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07/11 15:50:22
Name 다크템플러
Subject [LOL] 16년 스위프트가 부른 희대의 스노우볼
유게성 글에 가까워서 유게로갈까 겜게로갈까하다가...
겜게가 좀더 북적이길 바라는 마음에 크크크

요즘 리프트 라이벌즈의 여파로 도인비에 대한 평가가 꽤 올랐습니다.

도인비 이야기를 할 때 꼭 나오는게 스위프트-도인비의 정치썰입니다 크크
스위프트가 팀내정치를통해 도인비를 거의 아웃시켜버렸다는 이야기로,
실제로 그 뒤 도인비는 2군, Newbee Young 에서 뛰게 됩니다. 자세한 것은 우리의 친구 꺼라위키..
https://namu.wiki/w/백다훈#s-2.3
https://namu.wiki/w/김태상#s-3.2

2016년 LSPL, 2부로 가게 된 도인비는 팀을 2위로 이끌게 되고 포스트시즌 결승전에 진출합니다.
참고로 당시 LSPL 에서 우승하면 직행, 지면 6팀중에 2팀만 살아남는 지옥의 승강전을 펼쳐야하는 상황


당시 도인비팀이 결승에서 만난 팀은, 이미 스프링 2등으로 승강전까지갔다가 실패하고 재수를 노리는 팀
중국의 전설중 하나 PDD가 만들어낸 명 팀, Young Miracle 이었습니다.

근데 당시 양쪽 팀의 멤버가 상당히 주목할만 합니다.



두 팀의 대결은, 풀세트 접전까지 가는 끝에 뉴비 영의 승리! 뉴비 영은 17년 LPL합류에 성공하고 QG 리퍼스가 됩니다.

반면 영 미라클은 결국 승강전에서 OMG에게 패배, 2부에서 한 번 더 있게되고 작은 리빌딩이 있게 됩니다.




그 결과.......

2부에서 활약했으나 LPL에 합류하지 못한 영 미라클의 서포터는 RNG에 영입됩니다. 바로 Ming
밍과 봇듀오로 섰지만 결국 LPL에 합류하지 못했던 원딜러는 포지션을 변경합니다. 바로 Ning
영 미라클의 미드라이너는 결국 그 이후 1부에 합류하지 못하고... 그 닉은 이후 다른나라에서 등장한 원딜이 가져갑니다. Viper

뉴비 영은 스프링시즌만해도 7위였지만, 도인비뿐아니라 정글빼고 거의 모든라인업을 싹 갈아엎었습니다.
그리고 두시즌 연속 남아있던 그 정글러는 무사히 1부리그에 합류, 커리어를 이어나갑니다. Clid

뉴비 영에서 스프링시즌 클리드와 함께 뛰던 한국인 탑라이너는 도인비 합류이후 용병쿼터에서 밀려 후보가 됩니다.
이후 1군에 합류한 QG에는 로컨까지 합류하면서 3한국인체제, 나오기는 물건너갔고 결국 다음시즌 한국으로 옵니다. Khan


밍의 RNG 합류
닝의 정글 포변
바이퍼 닉의 공백화
클리드의 1군합류
칸의 LCK 복귀

모두 단 하나의 사건, 도인비-스위프트의 정치싸움으로부터 시작했습니다....

이쯤되면 희대의 스노우볼 중 하나라고 봐도 무방

p.s. 이미지 삽입이 제대로 안되서 몇번 재업했습니다 ㅠ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7/11 15:59
수정 아이콘
바이퍼 얼굴이 많이 변했네요
스팸계란간장밥
19/07/11 22:48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
감별사
19/07/11 16:00
수정 아이콘
참 신기하네요 크크
이렇게 스노우볼이 구르네...
코우사카 호노카
19/07/11 16:09
수정 아이콘
저 스위프트를 조용히 잠재운 cj 프로스트.. 당신은 도덕책..
니나노나
19/07/11 20:15
수정 아이콘
샤이갓....
다시마아스터
19/07/13 01:56
수정 아이콘
빠별, 건웅, 로코등의 유전자가 있는 팀이라 스위프트정도는 순둥이 수준밖에 안 된다는 우스개가 많이 돌았었죠 크크.
19/07/11 16:11
수정 아이콘
밍은 RNG가서 18 MSI 우승을
닝은 IG가서 18 롤드컵 우승을.

