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5/04/14 21:22:17
Name Riina
File #1 Goah_EVWcAAmw7q.jpg (171.5 KB), Download : 1090
Subject [오버워치] 창단 첫 우승을 기록한 T1


지난 주말 열린 SOOP 컵 결승에서 VP를 상대로 4 : 0 을 기록하면서 드디어 T1이 오버워치에서도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필라델피아 퓨전 - 서울 인페르날 - T1으로 이어지는 계보에서 첫 우승입니다. (컨텐더스 우승은 제외. 이게 다 카르페님의 은총이겠죠.)
팔콘, 라쿤, 제타가 다 참가하지 않은 대회라 빈집털이 우승임은 부정할 수 없지만,
OWCS 북미 우승팀인 NTMR과 유럽 우승팀 VP이 참가한 대회에서 무실세트를 기록하면서 한 우승이라 꽤 의미가 있습니다.

OWCS 코리아 스테이지 1만 하더라도 T1은 기대 이하의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제스트-바이퍼-프라우드-동학-스큐드-오프너라는 괜찮은 로스터에 댈러스 퓨얼에서 우승을 했던 러시 감독의 합류로 야심차게 출발했지만,
팔콘, 라쿤, 제타에게 전부 패배하면서 3강 체제에 균열을 내지도 못했고,
심지어는 한 수 아래라고 여겨졌던 WAY에게도 내리 패배하면서 아시아 진출조차 못했습니다.
작년 기준으로 한국에 티켓이 4장 주어졌던 EWC에 나갈 수 있을 지 부터 걱정해야 했던 상황이었죠.

그런데 이번 SOOP 컵에서 기대 이상으로 잘 해줬습니다.
우승은 가능할 수 있을거라 봤지만, 무실세트까지는 생각한 적이 없었는데 말이죠.
물론 온사이드 게이밍(구 FTG)는 OWCS 코리아에서 이미 T1이 압도한 상대고,
NTMR은 북미에게 국제대회 티켓을 두 장 주는게 맞나 싶을 정도로 끔찍한 경기력을 보여줬던지라 셧아웃이 이상하진 않았는데,
결승에서 VP를 상대로도 완승을 할 줄은 몰랐습니다.
VP는 북미보다도 수준이 더 높은 OWCS 유럽에서 무패 우승을 기록한 팀이고, 토요일 4강에서 WAY를 3:0으로 박살내면서 실력도 증명했던지라...

물론 아직 갈 길은 멉니다.
LOL이나 발로란트에서 했던 국제대회 우승을 하기 위해서는 팔콘, 라쿤, 제타를 넘어야 하니까요.
SOOP 컵 무실세트 우승이 그 시작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김삼관
25/04/14 21:32
수정 아이콘
오!.. 오버워치에서 우승을? 축하합니다. 소식 감사합니다.
25/04/14 22:36
수정 아이콘
T1 발로란트처럼 국제 대회를 나갈 수 있는 팀이 됐으면 좋겠네요. 발로란트 글도 잘 보고 있습니다.
문문문무
25/04/14 22:26
수정 아이콘
엥 오버워치 구단도 있었나요? 새로 생겼나?
쨋튼 티원이 구단을 확장했다는건 옵치판의 전망을 그럭저럭 긍정적으로 본다고 봐도 되려나요
25/04/14 22:36
수정 아이콘
리그 종료할 때 해체했다가 올해 새로 창단했습니다.
블리자드에서 파트너 프로그램을 올해부터 시작하면서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생기기도 했고,
EWC에서 여러 종목에 참가해서 받을 수 있는 돈도 있기 때문에 오버워치 팀을 만드는 이스포츠 구단이 늘어났습니다.
문문문무
25/04/14 22:46
수정 아이콘
하 진짜 좀 잘됐으면 좋겠네요 옵치가 그렇게까지 멸망할 판은 절대 아니라고 보는데 흠... 뭔가 인식을 개선시키고
대량으로 유저들에게 츄라이 시킬만한 계기만 있으면 참 좋을텐데 말이죠

