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0/11/29 19:15:04
Name ELESIS
Subject [LOL] 지표로 보는 LCS의 지배자들 (수정됨)
이 글은 PC 브라우저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https://www.pgr21.co.kr/free2/70079 // 1. 지표로 보는 LCK의 지배자들
https://www.pgr21.co.kr/free2/70198 // 2. 지표로 보는 LPL의 지배자들
https://www.pgr21.co.kr/free2/70249 // 3. 지표로 보는 LEC의 지배자들
https://www.pgr21.co.kr/free2/70288 // 4. 지표로 보는 LCS의 지배자들
https://www.pgr21.co.kr/free2/70366 // 5. 지표로 보는 MSI의 정복자들
https://www.pgr21.co.kr/free2/70373 // 6. 지표로 보는 Worlds와 세계 챔피언들

위 시리즈의 네 번째 글입니다. 개요와 지표에 대한 설명은 첫번째 글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2014년 이후 역대 LCS 정규시즌 팀 지표를 도시한 그래프입니다. 각 마크의 크기는 승률에 비례합니다. 마우스 커서를 올리면 정규시즌 순위와 승률 등을 좀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클릭하면 팝업된 툴팁이 고정/해제됩니다. 타이브레이커 포함, 플레이오프 제외. 데이터 출처 gol.gg















































아래는 역대 정규시즌 1위 팀을 나열하되 GDPM 역시 1위일 경우 GDPM 2위와의 차이를, 그렇지 않을 경우 GDPM 1위 팀과의 차이를 나타낸 것입니다. 위에 표시된 회색 영역의 가로폭이기도 합니다. 대충 1위팀이 얼마나 압도적이었나라고 보면 좋을 것 같네요.






마지막으로 역대 정규시즌 1위 팀들을 GDPM-KPM 차트에 도시한 것입니다.







그래프로 확인했듯 2014시즌 이후 오버백(OVER 100)을 달성한 네 팀입니다. 한국인 용병도 함께 표기했습니다.

C9 | 14 스프링 | 클라우드9
IMT | 16 스프링 | 임모탈즈 [후니, 레인오버]
TSM | 16 섬머  | 팀 솔로미드
C9 | 20 스프링 | 클라우드9



도대체 16스프링 임모탈즈는 어떤 팀이었길래 저 지경으로 압도적인 정규시즌을 보냈는지 궁금하네요. 놀랍게도 그러고도 결국 우승을 못했다는 게 레전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11/29 19:16
수정 아이콘
북미는 롤드컵 시즌에 지배자가 없었네요..
20/11/29 19:21
수정 아이콘
네, 다른 지역은 섬머시즌 오버백 팀이 월즈에서 의미있는 성과를 내기 마련인데 북미의 유일한 해당팀인 16 TSM은 롤드컵 조별탈락이라 아쉬움이 진하게 남지요. 당시에도 기대를 엄청 받았습니다.
기사왕
20/11/29 19:24
수정 아이콘
제가 지금도 기억나는게 정규 시즌 기준 스프링 때 후니-레인오버가 말 그래도 북체상체였습니다.

후니는 캐리력이 압도적인데 가끔씩 뭔가 꼬라박는 느낌이었다면 레인오버는 후니라는 양날의 검을 조율하는 느낌...근데 문제는 미드바텀은 이 탑정글에 비해 캐리보다는 버스타는 느낌이 강했는데, 스프링 플옵에서 후니는 TSM 상대로 말도 안되는 꼴픽 박았다가 박살나고, 미드바텀은 TSM이 털어버리면서 그냥 개박살났던 걸로 기억하네요.