그리고 칸과 클리드는 현재 SKT로...
파핀폐인
19/07/11 16:14
수정 아이콘
진짜 생각할수록 cj가 개웃기네 크크크크 대체 어떤 곳이기에 스위프트가 순한 양이였던가,....
그리고 닝이 원딜러라....어울리지가 않네요
케갈량
19/07/11 19:39
수정 아이콘
그 계단
19/07/11 16:26
수정 아이콘
아 그러고보니 작년 lpl 서머 결승전 트래쉬토크(우지가 재키러브한테 넌 나를 뛰어넘을 수 없다는 뉘앙스로 얘기했던)에서 닝과 밍이 유독 친해보이고 다른 포지션인데도 서로 간에 토크가 오고 가더니 이래서였군요
1등급 저지방 우유
19/07/11 16:35
수정 아이콘
[겜게가 좀더 북적이길 바라는 마음에 크크크] 첫 단락 이문장보고 일단 바로 추천을 누르고 글을 읽기 시작했습니다..크크
By Your Side
19/07/11 16:39
수정 아이콘
닝밍 빙하 시너지 오지네
19/07/11 16:43
수정 아이콘
씨제이 때는 완전 막내로 한국인 형들 있던 팀에 들어간거고, 중국 팀때는 나이 한두살이라도 더 차고 대접 받는 용병으로 간거라 다를 수 밖에 없죠 크크
파이몬
19/07/11 16:45
수정 아이콘
도인비 왤케 얍삽해보이게 찍었지 크크크
19/07/11 16:46
수정 아이콘
칸이 머리에 총 겨누는 포즈를 저기서 배운 거였구나
네오크로우
19/07/11 16:50
수정 아이콘
클리드 지금도 그렇지만 저때는 좀 더 토실토실했네요. 크크크
바다표범
19/07/11 16:51
수정 아이콘
저 영 미라클이 해외리그 엣날부터 봐오신 분들한테는 승강전 잔혹사로 꽤 유명한 팀이죠. 크크크
삼겹살에김치
19/07/11 17:35
수정 아이콘
정확히기억안나는데 우지도 qg였던거같은데
다크템플러
19/07/11 17:42
수정 아이콘
(수정됨) 네 크크 16년 전반기때 스위프트-도인비랑 한팀으로 뛰었습니다. 16섬머부턴 RNG
이게 팀계보가 이름떄문에 헷갈리는데.. 1군/2군기준 16스프링때는 QG/뉴비영, 16섬머때는 뉴비/뉴비영 - 17때 둘다올라오니까 뉴비/QG
딱총새우
19/07/11 17:49
수정 아이콘
위에는 한국인이름이 전부 소문자, 아래는 전부 대문자인게 신기하군요.
다레니안
19/07/11 18:37
수정 아이콘
YM에서 닝은 한국솔랭을 안했던가, 아니면 마스터도 못 찍었던가 둘 중 하나겠네요. 크크크
미드는 당시 점수는 엄청 높았는데 유저들 평가는 "재는 캐리력이 없어서 프로에서 안 통한다" 였는데 딱 그대로였고 칭찬일색이던 밍은 특급 서포터가 되었군요.
19/07/11 18:48
수정 아이콘
극성의 클리드맘
톰이 당시 코치였죠

계약 꼬일대로 꼬여서 선수는 반 포기한 상태였지만
코치는 프리라는 얘기에 코치 반년인가 1년뛰면서 팀 승격시킨
19/07/11 19:34
수정 아이콘
아! 톰이 승격시킨 그팀이었군요!
카발리에로
19/07/11 19:09
수정 아이콘
저 정치싸움에서 두 사람 빼고 제일 피본게 톰이랑 다데...
스덕선생
19/07/11 19:50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당시 LPL 시청자 한 분의 분석으론 스위프트는 중체정, 도인비는 센스는 있지만 기본기가 부족해서 스위프트 덕분에 버티고 있는거라는 엄청난 혹평을 들었는데 신기합니다.

