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12/30 13:27:12
Name Leeka
Subject [LOL] 13년 이후 국제대회 우승한 원딜들 커리어

- 11~12 월즈 우승자들은 너무 초창기라 기록 찾기 애매해서 빼고 적음.

- 우승기록만 (특별한 수상이 있다면 포함)

- 순서는 국제대회 먼저 우승한 순서


피글렛 - Worlds 1회 / LCK 2회
임프 - Worlds 1회 / LCK 1회 / LPL 1회
데프트 - MSI 1회 / LCK 2회 / LPL 2회 / 2016 LPL 올해의 선수
뱅 - Worlds 2회 / MSI 2회 / LCK 4회
룰러 - Worlds 1회 / 2017 Worlds MVP
우지 - MSI 1회 / LPL 2회 / 2014 LPL 올해의 선수
재키러브 - Worlds 1회 / LPL 1회
퍽즈 - MSI 1회 / LEC 6회
LWX - Worlds 1회 / LPL 1회




뱅 제외하고 국제대회는 다들 1번 이상 먹은적은 없음.

데프트, 퍽즈가 리그 먹은 횟수 자체는 4회, 6회로 많은데 월즈가 아닌 므시 우승이라 급이 내려감.

룰러는 자국리그를 안먹고 국제대회를 먹은 유일한 원딜 & 원딜로 유일하게 국제대회 MVP를 탄 선수. 2개 기록을 다 보유함.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興盡悲來
19/12/30 13:36
수정 아이콘
룰러는 올해가 역체원으로 갈 수 있는 절호의 기회겠네요
지금만나러갑니다
19/12/30 13:37
수정 아이콘
그렇다기엔 올해 롤드컵 우승해도 뱅보단 아래죠. 리그 우승이 전무해서..
興盡悲來
19/12/30 13:38
수정 아이콘
올해라고 쓰니까 헷갈리는데 여튼 2020에 스프링 섬머까지 우승한다고 하면 가능하지 않나요?
블리츠크랭크
19/12/30 13:40
수정 아이콘
올해 그랜드슬램하면 임팩트 면에서는 가능해도 누적은 부족하긴하죠.
興盡悲來
19/12/30 13:40
수정 아이콘
음 올해 그랜드슬램하고 내년까지 좀 더 해먹어야겠군요
다리기
19/12/30 18:59
수정 아이콘
뱅과 SKT 위엄..
허세왕최예나
19/12/30 13:40
수정 아이콘
스프링, MSI, 서머, 롤드컵 먹고 롤드컵 MVP급 활약하면 역체원 후보에 오를 수 있죠. 그 이후에 커리어 쌓는거에 따라서 더 올라갈 수도 있구요. 현재는 뱅이 롤드컵 2회로 가장 앞선 건 사실이고.
興盡悲來
19/12/30 13:42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젠지 선수들 장기계약 했으니까 기록 깨지는거 한 번 보고싶네요
지금만나러갑니다
19/12/30 13:42
수정 아이콘
그래도 뱅은 롤드컵/MSI/리그 우승이 2/2/4 인데 룰러가 다음시즌 모조리 다 우승한다해도 2/1/2 입니다. 물론 하드캐리하면서 그랜드슬램 달성한다면야 상징성 때문에 더 높게 치는 분도 있을지 모르겠지만, 사실 그럴가능성도 낮고 그렇다 해도 객관적인 수치상으론 아래죠.
興盡悲來
19/12/30 13:43
수정 아이콘
그렇네요
룰러 더 분발해라!!
클로로 루실후르
19/12/30 13:40
수정 아이콘
올해 리그2회 우승, MSI우승, 월즈우승 다해도 커리어가 안되네요 뱅의 위엄 덜덜
19/12/30 13:58
수정 아이콘
올해 역캐리만 안하는 선에서 리그1 월챔1 먹으면 역체원 봅니다. 17월챔이 1옵션 에이스 우승이고 지금 젠지가 슈퍼팀이라지만 15~17SKT보다 팀 맴버가 좋다고 하긴 어렵거든요.
근데 월챔 먹는게 그렇게 쉽지는 않을겁니다.
제이홉
19/12/30 16:11
수정 아이콘
올해 리그2개 msi 롤드컵 다 먹어도 뱅보다 커리어가 부족한데 리그1 롤드컵 하나로는 역체원이라 하기는 힘들죠. 올해 그랜드슬램을 해야 커리어는 뱅에 조금 밀리지만 롤드컵 mvp+최초 그랜드슬램 버프는 받아야 역체 가능합니다.
19/12/30 13:52
수정 아이콘
뱅이 확실히 솔리드하긴했습니다. 라인전 지는, 이기는 픽 모두다 수행 가능하고 하드캐리도 되는..지금도 진정한..승리자
페로몬아돌
19/12/30 13:58
수정 아이콘
검은수염은 일단 빼고 시작하죠 쒸익쒸익... 다 거부한다. 룰러 데프트가 짱임.
19/12/30 14:11
수정 아이콘
뱅 위엄이네요. 국제대회만 4번을..
아웅이
19/12/30 14:12
수정 아이콘
재키럽, LWX > 우지라니 덜덜
19/12/30 14:20
수정 아이콘
프레이가 없는게 너무 아쉬운
이불베개
19/12/30 14:22
수정 아이콘
저 중dpm/팀내 딜비중/최소데스/15분 골드/15분 경험치/ 15분 cs 모두 1등인 미친 경우는 16서머lck 뱅과 18msi 우지밖에 없죠. 팀의 승리 기댓값 측면에서 저 둘의 전성기 때가 완벽하다고 봅니다.
19/12/30 14:44
수정 아이콘
그 16서머를 막은 [].... 후새드
치토스
19/12/30 14:33
수정 아이콘
1번 이상이 아니라 1번 초과 혹은 2번 이상이라고 해야 맞죠.
카르타고
19/12/30 15:54
수정 아이콘
11년은 몰라도 12년도 비비는 넣어도 되지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대만리그라 평가하기 조금 어렵긴 하겠지만 저기에 들어가도 손색없는 선수라고 생각해서
19/12/30 16:20
수정 아이콘
저 역시 동의합니다. 8강 4강 결승에서 비비는 와 뭐 저런 미친X이 다 있지 하는 감탄이 나왔어요
19/12/30 17:16
수정 아이콘
12년도 롤드컵은 아직도 ipl5 말나오는 대회다보니... 확실히 시즌3부터 롤이란 게임과 리그의 큰틀이 다 잡히지 않았나 싶네요
19/12/30 20:12
수정 아이콘
룰러는 결승전 파엠아닌가요?
16년과 다르게 17은 월드 전체 MVP를 뽑지 않은걸로 압니다.
킹이바
19/12/31 09:34
수정 아이콘
룰러 커리어에 매번 롤드컵 mvp로 따라다니는 건 조금..
일반적인 글이면 모르겠는데 비교글에선 정확히 구분해주는 게 맞는 거 같습니다.
문도석사
19/12/31 13:13
수정 아이콘
뱅의 커리어에 대해 좀 더 수식하자면,