쨋튼 그런 관점에서 티원이 다시 구단을 창단하고 우승을 차지했다는건 좋은 시그널이네요
25/04/14 22:55
수정 아이콘
최근 운영은 꽤 잘 하고 있는데 말이죠.
PC함도 많이 없어졌고, 콜라보도 잘 하고 있고, 로드맵 대로 개발 잘 되고 있는데...
워낙 인식이 안 좋게 박혀서 안타깝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1149 [발로란트] 한국팀 총출동 ! 젠지 디알엑스 티원 누가 이길래 [2] 김삼관7569 25/04/26 7569 0
81148 [LOL] 어제오늘 경기후기 [37] 하이퍼나이프14820 25/04/25 14820 3
81147 [기타] 나는 왜 베데스다에 화가 나는가 [15] 인간흑인대머리남캐10110 25/04/25 10110 24
81146 [기타] 베데스다 소프트의 오블리비언 리마스터 한국 지역락 이유가 대충 나온 것 같습니다. + 베데스다 공지도 나왔습니다 [72] kapH15021 25/04/25 15021 1
81145 [LOL] 2025 시즌 쵸비 상대로 무패를 달리는 미드 [36] 비오는풍경16220 25/04/24 16220 2
81144 [발로란트] 왕조의 몰락 LOUD, 리빌딩 움직임 시작. [5] 일렉트8524 25/04/24 8524 0
81143 [마비노기 모비일] 점검 + 3캐릭 키운 시점에 써보는 마비노기모바일 뒷담화 [18] 겨울삼각형9272 25/04/24 9272 0
81142 [발로란트] 퍼시픽 리그 한국팀 DRX, Flashback 선수 샌드다운 결정. [4] 일렉트8459 25/04/23 8459 1
81141 [LOL] (LoL esports X) 역대 최고의 다전제는? [79] 라면12635 25/04/23 12635 0
81140 [발로란트] 끝없이 추락한 FURIA, 리빌딩을 위한 움직임 보인다. [2] 일렉트7035 25/04/23 7035 0
81139 [LOL] 데프트가 평가한 BFX 바텀 [32] 반니스텔루이13345 25/04/23 13345 3
81138 [스타1] ASL 시즌 19 8강 대진표.JPG [16] insane11113 25/04/22 11113 0
81137 [발로란트] 한국 챌린저스팀 T1 Academy, Pkm 선수 합류 [4] 일렉트7143 25/04/22 7143 0
81136 [오버워치] OWCS 챔피언스 클래시 리뷰 - 크레이지 라쿤 우승 [2] Riina7120 25/04/22 7120 0
81135 [LOL] 유명 프로게이머 코치 결국 입영 [188] 카루오스21377 25/04/22 21377 1
81134 [발로란트] 지각 변동이 일어난 VCT 아메리카스 리그 [9] 일렉트6469 25/04/21 6469 0
81133 [발로란트] VCT 퍼시픽 스테이지 1 / 5주 3일차 경기 요약. [2] 일렉트6042 25/04/21 6042 0
81132 [LOL] 주6일제는 해야하지 않을까? [93] grrrill13388 25/04/21 13388 10
81131 [발로란트] VCT 퍼시픽 스테이지 1 / 5주 2일차 경기 요약. [2] 일렉트7564 25/04/21 7564 0
81130 [LOL] 씨맥 징동과 계약 해지 [55] 미드나잇블루16504 25/04/20 16504 1
81129 [스타1] 스타3(SC3 Evolution) 출시 및 대회 참가자 모집 [3] HLSJ10221 25/04/20 10221 7
81128 [발로란트] VCT 중국 리그에 새로운 바람이 불어오다. [10] 일렉트7497 25/04/20 7497 0
81127 [LOL] 2024년 T1 영업손실 -88억 원 [132] 하이퍼나이프31369 25/04/20 31369 1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