작의 느낌이 물씬 풍기면서도 또 막상 자신이 시한부인 걸 몰랐다니 흥미롭네요.
말을 걸던 주인공 대신 말을 하는 아이로, 어찌보면 이것도 다음 세대에게 횃불을 넘기는 영화일지도요.
24/09/04 08:59
수정 아이콘
대사 분위기 상황 발성 전개 모두 초중반에 불쾌해서 견디기가 쉽지 않았는데 오히려 영화를 다 보고 나니 감독의 의도에 대해 여러 측면에서 고민해볼 수 있는 영화였습니다
aDayInTheLife
24/09/04 09:33
수정 아이콘
굉장히 어려우면서.. 또 묘하게 의도적인 부분들이 있더라구요. 쉽진 않지만 다시금 행간을 들여다보게 만드는 영화였습니다.
24/09/04 11:57
수정 아이콘
감독의 의도를 전달하기 위한 목적에서는 의도적으로 관객의 불편을 유도할 수도 있는 거겠죠? 알못이라 갈 길이 머네요 크크
aDayInTheLife
24/09/04 12:13
수정 아이콘
아 그래도 좀.. 떠멕여 줬으면 좋겠어요 크크크크
짐바르도
24/09/04 13:58
수정 아이콘
소싯적 영화광 혹은 영화광 지망생들의 필수 코스였죠... (사실 이해 거의 못함)
aDayInTheLife
24/09/04 14:07
수정 아이콘
(저도 이해 못함)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5189 [일반] [팝송] 에드 시런 새 앨범 "Play" [2] 김치찌개4483 25/10/12 4483 1
105188 [일반] 노스포] 달리는 인간들의 찬가 - 영화100m가 보여준 ‘나다움’의 진짜 의미. [13] 대장햄토리4493 25/10/12 4493 2
105187 [정치] 한국의 중산층과 사다리-중산층이 늘어나서 중산층이 붕괴된다 [115] 유동닉으로11537 25/10/11 11537 0
105186 [일반] 트럼프 "APEC서 시진핑과 회담? 그럴 이유 없는 듯" [92] 빼사스17211 25/10/11 17211 2
105185 [정치] 다이나믹 재팬, 골라봐 다카이치 지옥불 or 용광로 쇳물 or 식물총리 [62] 후추통15846 25/10/10 15846 0
105184 [정치] 압수수색영장을 법원이 기각할 확률은 얼마나 될까? [73] SkyClouD11101 25/10/10 11101 0
105183 [정치] 2025 노벨 평화상 수상자는...두두두두두두두 [56] Janzisuka11660 25/10/10 11660 0
105182 [일반] 한국 대중가요 전성기라 불리는 1990년대의 어두운 점: 표절 시비 [152] Quantumwk11722 25/10/10 11722 17
105181 [일반] 日 공명당, 다카이치 자민당 총재에 자민-공명 연립 이탈 표명 [41] 전기쥐6613 25/10/10 6613 0
105180 [정치] 과연 그는 펨코 유저가 아닌가? [139] 마라떡보끼10147 25/10/10 10147 0
105179 [정치] 그래도 되는 사람, 그럼 안되는 사람 [87] 6728 25/10/10 6728 0
105178 [정치] R&D 삭감 주도했던 최상목 “과학계는 카르텔, 기재부는 엘리트” [128] 전기쥐10856 25/10/10 10856 0
105177 [일반] 삼전 구조대 전원구조 속보. [69] 캬라10122 25/10/10 10122 1
105176 [일반] <원 배틀 애프터 어나더> - 격렬하게 충돌하는 부조리와 불합리. (스포) [19] aDayInTheLife4126 25/10/10 4126 4
105175 [일반] 닉네임 변경 기능 오류 관련 공지 [39] jjohny=쿠마6385 25/10/09 6385 3
105174 [일반] 지식해적단) 한글 키보드 배열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47] 전기쥐6496 25/10/09 6496 20
105173 [정치] 동탄룩은 도시의 이미지를 왜곡하는 단어 [215] 롤격발매완료17491 25/10/09 17491 0
105172 [일반] 윈 10 소비자용 연장 지원 오픈 [31] manymaster7301 25/10/09 7301 1
105171 [정치] 내 아파트가격은 오르지 않았는데, 왜 아파트 가격으로 시끄러울까? [388] 바람돌돌이16981 25/10/09 16981 0
105170 [일반] 자본주의는 민주주의를 파괴할 것인가 [15] VictoryFood5455 25/10/09 5455 1
105169 [일반] [스포] 원 배틀 애프터 어나더 - 복수는 딸의 것 [6] 사부작3184 25/10/09 3184 2
105168 [정치] 세상이 정상화 되었으면 좋겠다. [45] 푸끆이6976 25/10/09 6976 0
105166 [일반] 한글날입니다. 닉네임... 바꾸실래요? [52] 닭강정4093 25/10/09 409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