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10/14 21:42:29
Name 스위치 메이커
Subject [LOL] 이번 객원해설 로테이팅은 상당히 좋네요
플레이-인 스테이지부터 수많은 롤 선수, 감독, 코치을 돌려가며 객원 해설로 세우고 있는데 이런 건 괜찮은 듯 싶습니다.

선수들의 노련한 분석을 들을 수도 있고, 본인이 잘 아는 팀에 대해서 이런저런 사이드 스토리를 푼다거나, 해외 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를 통해 타 리그의 선수들에 대해 조금 더 많은 내용을 알 수 있게 된 것 같습니다.

아니면 와디드/갱맘처럼 기승전자기자랑으로 가서 웃음을 주기도 하구요 크크크

개인적으로 가장 인상깊었던 건 역시 웃음이 끊이질 않던 담원 김목경 감독과 해설도 잘하고 목소리 톤도 좋던 (그리고 트위터를 이용한 깨알 자랑을 하던) 와디드 김배인 선수가 있었네요.

객원 해설을 몇 명 쓰는 정도는 있었지만 이 정도까지 돌려가면서 하는 건 라이엇 체재 들어서 나온 변화 같기는 한데, 뭐 이거 하나 잘했다고 해서 라이엇 코리아가 모두 잘 하고 있다는 거 아닙니다. 그냥 요거 하나는 괜찮은 것 같다는 겁니다.

