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11/04 01:17:50
Name 가스불을깜빡했다
Subject [LOL] 올해 한국의 국제대회는 대체적으로 결과가 안 좋았네요
이제까지 [매치 무패]를 이어오던 오버워치 월드컵 대표팀이 4강에서 미국에게 3:1 패배

올해 담원과 그리핀을 압도적으로 찍어눌렀던 LCK 최상의 전력 SKT도 G2에게 3:1 패배

그나마 스타크래프트2에서 박령우가 우승하기는 했는데 이것도 세랄이 미친 포스로 날뛰다가

4강전에서 레이너에게 저저전에서 고꾸라지고 그 세랄을 고꾸라트린 레이너를 저저전에서 박령우가 깔끔하게 이긴 케이스

근데 스2는 국내 신인 선수가 없다시피 해서....

도타2, 레식, CS:GO 같이 외국에서만 즐기는 게임을 제외하면 항상 압도적인 전력을 뽐내던 한국은 이제 아쉽지만 역사의 저편으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정재
19/11/04 01:19
수정 아이콘
배그월드컵도 2위..
아웃프런트
19/11/04 01:19
수정 아이콘
문..호준..있어요.. 아직 현역이에요..
가스불을깜빡했다
19/11/04 01:20
수정 아이콘
카트는 스1처럼 타국과 겨루기에는 좀 그렇지 않나요 흐흐
피카츄 배 만지기
19/11/04 01:21
수정 아이콘
롤뿐만 아니고 다른 종목에서도 우리 한국 성적이 안좋았군요.
2019년은 이스포츠 팬들에게는 아픔의 해가 되겠네요...
신예은팬
19/11/04 01:2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유게댓글에도 썼지만 한국이 게임잘한다는거에 예전부터

그다지 공감안가는 입장이었는데 그낭 잘하는 사람이

잘하는거지 그리고 막상 살펴보면 성적 못 내는 게임이 더 많죠
19/11/04 01:30
수정 아이콘
한국인이 많이 하는 흔히말해 인싸게임,주류게임에서 한국이 최강이 아니였던적 꼽기가 힘들겁니다. 근데 그게 달라지고 있으니까요.

성적 못내는 게임 살펴보면 한국인이 안하거나 주류가 아니죠.
신예은팬
19/11/04 01:33
수정 아이콘
근데 스타1도 우리나라만 계속 즐긴거죠

역사에 만약은 없다지만 스타도 다른 나라도

계속 했다면 어떻게 됐을지 모른다봅니다
19/11/04 01:39
수정 아이콘
굳이 스타1 얘기 하지도 않았지만 그렇게 역사의 만약에 없다는 식으로 이야기하면 한국인이 메이저 이스포츠에서 잘 안하는 카스나 도타같은 게임도 한국 국민게임이였다면 저는 짱먹었으리라 봅니다.

