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1/07/08 14:26:40
Name 센센마
Link #1 https://talk.op.gg/s/lol/opgg/4235411/LOL-%EC%84%A0%EC%88%98%EB%93%A4%EC%9D%98-%EC%97%90%EC%9D%B4%EC%A7%95-%EC%BB%A4%EB%B8%8C-%EC%A1%B0%EC%82%AC
Subject [LOL] LOL 선수들의 에이징 커브 조사
안녕하세요 OPGG 데이터분석가 센센마 강석우입니다.
선수들 에이징 커브 관련하여 조사한 결과 공유드리고자 글 작성하였습니다.

근데 여기 사진이 안올라가서.. 우선 링크 첨부해 드립니다.
혹시 어떻게 올리는지 알려주시면 조금 보기 편하시도록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은하관제
21/07/08 14:33
수정 아이콘
사진은 일단 3MB 미만으로 줄여주셔야 첨부에서 보실 수 있고, 그렇지 않다면 html을 이용한 외부 링크를 활용하여야 가능하실 껍니다.

글 내용으로 보아 이미지가 적지 않은데 올려주신 사이트에서 직접 링크거는게 수월치 않으시다면 외부 이미지 업로드 사이트 통해 도움받으시는것도 좋을꺼 같습니다.
몽키매직
21/07/08 14:3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에이징 커브를 보려면 교란 변수 제거를 위해서 각 선수 별로 에이징 커브를 만든 다음 합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왜냐하면 대부분이 공통적으로 겹치는 나이 구간을 벗어나면 아예 다른 선수군의 데이터를 비교하는 꼴이기 때문이죠... 그냥 단순 매치 데이터 값만 평균 내면 selection bias 가 노골적으로 심한 데이터가 나오기 때문에 그닥 의미 있는 결론을 뽑을 수 없습니다.
센센마
21/07/08 14:44
수정 아이콘
좋은 지적 감사드립니다. 말씀하신 내용은 각 선수의 첫 출전연도를 기준으로 잡고 그 기준에서 년도마다 얼마나 증감하는지 에이징커브를 그리고, 그것들을 합쳐 비교하라는 말씀이신건가요?
몽키매직
21/07/08 14:53
수정 아이콘
(수정됨) 먼저 개별 선수 별로 시계열에 따른 결과값 변화 데이터셋을 만드셔야 될 것 같고, 그걸 어떻게 분석할지는 고민을 좀 해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절대적인 나이 값에 의한 변화를 보고 싶으신 것이라면 데이터에서 분석 하고 싶은 시간구간, 분석에서 포함/제외할 대상을 고민해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대충 간단하게 제안 드리자면 20-25세까지의 데이터가 빠짐 없이 있는 선수들만 골라낸 이후에, 연령 별로 데이터 값을 입력, 각 연도별 데이터 N 수가 충분하지 않은 대상은 아예 제외, 그리고 20, 21, 22, 23, 24, 25 세 까지의 결과 값을 평균/표준편차 범위가 표시된 그래프를 만들면 될 것 같습니다.

https://support.microsoft.com/ko-kr/office/%EC%B0%A8%ED%8A%B8%EC%97%90%EC%84%9C-%EC%98%A4%EB%A5%98-%EB%A7%89%EB%8C%80-%EC%B6%94%EA%B0%80-%EB%B3%80%EA%B2%BD-%EB%98%90%EB%8A%94-%EC%A0%9C%EA%B1%B0-e6d12c87-8533-4cd6-a3f5-864049a145f0

결과 그래프는 이런 식이 되게요.

아니면 결과값 변수를 참 혹은 거짓으로 표현하게 만들 수 있다면 (예를 들어 당해 평균 킬이 2킬 이상이면 참, 2킬 미만이면 거짓) 카플란-마이어 같은 비모수 분석도 가능합니다. 그런 경우에 20세부터의 데이터가 있는 모든 선수를 포함한 이후에, 언제까지 데이터가 있는지와 상관 없이 (중간에 loss 되는 선수가 있더라도) 더 많은 데이터 값을 포함 할 수 있습니다. (대신 반드시 20세의 데이터는 존재하는 선수들만 포함. 데이터도 선수 개별 시계열 데이터셋 만들어야 되는 건 동일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NJjMA/btqznt3glIs/kJpX56QKiikVHxL14A3sr1/img.png

결과 그래프가 이런 식으로 나오고, 하단의 no. at risk 숫자를 통해 그 시점에 데이터가 loss 된 대상이 얼마나 있는지도 파악이 되죠.
김솔라
21/07/08 14:46
수정 아이콘
24세부터 피지컬적인 에이징커브가 온다는 게 맞다면, [스코어, 앰비션]이 25살 이후에 정글러로 포지션 변경을 해서 성공한 게 이해가 되네요.
묻고 더블로 가!
21/07/08 15:03
수정 아이콘
그런데 18년부터 메타가 급변해서 정글러도 타포지션 이상으로 피지컬을 요구하고 에이징커브도 쎄게 오는 라인이 되어버렸죠.