더 노력해서 LCK 방송 퀄리티도 LEC나 LCS 못지않게 만들어 봅시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10/14 21:50
수정 아이콘
저도 이번 객원해설은 다 괜찮았어요. 다들 입담도 적당히 있고. 종합적으로 제일 좋았던 건 와디드 선수였네요. 딕션도 좋고 드립력도 좋았어요. 깨알같은 자기자랑이 웃겼습니다.
페스티
19/10/14 21:58
수정 아이콘
저도 와디드가 참 좋았습니다.
19/10/14 21:53
수정 아이콘
오지엔에서 하던걸 그대로 가져왔는데, 객원해설 로테가 더 활발하게 돌고 있죠. 이거처럼 그냥 하던거 똑같이 배껴서 계속 해줬으면 좋겠습니다
파쿠만사
19/10/14 21:59
수정 아이콘
전 와디드 선수도 좋았는데 엄티 선수도 꽤 좋았습니다.
감별사
19/10/14 22:04
수정 아이콘
저는 투머치토커 플레임도 좋았습니다 크크크
말이 많고 사투리 억양이 심해서 그렇지 진짜 포인트 잘 집고 해설 퀄도 좋았어요.
오늘 고릴라도 괜찮네요.
김목경 감독님은 개인캠을 너무 많이 잡아서 그게 좀 별로였네요.
19/10/14 22:54
수정 아이콘
오늘 고릴라 좋네요
모나카빵
19/10/14 22:57
수정 아이콘
잘하던건 배워와야죠 이제..lck ui랑 화면도 배워왔으면..
19/10/14 23:04
수정 아이콘
저는 지금까지는 엄티 고릴라 투탑 같아요.
19/10/14 23:07
수정 아이콘
고릴라가 정말 좋네요.
목소리도 착함이 묻어나서 듣기도 편하고 예리할땐 예리해서 좋네요 크크
영수오빠야
19/10/14 23:10
수정 아이콘
고릴라 진짜 듣기 좋았어요 매일 나오기는 힘들테고 가끔 나와주면 좋겠네요
19/10/14 23:10
수정 아이콘
고릴라는 당장 투입해도 될 것 같은 수준
공대장슈카
19/10/14 23:11
수정 아이콘
고릴라는 아프리카 방송할때부터 설명이 정말 좋았죠
그럴거면서폿왜함
19/10/14 23:34
수정 아이콘
예전 객원해설은 객원해설치고 잘한다 이런 느낌이었는데 이번 객원해설은 그냥 바로 정식 해설 투입시켜도 될 거 같아요
1등급 저지방 우유
19/10/15 00:02
수정 아이콘
이거 하나 잘한건 인정합니다.
못한건 까더라도 잘한건 칭찬해야죠.
고릴라가 향후에라도 선수 끝내면 해설쪽으로 방향 선회하는것도 나쁘지 않아 보입니다.
일단 듣기 편해요.
술마시면동네개
19/10/15 00:13
수정 아이콘
고릴라는 그냥 거의 전문해설급인거같은 느낌...
별빛 봄
19/10/15 00:14
수정 아이콘
라코만의 것이아니라 오지엔 하던거 그대로 해도 평타는 치는데...좀 못하면 이번처럼 제발 베끼기만이라도 했음좋겠네요 제발 라코야
Rorschach
19/10/15 00:33
수정 아이콘
고릴라야 뭐 LCK에서 뛸 때 인터뷰만 봐도 말을 참 침착하게 잘했었죠.
R.Oswalt
19/10/15 01:26
수정 아이콘
갱맘도 핑무새 오명 벗고 명예회복 했죠 크크크
반니스텔루이
19/10/15 01:30
수정 아이콘
디질래, 쳐발려 등등.. 저렴한 언어선택만 주의하면 크크
포프의대모험
19/10/15 01:31
수정 아이콘
근데 보니까 클템 안쉬는거 아닌가요? 크크 낼은 퀴동준으로 나오나요?
다시마두장
19/10/15 01:53
수정 아이콘
저도 고릴라 선수 평소에 말 예쁘게 잘한다고 생각했는데 해설로 투입시키니 역시 즉전감이더라구요.
파핀폐인
19/10/15 02:32
수정 아이콘
와디드-고릴라 진짜 미친 쌍두마차 봅니다. 쿠로도 괜찮았고요.
19/10/15 07:38
수정 아이콘
쿠로가 제일 괜찮다고 생각했는데 고릴라는 넘사벽...
크림샴푸
19/10/15 08:45
수정 아이콘
근데 만약 선수들에게 돈을 안 줬다면?? 설마 그러진 않았겠져?
니나노나
19/10/15 10:05
수정 아이콘
고릴라선수 해설 좋더라구요. 톤도 듣기 편하고, 해설 내용도 좋구요.
goldfish
19/10/15 10:11
수정 아이콘
고릴라 해설은 좋다, 괜찮다 수준이 아니던데요.
톤, 딕션, 게임보는 눈은 당연 훌륭하고, 다른 해설들과 융화되는 부분, 적당히 받아쳐주는 타이밍이 단순한 객원해설 수준이 아니여서 놀랐습니다. 당장 전문해설로 투입시켜도 무리가 없을 수준이라 봅니다. 개인적으로는 클준보다 더 좋았습니다.
19/10/15 10:37
수정 아이콘
고릴라>와디드>>>>>엄티>>>>>나머지 였어요.
티모대위
19/10/15 10:48
수정 아이콘
객원해설로는 와디드가 정말 좋았고, 엄티도 좋았네요.
그리고 고릴라는 객원이란 글자를 떼도 될것 같아요. 그냥 해설진이라고 해도 위화감 없을듯