롤판에서 통용되는 말로 센스가 부족한건 어느 정도 가르쳐서 채울 수 있지만 기본기가 부족한건 결코 해결할 수 없다(소위 포텐셜이 낮다)는 말이 있는데 도인비는 후자에 속하면서도 본인을 중체미 수준까지 올렸으니...
qpskqwoksaqkpsq
19/07/11 20:19
수정 아이콘
대체로 그렇다는거지 절대적인건 아니죠. 스타 프로씬 시절에도 갑자기 평균 apm 50씩 올라가던 선수들도 종종 있었죠
KT야우승하자
19/07/11 21:47
수정 아이콘
초기 도인비는
빅토르 원툴 소리도 들었던거 같은데
19/07/12 08:48
수정 아이콘
클리드 머리보소... alone 선수는 왜 x침을 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7928 [LOL] LCK 스프링 대충 중간점검(???) [39] TAEYEON13441 20/03/01 13441 2
67927 [LOL] LCK 4주차 맘대로 뽑아본 라인별 BEST and WORST [52] 삭제됨93275 20/03/01 93275 0
67926 [LOL] LPL 개막전 진행된 인기투표 현황 [23] Leeka13515 20/03/01 13515 0
67925 [하스스톤] 요즘 다시 재미있게 하고있는 하스스톤 [12] kapH11666 20/03/01 11666 2
67924 [기타] 이스 9 플래티넘 트로피 달성기념 간단한 리뷰(약스포) [29] giants13440 20/03/01 13440 0
67923 [LOL] 왜 안하는지도 모르겠고 왜 풀어주는지도 모르겠는 단식세나 [57] 신불해20459 20/02/29 20459 2
67922 [스위치] DL 20% 할인 소식 (120종) [30] 스위치 메이커13021 20/02/29 13021 1
67921 [LOL] 현재 LCK 단연 최강의 픽 [59] 다크템플러17437 20/02/29 17437 0
67920 [LOL] 2020 LCK 스프링 팀별 POG 득표현황 + 만장일치 POG [36] 베스타12808 20/02/29 12808 5
67919 [LOL] 소위 SKT식 무근본 밴픽의 서막이라 보는 경기 [56] 베스타18692 20/02/28 18692 9
67918 [LOL] 거진 퍼펙트게임이 나왔습니다 [64] KDJ16906 20/02/28 16906 3
67917 [LOL] 승승장구 서라벌 게이밍 [35] 신불해15056 20/02/28 15056 2
67916 [LOL] LCK 현역 선수들의 우승 커리어 [19] Leeka11733 20/02/28 11733 0
67915 [기타] 코나미 커맨드의 카즈히사 하시모토 타계 [4] 복타르10488 20/02/28 10488 0
67914 [LOL] 진에어 근황 [25] om111213314 20/02/28 13314 0
67912 [기타] 2020 포켓몬 오브 더 이어 투표 결과 [30] 及時雨14081 20/02/27 14081 0
67911 [LOL] 이 맛에 너구리 키운다 - 담원 vs 한화 3세트 후기 [37] Leeka14215 20/02/27 14215 0
67910 [기타] 문체부 민원 계속 플러스 [8] manymaster13475 20/02/27 13475 56
67909 [LOL] 진 퍼펙트게임이 나왔습니다 [111] Leeka19607 20/02/27 19607 2
67908 [기타] 그랑블루 판타지 버서스 3월13일 스팀 발매! + 나루메아PV [20] 야크비쉬10208 20/02/27 10208 1
67907 [LOL] RCK 참가 선수들 하이라이트 및 우승 커리어 [28] Leeka11705 20/02/27 11705 1
67906 [LOL] (오피셜) 그리핀 새로운 탑 호야 [65] 캬옹쉬바나15011 20/02/27 15011 0
67905 [LOL] 2020 미드시즌 인비테이셔널 (MSI) 관련 공지가 올라왔습니다. [9] 삭제됨10968 20/02/27 1096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