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11/04 13:07:27
Name 바람과 구름
Subject [LOL] 타워 바론은 승리로 가는 과정일 뿐이다
야구에서 안타를 치고 출루를 하는 것과

볼넷으로 출루하는 것은 같은 가치입니다

이기기 위해서는 홈을 밝아야하고

안타는 점수를 내기 위한, 승리를 하기 위한 과정일뿐입니다


바론을 먹는 것

드래곤을 먹는 것

타워를 미는 것

억제기를 미는 것

이러한 것들은 이기기 위해 넥서스를 미는 과정을 뿐입니다

롤이라는 게임을 이기기 위해서는 넥서스를 깨야 한다는 것이 바뀌지 않습니다

하지만 언젠가부터 lck는 바론 드래곤 타워 억제기 하나하나에 점수를 부여하고

롤이 점수제 경기인냥 해석하고 플레이하고 있습니다


어제 g2는 드래곤을 포기하고 대신 탑으로 가서 칸을 잡고 더 많은 이득을 취했습니다

롤이라는 게임에 대한 이해, 해석

과연 lck는 제대로 하고 있는 것일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회색추리닝
19/11/04 13:08
수정 아이콘
간단히 제대로 해석 못했으니 졌겠죠 ?
전 어제 경기보면 삼성화이트가 생각났습니다.
패러다임을 한번 바꾸는 계기가 된거같아요.
삼성화이트가 당시 팀들이랑 두 수 이상 앞선느낌처럼
한국팀들 따라잡으려면 고생할겁니다. 북미랑 3,4위전 오랫동안 할꺼같습니다 빨리 고치지않으면.
Ethereum
19/11/04 13:18
수정 아이콘
드래곤에 집착을 버리고 타워의 가치를 높게 평가해야 한다는걸 보여준것 같습니다.
19/11/04 13:21
수정 아이콘
근데 또 다음 시즌엔 용이 다른 역할을 하게 될 거 같아서 (지형변화) 새로운 문제가 출제되는 것과 같아서 수험생들 다시 공부하고 정답내야겠죠. 내년시즌은 더 정답에 가까운 답을 LCK가 내주길 바랄 뿐입니다.
새벽하늘
19/11/04 13:26
수정 아이콘
오브젝트견적서를 다시 뽑아야할거 같아요. 대지용을 g2처럼 쿨하게 버릴수 있는팀이 lck에 있을지..
습관처럼게임
19/11/04 13:32
수정 아이콘
오브젝트 먹는 이유가 운영하기 위해서 먹는건데
기브앤 테이크로 더 이득 가져오기 + 미친 사이드 운영 하니까 한타 자체를 아예 안해줌
(거의 스타크래프트에서 도망자토스급으로 짜증나게 함)

G2 같은 경우 3화염용 나왔어도 주고 운영했을 가능성도 있음
바론에 시야만 밝혀두고 사이드로 억제기 미는 판단하면서 바론에서 소수교전으로 이득까지 보려하는게 G2인듯 합니다.
아예 게임 운영 개념 자체가 진짜 다른듯하고요.

그리고 sk는 레넥부터가 함정픽인것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AndroidKara
19/11/04 13:38
수정 아이콘
슥이 G2에게 초반싸움을 이기는 전략을 짰고, 오히려 G2가 한타싸움에 이기는 싸움을 하기위한 전략을 잘짠거 같아요.

다소 누우면서 스플릿으로 타워머니 빼먹으면서 30분넘어 한타하면 이긴다.라는 느낌말이죠
피카츄 배 만지기
19/11/04 13:33
수정 아이콘
펀플러스 피닉스와 하는 것을 보고 판단하고 싶습니다.
우리가 '실력차이'로 인해서 못했기에 저런 운영이 가능했던 건지
실력차이에서 우위를 점한다면 저런 운영을 못하게 막아버릴 수 있는 건지...
결승전 결과를 보고 최종적으로 판단하고 싶습니다.
AndroidKara
19/11/04 13:33
수정 아이콘
마치 MLB에서 단타보다 장타를 선호하려는 지형변화같았네요.

슥의 행동의 목적은 G2가 이미, 혹은 당연히 알고있었는데
G2의 행동의 목적은 슥이 몰랐고 우왕좌왕했던것 같네요.

용타임에 반대쪽시야 독점하고 스프릿으로 타워밀고.
바론타임에 또 반대쪽시야 독점하고 스플릿으로 타워일고

G2식 눞는운영을 보여준듯합니다
블레싱
19/11/04 13:35
수정 아이콘
뭐나 낫다 평가할 실력은 못 되지만 이건 확실히 알겠더라구요.