뱅은 '월즈 & MSI를 모두 우승'한 유일한 원딜입니다.
그것도 [각각 2회] 우승이라는 전무후무한 기록의 보유자이지요.
(울프도 월즈 & MSI 를 각각 2회씩 우승한 유일한 서폿이구요)

룰러,재키러브,Lwx가 월즈 1회, MSI 2회 우승
데프트,우지,퍽즈가 월즈 2회, MSI 1회 우승을 더하면, 준우승 제외하고 기록이 비슷해지긴 합니다.
20/01/01 09:05
수정 아이콘
요즘 상향 평준화 된거 보면, 현재 어떤 선수도 누적 커리어로는 SKT 4인방 넘기 힘듭니다.
근데 또 모르죠. 택뱅리쌍 시절에 이영호가 다 해먹을 거라고는 누구도 몰랐으니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7737 [LOL] 상윤이 2부리그에 복귀했습니다. [46] Leeka14571 20/01/28 14571 1
67736 [LOL] 아무도 궁금해하지않는 LC뭐시기 리그 후기 [15] 암드맨11166 20/01/28 11166 8
67735 [LOL] LCS 선수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18] 라면17279 20/01/27 17279 1
67733 [LOL] LEC 1주차 간단 감상 [13] 비역슨10086 20/01/26 10086 3
67731 [LOL] 2020 우르프 체험기 [15] 초동역학12120 20/01/24 12120 0
67730 [LOL] 집 나간 엄마는 어디로 갔나? [60] 윤정20252 20/01/23 20252 2
67728 [LOL] 아프리카에서 lec/lcs중계를 진행합니다 [31] 삭제됨13208 20/01/23 13208 0
67727 [LOL] 테디를 의식한 적 없다는 룰러, 그리고 엠비션의 반박. [50] 삭제됨14336 20/01/23 14336 0
67726 [LOL] 나의 제재 기록 뒤돌아 보기 [44] 배두나14574 20/01/23 14574 0
67724 [LOL] LCK 연봉순위 1~7위 (feat inven 추정) [69] Leeka67859 20/01/23 67859 0
67722 [LOL] 댄디와 야스오 장인 '프제짱' 을 영입한 LPL 팀 이스타 [26] 신불해24992 20/01/22 24992 1
67721 [LOL] 올해는 스크림도르 없다 [55] 삭제됨15360 20/01/22 15360 1
67720 [LOL] 브라질 CBLOL도 프랜차이즈 도입을 공식화 했습니다. [23] 마빠이10924 20/01/22 10924 0
67719 [LOL] LCS, LEC. 북미와 유럽리그의 롤드컵 선발전이 폐지되었습니다. [32] Leeka11628 20/01/22 11628 1
67718 [LOL] LEC의 변경된 플옵방식 [34] 라면11524 20/01/22 11524 0
67716 [LOL] LEC 개막일 경기 라인업 [9] 비역슨13198 20/01/21 13198 1
67715 [LOL] LCK 1R 공식 로스터 [22] Leeka12235 20/01/21 12235 0
67714 [LOL] 김정수 감독이 말하는 새 시즌의 T1 [42] 신불해17053 20/01/21 17053 0
67713 [LOL] Drx첫경기 도란을 대신해 탑으로 출전할 선수는 [23] 삭제됨13563 20/01/21 13563 0
67712 [LOL] 1부리그 LPL, 1주차 라인별 최고의 선수 + 이주의 선수 [16] Leeka10603 20/01/20 10603 0
67710 [LOL] 선수 권익 보호를 위한 후속 조치 진행 상황 업데이트 feat 라코 [39] Leeka13051 20/01/20 13051 1
67709 [LOL] LPL 1주차 정리 [27] 세기말종자11178 20/01/20 11178 1
67707 [LOL] 왜 탑 메타인가? 기인은 뭐가 특별한가?? [33] 빛돌v16040 20/01/20 16040 2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