19/10/15 11:16
수정 아이콘
보고 싶던 쿠로 봐서 너무 좋았고, 인터뷰 때부터 말 정말 잘하던 고릴라 해설 들어서 또 한 번 너무 좋았습니다.
세상의빛
19/10/15 12:32
수정 아이콘
저도 오늘은 클템 해설 좀 쉬셨으면 좋겠습니다. 3일 연속 총 18경기 해설은 체력적으로 무리가 가지 않을까 하네요.
클로로루실후르
19/10/15 12:48
수정 아이콘
저는 너무 예능 느낌으로 가는 거 같아서 와디드가 제일 별로. 고릴라가 제일 나았고, 엄티도 괜찮았던 듯.
19/10/15 14:29
수정 아이콘
저도 재미는 있었는데 그 부분이 아쉬웠네요. 엄티는 괜찮은 내용도 많았는데 경기 흐름과 좀 다른 부분도 있었다고 느꼈고, 쿠로는 엄청 달변은 아닌데 확실히 지금도 잘하는 선수라 그런지 경기 흐름을 순간순간 짚는게 좋아보였고, 고릴라는 완전체...
19/10/15 13:05
수정 아이콘
고릴라는 계속불러줬으면
Le_Monde
19/10/15 14:48
수정 아이콘
갱맘은 공식 해설말고 인방에서 해설하는거 보고 싶습니다.
공식적인 자리에서 맞는 용어 설정은 아니었는데 선넘는게 재밌더라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6973 [LOL] 1등팀과 같아진 LCK, 1등팀과 달라진 LPL, LEC [56] Leeka10588 19/11/04 10588 9
66972 [LOL] 이르긴하지만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결승에서 주목해야할 챔피언 [11] 스톤에이지7419 19/11/04 7419 0
66971 [LOL] 타워 바론은 승리로 가는 과정일 뿐이다 [14] 바람과 구름7285 19/11/04 7285 1
66969 [LOL] G2가 SKT보다 개념적으로 앞섰다고 생각합니다 [57] Pokemon12796 19/11/04 12796 0
66968 [LOL] SKT vs G2 전 감상 [67] 우히히히11766 19/11/04 11766 1
66967 [LOL] 중국 제외, 온라인 동시 시청자 398만 달성.. [17] Leeka9738 19/11/04 9738 0
66966 [LOL] 2.3%의 승리 [50] 비역슨10653 19/11/04 10653 1
66965 [LOL] 페이커 이젠 쓰러져도 괜찮아 [50] 아웃프런트13415 19/11/04 13415 10
66964 [LOL] 슈퍼팀 G2, LCk 패배원인과 미래. [76] 월광의밤15590 19/11/04 15590 8
66963 [LOL] 상실감 [8] 나른한날7957 19/11/04 7957 4
66962 [LOL] 오늘로써 끝난 나의 롤드컵. 모두들 수고하셨습니다. [19] 랜슬롯9417 19/11/04 9417 6
66961 [LOL] LCK의 몰락 그리고 조금은 다른 관점 [12] 퓨우리이11294 19/11/04 11294 6
66960 [LOL] 리그오브레전드와 실수 [7] 스니스니8042 19/11/04 8042 5
66959 [LOL] 롤알못의 SKT vs G2 감상. 슈퍼 플레이는 공짜가 아니었다. [7] 던져진8767 19/11/04 8767 3
66958 [LOL] 페이커 응원글 [30] 대관람차9229 19/11/04 9229 25
66957 [LOL] LCK는 정말 3부리그가 되었음을 인정해야 하는 걸지도 모르겠네요 [319] cogbe18137 19/11/04 18137 8
66956 [LOL] 다들 질만해서 졌다고 하는데 저만 괜히 분한거 아닌가 모르겠습니다. [78] 삭제됨10602 19/11/04 10602 5
66955 [LOL] 올해 한국의 국제대회는 대체적으로 결과가 안 좋았네요 [17] 가스불을깜빡했다8103 19/11/04 8103 0
66954 [LOL] 올 해 G2가 LCK를 대적하며 만든 기록들 [34] 신불해11365 19/11/04 11365 8
66953 [LOL] 오늘 4강전 G2 vs SKT를 보고 느낀 점 몇 가지. [89] 삭제됨11423 19/11/04 11423 3
66952 [LOL] 시스템을 역전당하다 [68] 바람과 구름10383 19/11/04 10383 16
66951 [LOL] T1 수고했습니다. [167] 스니스니13375 19/11/03 13375 10
66950 [LOL] 2년 연속 중국 vs 유럽 결승전 탄생 - 4강 2일차 후기 [111] Leeka12435 19/11/03 12435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