[LPL, LEC가 LCK보단 훨씬 재밌어보인다]
피카츄 배 만지기
19/11/04 13:38
수정 아이콘
불면증 환자분들에게 최고의 선물... 사랑합니다. LCK...
안초비
19/11/04 13:36
수정 아이콘
4세트 통틀어서 g2는 바론을 딱 한 번밖에 안 먹었습니다.
그러고도 3:1로 이긴 거..
19/11/04 13:40
수정 아이콘
오브젝트에 대한 가치산출도 다시해야할 거 같고..
글로벌 골드 격차 자체를 유불리로 해석하는 것도 위험한 거 같네요.
오히려 그 기울기를 실제전황의 유불리로로 해석해야하지 않나...
윤지호
19/11/04 13:46
수정 아이콘
무슨 말씀이신지는 알겠으나 오브젝트 킬 타워 등등에 점수를 부여한건 G2도 마찬가지일겁니다

다만 부여한 점수가 t1과 달랐고 결과는 g2가 옳았다는거죠
19/11/04 14:12
수정 아이콘
점수 배율이 다르지 점수야 똑같이 부여하고 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7015 [LOL] 좁쌀 해설의 이번 SKT vs G2 분석에 대한 개인적인 요약과 감상입니다. [45] SEO201516933 19/11/06 16933 7
67014 [LOL] 역사상 최초로 원딜러가 데미지 비중 1위가 아닐수도 있는 이번 롤드컵 [13] 신불해13250 19/11/06 13250 2
67013 [기타] PS4 콘트라 로그 콥스 후기 [4] 맛똥산10527 19/11/06 10527 0
67012 [LOL] 이번 롤드컵 기념 스킨이 가능한 챔피언들 [56] Leeka11096 19/11/06 11096 0
67010 [LOL] 1경기 바론에서의 페이커 시점 [97] Leeka18599 19/11/06 18599 1
67009 [LOL] 공개된 Drx 씨맥 피드백 장면. [48] 월광의밤20401 19/11/06 20401 2
67008 [LOL] 개인적으로 이번 롤드컵에서 가장 쇼킹했던 경기. [17] 랜슬롯11374 19/11/06 11374 2
67007 [LOL] 롤드컵 그룹스테이지와 다전제에서의 밴 변화 [14] Leeka10668 19/11/05 10668 0
67006 [LOL] [분석글] FPX와 G2, 그리고 LCK 의 차이는 무엇일까? [55] 빛돌v16007 19/11/05 16007 40
67005 [LOL] 롤 이스포츠 매니저 사전예약 보상 공개 [40] Madmon15351 19/11/05 15351 0
67004 [LOL] LCK가 다전제에 약해진 이유는.. 티어 분석이 아닐까 [58] Leeka14618 19/11/05 14618 10
67003 [LOL] 결승 대진에서 문득 맡은 IPL 5의 냄새 [30] 이츠씽10189 19/11/05 10189 0
67002 [LOL] 스토브리그의 재미, 롤찌라시 알아보기. [71] 삭제됨14764 19/11/05 14764 1
67001 [기타] 블리즈컨 후유증 [30] Love.of.Tears.14920 19/11/05 14920 3
67000 [LOL] LCK가 다전제에 약한 이유는 플레이오프 방식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76] 창술사11929 19/11/05 11929 3
66999 [LOL] 한국의 2년간 국제대회 다전제 결과 [53] Leeka11275 19/11/05 11275 2
66998 [LOL] SKT vs G2. 한국 온라인 시청자 110만 돌파. [24] Leeka9172 19/11/05 9172 0
66997 [LOL] SKT vs G2. 협곡에 공짜란 없다 [151] 키류18617 19/11/05 18617 34
66996 [LOL] 씨맥 감독이 킹존드래곤X 감독으로 부임합니다 [133] 興盡悲來18686 19/11/05 18686 4
66995 [기타] 대난투 얼티밋, 대전격투 게임 최고 판매기록 갱신 [20] 인간흑인대머리남캐8986 19/11/05 8986 0
66994 [LOL] G2 구단주가 마무리 트위터를 했습니다. [44] Leeka11575 19/11/05 11575 0
66993 [LOL] 전프로 상윤선수가 분석을 올렸습니다. [72] Leeka16402 19/11/05 16402 5
66992 [LOL] 씨맥 전 감독이 또 한 번 폭로를 했네요. [61] 삭제됨14252 19/11/05 14252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