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8/09/26 16:13:43
Name EPICA
Link #1 https://news.blizzard.com/en-us/starcraft2/22535491/balance-mod-update-september-25-2018?utm_source=twitter&utm_campaign=web-kr-desktopwebnews&utm_content=22535491&utm_medium=social-post
Subject [스타2] 9월 25일 커뮤니티 피드백 - 2018 밸런스 패치
프로토스

쉴드배터리

체력/쉴드가 200/200에서 150/150으로 감소

우리는 전진 쉴드 배터리 전략을 지난 몇 개월동안 모니터링했고, 못 이길 전략은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우리는 이 전략을 약간 리스크 있도록 하고 싶습니다. 쉴드 배터리의 체력을 줄임으로써 수비력은 유지하면서 공격적인 사용을 약하게 하려고 합니다. 특히, 담즙을 7회에서 5회로 줄어들어 저그가 더 깔끔하게 전략에 대응하게 해 줍니다.

분광기

탑승 범위가 6에서 5로 감소

차원 분관기는 공허의 유산에 들어와서 탑승 사거리 버프를 받았고, 우리는 대부분의 경우에서 잘 먹히는 걸 재밌게 봤습니다. 탑 토스 플레이어들은 마이크로 능력을 자랑할 수 있고, 여러 유닛을 이용해 긴 사거리(multiprolonged)의 공격옵션을 쓸 수 있었습니다.

우리는 저그가 분광기 집정관 스타트를 더 잘 막을 수 있도록 하려고 합니다. 현재 분광기 탑승범위와 집정관의 사거리를 합치면 9이며, 여왕의 대공 사거리보다 1이 많습니다. 탑승범위를 1 줄임으로써 여왕이 분광기에 잘 대응하게 하려고 합니다.

이를 통해 저그에게 더 많은 시작 빌드 선택지를 주려고 하지만, 많은 프로토스 플레이어가 분광기 전략에 의존하는 것을 알기 때문에 이 변화를 유심히 지켜볼 것입니다.

공허포격기

분광 정렬 이동속도 감소가 40%에서 25%로 감소

공허의 유산 초기에 우리는 공허포격기가 전투중에 너무 강력하지 않도록 분광정렬에 이동속도 감소 옵션을 주었습니다. 이 변화 방향에 만족하고 있긴 하지만 감소폭을 줄여도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그

여왕

수혈이 이제 체력을 125 즉시 회복시키지 않고, 75를 즉시 회복시키고 7.14초간 50을 추가로 채웁니다.

저그의 초반 양상에서, 여왕은 견제와 전방 푸시를 다 막았습니다. 또한 크립을 넓히고 애벌레를 채우기도 했습니다. 우리는 여왕이 너무 다 해먹는(catch-all) 유닛이라고 생각하여 역할 중 하나를 약화하려 합니다.

서서히 체력이 채워지는 효과는 중첩이 되지 않아 다른 여왕 같은 고 체력 유닛에게 연쇄적인 수혈을 넣는 것의 효과를 약화시킬 것입니다.


점막

점막종양의 크립 확대 기간: 0.3에서 0.45로 증가
대군주의 점막 생성 기간: 0.36에서 0.45로 증가

군심과 공허의 전환기에, 점막 생성 기간이 0.6에서 0.3으로 감소했는데, 이 변화가 실제로 점막 확산을 두 배 빠르게 하지 않았음에도 저그가 맵을 장악하는 효과를 줬습니다. 최근 일부 저그 플레이어들의 약진 이후에 우리는 크립이 너무 빨리 퍼져서 압박이 크고 중후반에 맵의 큰 비율을 장악한다는 피드백을 받았습니다.

이걸 억제하기 이해 점막 확산 속도를 낮추는 실험을 하려고 하고, 먼저 군심과 공허의 중간으로 해 보려고 합니다. 점막을 넓히는 건 저그의 핵심적인 아이덴티티이므로 이 변화를 주의깊게 지켜볼 것입니다.

바퀴

땅굴 발톱?? 개발 비용이 150/150에서 100/100으로 감소
땅굴 발톱이 더이상 체력 회복을 7/s에서 14/s로 향상시키지 않습니다.

저저전에서 잠복 바퀴가 견제하는 것을 많이 봤습니다. 저그 플레이어에게 견제하고 복귀하는 능력을 주는 것은 좋았지만 저그 플레이어들에게 이 능력이 과하게 좋다는 피드백을 받았습니다. 땅굴 발톱 업그레이으도 방어하는 바퀴를 두 배 이상 배치해야 합니다.