이걸 증명한게 오버워치구요.
클로로루실후르
19/11/04 08:40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가 성적 못 내는 게임이 더 많으면,
다른 나라는 성적 못 내는 게임이 훨씬 더 많죠.
공감의 영역을 떠나 객관적인 데이터가 압도적이었는데요.
19/11/04 01:29
수정 아이콘
철권도 한국이 주도하는 게임중 하나였는데 파키스탄으로 완벽히 넘어갔고...
다시마두장
19/11/04 03:00
수정 아이콘
크크 맞네요 사실 충격으로만 치면 이게 가장 컸던 것 같습니다.
19/11/04 01:35
수정 아이콘
하스스톤도... 원래 디펜딩챔피언까지는 아닌데 [올해도] 국제전에서 잘 안 풀려서 아쉽습니다.
곰성병기
19/11/04 01:43
수정 아이콘
올해 스2는 세랄이 작년만큼 포스는 아니었습니다
서킷 gsl선수가 동시에 나온 대회에서 세랄은 타이틀하나도 못땄죠
다시마두장
19/11/04 03:02
수정 아이콘
리프트 라이벌즈에서 중국 상대로 이겼던 그 순간이 올해 중 가장 즐거웠던 순간이 돼버렸네요. ㅠ
19/11/04 08:12
수정 아이콘
옵드컵은 조별 예선에서 프랑스에도 졌습니다. 5판 3선도 아니었고 3, 4위전에서 복수했지만 전원 리거가 아닌 팀한테 진건 충격적이었습니다
샤르미에티미
19/11/04 08:22
수정 아이콘
오히려 이걸 보면 게임 못 하는 나라 아닌가 하는 생각이...우리나라만큼 가둬놓고 연습하는 곳도 없는데 말이죠. 어쨌든 대체적으로 인프라만큼 결과가 나온다고 생각해서 해외의 이스포츠 투자가 적극적인 것이 이런 상황을 불러왔다고 보네요. 우리나라는 하는 쪽만 하고 뭔가 좀 적극적으로 투자한다는 느낌은 덜 드는 것 같습니다. T1처럼 선수들에게 연봉을 많이 주는 그런 것만 갖고 되는 건 아니라고 봅니다.
풍경화
19/11/04 11:09
수정 아이콘
투자한만큼 결국엔 따라오는게 맞다고 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8542 [오버워치] 5월 토너먼트 경기 추천 [6] Riina12729 20/05/26 12729 2
68541 [기타] [카트라이더]문호준 안나오면 리그 볼 필요 없는거 아니야? [9] 갓럭시14527 20/05/26 14527 1
68540 [기타] [카트라이더] 문호준 중대발표 [78] 아침21208 20/05/25 21208 0
68539 [LOL] 베트남 VCS의 현재까지 이적시장 요약 [15] 비역슨11753 20/05/25 11753 2
68538 [기타] [워3] 1.31.6 밸런스 패치 예고 [37] v.Serum13013 20/05/25 13013 0
68537 [오버워치] 패패패승승승승 ?? [35] 로랑보두앵13376 20/05/25 13376 3
68536 [LOL] 한국인이 사랑하는 챔피언? [43] 스위치 메이커16400 20/05/25 16400 0
68535 [스타1] ELO 시스템을 도입한 클랜을 운영 중에 있습니다. (스타 1:1 밀리클랜 홍보글) [10] 오만과나태15781 20/05/25 15781 8
68534 [기타] 소닉3 국내 초고수 스피드런 영상... [15] Restar11994 20/05/24 11994 0
68533 [LOL] 타잔 행선지와 LPL 이적시장 루머(?)이야기 [16] 라면16565 20/05/24 16565 1
68532 [PC] "형이 우승하게 해줄게." [61] 신불해23794 20/05/24 23794 145
68531 [모바일] 충격적인 결과, 랑그릿사 모바일 한중전 후기 [33] 레드로키13253 20/05/24 13253 2
68530 [모바일] 기동전대: 아이언사가 소개 [24] 밤톨이^^12018 20/05/24 12018 5
68529 [LOL] LCK All Time Team을 선정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49] Pokemon17662 20/05/23 17662 1
68528 [기타] 문호준, 엄청난 드라마와 함께, 개인전 10회 우승 + 양대리그 또 우승! [39] Leeka15631 20/05/23 15631 3
68527 [TFT] 10.11 PBE 전략적 팀 전투 조정사항 [32] 스위치 메이커12643 20/05/23 12643 1
68526 [콘솔] 로보캅과 터미네이터가 싸우면 누가 이길까? (feat. 모탈컴뱃) [16] 밥도둑9416 20/05/23 9416 1
68525 [콘솔] 소울 칼리버 6에 바라는점. [5] 공기청정기8661 20/05/22 8661 0
68524 [LOL] 프렌차이즈 추가 정보들에 대한 정리들 [45] Leeka14889 20/05/22 14889 1
68523 [LOL] 정글 챔피언들에 대한 이야기 몇가지 OP&함정 [28] 랜슬롯14209 20/05/22 14209 2
68522 [기타] [스팀] 스팀 이번주 주말 무료 - DAYZ & DJMAX RESPECT V [10] 민트삼13467 20/05/22 13467 0
68521 [콘솔] 제노블레이드 2가 가을에 한글화가 됩니다. [48] 코우사카 호노카11002 20/05/22 11002 2
68520 [PC] 발로란트가 6월2일 정식출시 합니다. [20] 윤정11707 20/05/22 11707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