그리고 서머 때도 정규 시즌 잘하긴 했는데 탑정글이 스프링만한 포스는 못 보여줬습니다. 그러다가 플옵에서 그 유명한 TOP DIE 모드의 임팩트를 만나서 솔킬도 몇 번 따이면서 미친 듯이 박살나고, 그 이후 선발전에서도 임팩트한테 개박살...
20/11/29 23:23
수정 아이콘
참 레인오버도 대단한 재능을 가진 선수였는데 좀 더 큰 족적을 남기지 못해서 아쉽습니다. 후니와 함께 프나틱에서 더 해봤으면 어땠을지
20/11/29 19:28
수정 아이콘
20c9은 왜 못나왔는가...
기사왕
20/11/29 19:31
수정 아이콘
스프링 이기고 서머에 망해도 아주 제대로 망...심지어 코로나 때문에 스프링 롤드컵 포인트 엄청 줄이고 서머 성적에 포인트 왕창 주는 바람에 스프링 우승한게 생각보다 크게 메리트가 되지도 못했고요.
묵리이장
20/11/29 19:43
수정 아이콘
리그 수준이 남아서 보정이 이뤄지긴 해야겠네요. 크크크
20/11/29 19:46
수정 아이콘
LCK LPL LEC 모두 섬머 지표 풀파워로 낸 팀들이 유의미한 성적을 냈는데
LCS는 전체적으로 스프링에서 독주하는 팀이 나오지만 섬머때가면 모두 그만그만해지는 경향이 있네요..
그나마 16TSM이 유의미한 지표를 갖고 있었지만 조별리그 탈락..(..)
어떻게 보면 그 당시 선수들의 썰같은 걸 들어봐도 그 시즌에 TSM이 성적못내고 광탈한 건 롤드컵 내에서 LCS위상에 치명타를 가한 거였지 않나 싶은..
20/11/29 20:08
수정 아이콘
C9은 도대체..
나스이즈라잌
20/11/29 20:49
수정 아이콘
아아.. C9
카바라스
20/11/29 21:06
수정 아이콘
c9는 스프링엔 상대팀 가지고 노는 수준이었는데 롤드컵도 못온게 불가사의..
김익명
20/11/29 21:13
수정 아이콘
레퍼드 온 다음 흑마술로 롤드컵 온다음 어떻게든 진출하던 팀이
정작 흑마술이고 뭐고 풀파워로 스프링에 다때려부순 시즌에는 섬머에 떡락해서 출전도 못하고 말다니..
20/11/30 08:18
수정 아이콘
20스프링 c9은 진짜 너무 아쉽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1691 [LOL] DRX는 현재 모든 것이 틀렸습니다. [74] ioi(아이오아이)21205 21/06/27 21205 1
71690 [LOL] 레드/블루진영 승률에 대해서 [31] 퍼리새14390 21/06/27 14390 0
71689 [LOL] 역전까지 잘하는 젠지?.. 이거 못막습니다 [81] Leeka19053 21/06/27 19053 3
71688 [LOL] 프레딧브리온의 비상. 농심vs프레딧브리온 경기 시청후기 [73] 원장18895 21/06/26 18895 2
71687 [모바일] 백야극광. 기대없이 시작했으나 생각보다 할만했던. [31] Cand10828 21/06/26 10828 1
71686 [LOL] 시간 지나고 다시 본 KDA - MORE과 세라핀에 대한 감상평: 과연 그렇게 욕먹을만했는가 [57] 랜슬롯26200 21/06/26 26200 3
71685 [LOL] 11.13 패치, 대회에 가장 큰 변화를 줄 변화점은? [46] gardhi15309 21/06/26 15309 6
71684 [LOL] 한화생명의 문제점 [72] 원장20367 21/06/25 20367 0
71683 [LOL] 한화 시즌종료 [123] 아이폰텐25114 21/06/25 25114 19
71682 [LOL] 이대로는 챌린저스 리그는 의미가 없다.. [55] 클레멘티아15953 21/06/25 15953 9
71681 [콘솔] 포켓몬 유나이트 베타 후기 [28] 아보카도피자13019 21/06/25 13019 3
71678 [LOL] 농심이야기를 좀 해보겠습니다. [51] TAEYEON16112 21/06/25 16112 1
71677 [LOL] 최근 lck순위를 보면서 느낀 생각 및 잡담 [16] 원장16025 21/06/25 16025 0
71676 [LOL] 최근 젠지가 역전을 잘하는 이유(젠지훈 피셜) [27] 어바웃타임15460 21/06/25 15460 2
71675 [LOL] 다음 패치버전에 '그녀석'이 돌아옵니다 [23] 이는엠씨투17777 21/06/25 17777 0
71674 [LOL] 티원팬들이 섬머에 바래야 하는것 [108] 작은형22023 21/06/25 22023 5
71673 [기타]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 - 생각보다 잘 만든 카드게임인데? [18] 황금경 엘드리치19139 21/06/25 19139 0
71672 [LOL] 티원 팬덤의 분열 [72] 눈물고기22102 21/06/25 22102 1
71671 [LOL] T1은 경기마다 너무 일희일비하는 것 같습니다 [35] norrell14978 21/06/25 14978 14
71670 [LOL] 우리는 또 다른 '위대한 정글러'의 시대에 살고있는게 아닐까요? [71] 티맥타임22222 21/06/25 22222 20
71669 [LOL] 마지막 조각의 중요성? - 샌박과 농심 경기를 연타로 보고.. [24] Leeka14874 21/06/25 14874 1
71668 [LOL] 이번 시즌이 끝나면 FA 자격을 얻는 한국 선수들 [26] 아롱이다롱이17848 21/06/25 17848 1
71667 [LOL] 티원팬으로서 바라는 앞으로의 방향성 [171] 삭제됨17878 21/06/24 17878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