저저전 이외에서 땅굴 발톱 업그레이드가 별로 많이 나오지 않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사용 시에 잠복중 이동이 체력 회복보다 더 중요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 변화는 저저전에서 바퀴 견제를 약화시킴과 동시에 다른 매치에서 사용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히드라

체력이 85에서 90으로 증가
공격속도 0.54에서 0.57로

몬트리올의 모든 종족 플레이어에게서 체력 너프 말고 공격 속도 너프를 해 달라는 피드백을 받았습니다. 체력 대신에 공격 속도를 낮춤으로써, 예언자 같은 유닛에게 가성비 좋게 대응하면서 큰 한방 병력에서 강력한 전천후 유닛으로서의 파워를 낮출 수 있을 것입니다. 높은 체력을 유지함으로써 사이오닉 폭풍 같은 스킬에 잘 대응할 수 있을 것입니다.

감염충

반경이 0.75에서 0.625로 감소
버로우된 반경도 똑같아짐
모델 크기가 0.85에서 0.75로
감염충이 이제 버로우 상태에서 충돌 없이 지나갑니다.(잠복 이동하면 위에 서 있는 유닛 헝클어지는 게 아예 없어진다는 건지???)
진균번식에 걸린 유닛이 점멸, 차원도약, 탑승할 수 없습니다.

감염충이 사용하기 너무 투박하다는 피드백이 많아 사용성을 높이기 위한 몇가지 트윅을 적용하려 합니다. 진균번식이 이동 기능을 제한하도록 해서 진균번식의 원래의 기능을 약간 돌려주려고 합니다.

땅굴망

200/250에서 150/150으로 감소

땅굴망의 변화 방향 자체는 좋지만 초기 비용이 너무 높고 뚫는 중에 공격이 가능해 진 것으로 충분히 너프가 되었다는 피드백이 많았습니다. 이번 업데이트에서 수혈 너프도 테스트 할 것이기 때문에 땅굴망 비용 감소가 어떤 영향을 줄지 보니려고 합니다. 이 버프는 실험적인 변화이기 때문에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유심히 지켜볼 것입니다.


출처 : http://gall.dcinside.com/m/sc2/153737
=========================================================

지난 WCS 몬트리올때 발표된 밸런스 변경 패치 이후 추가적인 피드백이 올라왔습니다

배터리의 체력 쉴드 너프, 분광기의 탑승 범위 너프, 공허 포격기의 분광정렬 사용시 이속감소된 부분의 버프
여왕 수혈 너프, 점막 변경, 바퀴와 히드라의 변경, 감염충의 변경, 땅꿀망의 자원 버프의 내용이 올라왔습니다