스코어 앰비션은 역대급 재능러들이기도 하면서 운도 좋은 케이스라고 봐야할 겁니다

이제는 나이 먹은 선수가 정글러로 포변해서 성공하기란 매우매우매우 어려울 거에요.
키모이맨
21/07/08 15:36
수정 아이콘
앰비션도 렝가 이런거 나올때 하루에 밀려서 벤치였죠 크크
파란무테
21/07/08 15:27
수정 아이콘
사실, 딜링을 담당하는
탑, 미드, 바텀과
운영적인 측면을 담당하는
정글,서폿은
에이징커브가 많이 다를것이라 예상됩니다.
라프텔
21/07/08 15:31
수정 아이콘
농심의 경우는 베테랑으로 분류되지만 사실상 경력은 운영멤버 빰치는 피넛처럼 저 단위로는 단순 분류가 힘든 이레귤러도 있을 거 같네요.
눈물고기
21/07/08 17:42
수정 아이콘
베테랑으로 분류되니까 경력이 운영멤버 뺨치는거 아닌가요?
크크크

나이가 어린데 베테랑인걸 말씀하시는거 같은데..
벌점받는사람바보
21/07/08 17:48
수정 아이콘
프로게이머에게 20대 초반의 군대는 진짜 절망이네요
20대 후반까지도 유지하기 힘든 직업인대...
양파폭탄
21/07/08 18:21
수정 아이콘
운영능력도 어린 나이에 박아넣는게 가능하다면(보통은 이렇지가 않으니까) 에이징커브는 똑같이 올거라 생각합니다
스덕선생
21/07/08 21:26
수정 아이콘
바둑도 이창호라는 천재가 바둑의 기본 패러다임을 바꾸고 나선 20대 후반만 되도 노장이란 소리를 듣기 시작했죠.

뭐 정작 본인은 후배들 밥그릇을 깨놓고(?) 30대까지 잘만 했지만요 크크
양파폭탄
21/07/08 21:31
수정 아이콘
최근에 이 주제 때문에 바둑 전성기 기사를 검색해 본 적 있는데, 바둑의 전성기는 원래 30대였다가 20대로 낮아졌다고 하더군요
조기교육으로 뇌지컬을 어릴때부터 완성했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왔지 싶습니다
5살때부터 미적분을 가르치면 10대 박사도 가능? 읍읍
말랑요괴
21/07/08 20:08
수정 아이콘
스타 개인리그 최고령 우승자가 23살인거만 봐도 그 이후부터는 노화가 오나봅니다.
21/07/08 21:24
수정 아이콘
이건 스타판이 12년에 끝나서 그렇죠.
스덕선생
21/07/08 21:27
수정 아이콘
그래도 마찬가지였을거라고 봅니다.
병행시즌의 허영무가 최고령이거든요.

이건 스타판 문닫기 전이라 신입들이 안 들어온게 어느 정도 크다고 봐야죠.
21/07/08 22:14
수정 아이콘
스타판이 더 유지되지 않았기에 에이징커브가 23세에 시작된다고 볼 수 없다는 뜻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1967 [LOL] 페이커가 3인 다이브를 피하는 방법 [79] 조휴일22340 21/08/07 22340 14
71965 [LOL] 심심한데 올프로 예상이나 해봅시다. [122] ioi(아이오아이)24350 21/08/07 24350 1
71964 [LOL] 게임은 선수들이 하지만 선수 선발은 감독이 하죠. [54] 바인랜드19518 21/08/07 19518 6
71963 [LOL] 정말 감독이 문제였던건가? 티원 감독 경질후 5승1패로 파죽지세 [197] 삭제됨22822 21/08/06 22822 10
71960 [LOL] POG 시스템에 각 선수별 "평점"을 추가한다면? [40] GiveLove20526 21/08/06 20526 7
71959 [LOL] 프레딧 브리온이 LCK에서 처음으로 롤드컵 진출이 좌절되었습니다. [24] Leeka19249 21/08/05 19249 2
71951 [LOL] LPL 정규시즌 막판 상황 & 오늘자 빅매치.jpg [46] Ensis20895 21/08/03 20895 2
71949 [LOL] 진짜 역대급인 LCK CL 2021 서머 [18] 비오는풍경17076 21/08/02 17076 2
71948 [LOL] LEC, LCS 플레이오프 대진 및 일정 [24] ELESIS25365 21/08/02 25365 0
71945 [LOL] 9~10주차 LCK/LCK CL 로스터 변경. [36] 16820 21/08/02 16820 0
71943 [LOL] '위대한 정글러' Score 고동빈 전역 [19] MiracleKid16626 21/08/02 16626 6
71942 [LOL] 사과문을 올린 울프 [284] carpedieem30483 21/08/01 30483 2
71940 [LOL] 정규시즌 딱 1경기씩 남은 LEC 순위 상황.jpg [17] Ensis13583 21/08/01 13583 1
71939 [LOL] T1 - 지수소녀 상호해지 [76] MiracleKid18192 21/08/01 18192 2
71938 [LOL] DRX 승리 관련 씨드백 및 퇴라 이모저모, 킹겐 인터뷰 [66] FRONTIER SETTER18991 21/08/01 18991 17
71937 [LOL] T1 팀 분위기가 좋나봐요 [39] 공항아저씨26405 21/08/01 26405 7
71936 [LOL] 슈퍼자르반 빌드(서폿) [영상추가] [39] Cookinie18361 21/07/31 18361 13
71932 [LOL] 거인의 몰락 - 징동은 플옵 진출을 실패할 것인가? [22] gardhi16925 21/07/31 16925 2
71931 [LOL] 다양성을 망치는 4용 영혼 시스템 [112] 스킨로션19136 21/07/31 19136 4
71930 [LOL] 이민형 기인형 상혁이형 | T1 vs AFs Voice Comm [T1 Hidden Track EP.6] [11] 박수영20274 21/07/31 20274 4
71928 [LOL] 7/29 씨드백 [116] ioi(아이오아이)19280 21/07/30 19280 1
71924 [LOL] LCK 서머 남은 일정 및 팀별 대진 [53] 루체시17724 21/07/29 17724 0
71918 [LOL] 담원기아에 양대인 전 T1 감독이 전력분석관으로 복귀합니다. [151] kapH27938 21/07/29 27938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