특히 분광기 너프랑 여왕의 수혈 너프는 주목되는 부분이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9/26 16:30
수정 아이콘
울레기 간접 너프인가요..
가루맨
18/09/26 16:39
수정 아이콘
패치 방향뿐 아니라 세세한 패치 안이 전반적으로 상당히 좋네요.
사견으로는 블리자드의 모든 게임을 통틀어 밸패 하나만큼은 지금의 스타2 밸패 팀이 최고인 것 같습니다.
18/09/26 17:17
수정 아이콘
갠적으로 분광기는 체력이나 실드를 너프하는게 좋아보이는뎅. .
18/09/26 17:24
수정 아이콘
예전에 한번 너프를 때렸습니다
18/09/26 18:22
수정 아이콘
아 100/100에서 너프된적이 있었나요?;;
18/09/26 18:24
수정 아이콘
체력이 80으로 너프 된적이 있습니다
생각안나
18/09/26 17:26
수정 아이콘
체력이나 쉴드는 이미 너프가 한번 됐어서 지금이 적당한 편이죠. 더 너프해야 한다는 건 지뢰 한 방에 폭사될 정도로 만들어야 한다는 건데 그건 좀... 개인적으로는 소환시간을 너프해야 한다고 봅니다.
18/09/26 17:57
수정 아이콘
계속 테란을 해야겠네요
Been & hive
18/09/26 18:57
수정 아이콘
한국입장에서는 판 자체의 파이축소로 고인물화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좋습니다.
갈수록 한국이 다 휩쓰는게 어려워지고 있다 생각해요
18/09/26 19:00
수정 아이콘
쓰레기같은 능력에 똥고집만 있던 DK 나가고나서 나오는 패치들은 상당히 마음에 듭니다.
비상의꿈
18/09/26 19:05
수정 아이콘
이렇게 피드백이 잘 되는 블리자드라니 DK 너란 인간은 대체....
하나의꿈
18/09/26 22:43
수정 아이콘
DK나가니 이리 잘하는걸. 짤려도 백번 짤렸어야할 인간이 블리자드 신 프로젝트에 빡빡이와 함께 한다니 쯧...
푸들은푸들푸들해
18/09/27 09:56
수정 아이콘
싸이클론은 왜 하향안하죠 진짜 초반에 오는거 막기힘든데
가루맨
18/09/27 10:48
수정 아이콘
기본 방어력을 1에서 0으로 낮췄습니다. 다만 확정되더라도 블컨 이후에 반영될 거라 아직은 해당 사항이 없죠.
18/09/27 14:31
수정 아이콘
테테전이나 테프전 전부 전진 병영이 제일 문제 같은데 왜 언급조차 없는지...
프로피씨아
18/09/30 01:17
수정 아이콘
이미 지난번 패치안으로 싸이클론 너프가 예정돼 있는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4370 [LOL] 8천골드차 겜 역전한 썰.jpg [15] 아놀드의아몬드11367 18/10/16 11367 3
64369 [LOL] 롤드컵 8.19버전이 역대급 꿀잼인 이유 [14] Archer9825 18/10/16 9825 5
64368 [하스스톤] 12.3 패치노트가 공개되었습니다. [122] BitSae12141 18/10/16 12141 1
64367 [기타] [레트로게임] BGM으로 보는 90년대 게임들 [27] 아케이드10598 18/10/16 10598 0
64366 [LOL] 역대 최고의 롤드컵으로 남을듯한 18 롤드컵. [54] Leeka11101 18/10/16 11101 4
64365 [LOL] 유럽의 운명.. 젠지와 퐁부의 차이로 인해 갈리다 - 롤드컵 6일차 후기 [61] Leeka9685 18/10/16 9685 1
64364 [LOL] 롤드컵 6일차 후기 [68] TAEYEON9457 18/10/16 9457 0
64363 [기타] [에픽세븐]역대급 버그&호구같은 보상. 이름하여 대출세븐! [30] 요슈아9554 18/10/15 9554 0
64362 [LOL] 젠지에게 보내는 응원과 앞으로의 리빌딩에 대해 [160] SuperHero11734 18/10/15 11734 0
64361 [LOL] 그렇기 때문에 더 수고했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75] Kaestro9565 18/10/15 9565 13
64360 [LOL] 메타 적응의 실패? [46] 길이보이9062 18/10/15 9062 0
64359 [LOL] 여러 기사들로 보는 손대영과 래퍼드. 그리고 코칭 스태프 이야기 [94] Leeka11960 18/10/15 11960 1
64358 [LOL] LCK에게 많은 것이 달린 운명의 날이 밝았습니다. [98] 랜슬롯14389 18/10/15 14389 0
64357 [LOL] 중국 스크림 유출관련... [195] 삭제됨23058 18/10/15 23058 2
64356 [LOL] 살짝 달라진 미드 구도 누가 웃는자가 될까요? [55] 키토11341 18/10/15 11341 0
64355 [LOL] 아프리카 프릭스 응원글 [33] 다크템플러7429 18/10/14 7429 7
64354 [LOL] 글 내리겠습니다. [168] 삭제됨14529 18/10/14 14529 4
64353 [LOL] 롤드컵 5일차 후기 [140] TAEYEON11579 18/10/14 11579 6
64352 [LOL] 영원한 북미의 희망 C9.. 가장 먼저 8강을 확정짓다. [85] Leeka9874 18/10/14 9874 6
64351 [LOL] 젠지에게 [19] 구름과자8231 18/10/14 8231 6
64350 [LOL] 젠지 수고많았습니다 [158] Luv.SH12686 18/10/14 12686 2
64349 [LOL] 상체라인을 중심으로한 1라운드 롤드컵 메타 및 밴픽 분석 [5] Helix Fossil7167 18/10/14 7167 0
64348 [기타] 새로 나온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4를 해보았습니다. [15] 레드후드8066 18/10/14 806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