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8/08/07 10:46:28
Name MystericWonder
Link #1 https://clips.twitch.tv/PlayfulPeppyToadRlyTho
Subject [LOL] 2주 연속으로 나온 희대의 북미잼 (수정됨)


예, TSM이 지난 주에 이어 또 다시 북미잼의 주인공이 되었습니다(...)

(지난 주의 북미잼 포스팅은 여기 참고: https://www.pgr21.co.kr/pb/pb.php?id=free2&no=63888)

후니가 바텀으로 스플릿을 나간 사이 TSM이 미드 억제기를 미는데, 여기서 한타를 안 하고 빼다가 하운처의 초가스는 계속 CC 연계 맞다가 순식간에 딸피 된 다음에 궁 점멸 다 못 쓰고 순삭, 비역슨의 조이는 포킹 해보려다가 나오자마자 신드라 궁 맞고 순삭, 이 와중에 킨드레드는 양의 안식처로 아무도 못 구하면서 TSM이 5:4 한타를 패배합니다(......). 그 사이 후니는 텔포로 같이 온 바루스와 함께 게임을 끝내고, 나머지 에코 폭스 선수들은 TSM의 귀환을 막습니다. 지난 주처럼 즈벤이 또(...) 맨 마지막에 텔포로 와서 막아보려고 하지만 이미 넥서스는 오픈되었고, 결국 GG.

레딧에서는 여기서 TSM이 미드 억제기를 밀려고 한 것 자체가 문제라는 의견이 대다수이고, 그 상황에서라도 귀환을 타야 했다 vs 5:4 한타를 강제해서 이겨보기라도 했어야 했다로 의견이 갈리는데, 어떤 쪽이 더 맞을까요?

이번 경기 결과로 TSM은 7위로 내려앉았습니다. 여전히 플옵권과는 한 경기 밖에 차이가 나지 않지만, 이대로라면 SKT처럼 창단 최초로 포스트시즌 탈락을 할 수도 있겠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8/07 10:54
수정 아이콘
신드라 상대로 벽 등지고 뺄 때부터 이미.. 알리 점멸로 이니시 걸었어야했네요.
bemanner
18/08/07 10:56
수정 아이콘
애초에 루시안으로 나르를 마크하면서 4:4에서 조이를 활용해 포킹하는 게 좋았을 거 같네요.
저 상황에선 이미 진 거 같긴 한데 그래도 알리 점멸쿵쾅 해보는 게 맞는 거 같고요.
Lighthouse
18/08/07 11:16
수정 아이콘
억제기를 밀었으면 그때 빼는척하면서 바로 들어가서 다 잡아먹고 끝낼생각을 하던가 아니면 그냥 한명 막고 4:4로 하는식으로 해야하는데 당연히 억제기만 밀고 대놓고 빼면 저런식으로 되죠... 설사 백번양보해서 5명 다 같이 어찌어찌 빠져나가더라도 절대로 TSM 귀환하게 안나뒀을꺼라 게임끝났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시말해서 억제기만 밀고 빼 라는 오더 자체가 나온시점에서 뭘 해도 졌을거라고 생각합니다.
18/08/07 11:26
수정 아이콘
미드억제기 민 순간 이미 '못먹어도 고'밖에 없는듯한데...
파핀폐인
18/08/07 11:27
수정 아이콘
트슴아!!또냐!!
작별의온도
18/08/07 11:57
수정 아이콘
아이고..
영상 몇 번 돌려봤는데 억제기만 밀고 곱게 빠지는 수는 나올 수가 없는 것 같아요. 그냥 거기서 한타 걸고 쭉 밀었어야 하지 않았나 싶기도. 애초에 나르가 저 위치까지 스플릿 푸쉬하고 있는데 억제기를 깨러 다섯 명 모두가 가는 것 자체가 좀 이상하긴 하지만요.
카발리에로
18/08/07 12:02
수정 아이콘
암만 봐도 저 타이밍에서 빠지는 판단 자체가 오버였다고밖에 판단이 안 드네요. 나르 위치 보면 TSM이 무조건 앞으로 밀고 들어가야 했음.
바다표범
18/08/07 12:07
수정 아이콘
빠지는 판단한 순간 졌죠. 빼는 척하면서 이니시를 걸어서 한타열었어야 합니다.
스덕선생
18/08/07 12:26
수정 아이콘
하운처가 저렇게 맞고있는데다 4대5인데 도망만 간게 잘못이죠.

하운처가 초가스던데, 이 챔피언은 롤에서 가장 단단한 챔피언 중 하나고 실제로 경기에서도 4명의 집중공격을 받고도 순삭당한게 아니라 맞다보니 중과부적으로 죽었습니다.
18/08/07 12:50
수정 아이콘
TSM이 좀 전체적으로 판단이 느리지 않았나 싶긴 합니다.
이미 이 영상에서 나르 위치가 너무 깊어요. 봇 타워가 없다는 점까지 감안하면
저 위치면 바론을 치든 본진 쌍둥이로 접근하든 더 위협적인 포지션이어야 정상인 것 같습니다
미드 억제기인거 자체가 좀 느린 상태랄까.
18/08/07 18:29
수정 아이콘
오브젝트를 미는 속도가 느려서 정비를 못하게 되면
설렁 그 오브젝트를 밀어도 바로 여러가지 더 큰 손해(시야, 돈, 라인상황 등등)로 바로 연결되고
[뇌절]이라고 표현하는 것의 본래 뜻이죠
TSM은 진지하게 누군가가 운영을 다시 알려줘야 합니다
정비를 하는게 자신들이 오브젝트를 미는 것보다 더 큰 이득이라는 것을 아예 모르는듯 합니다
18/08/07 21:48
수정 아이콘
무슨 일이 일어날지 아무도 모르는 북미잼 크크크크
크로니쿠
18/08/09 12:06
수정 아이콘
LCK 강팀이면 애초에 저런 외통수 상황을 안만들었겠죠, 스플릿 챔하나 잘 큰다고 쉬이 겜 내주는 팀은 강팀도 아니고요.
LPL 강팀이면, 이를테면 RNG같은 팀은 저런 아리송한 상황에서 신기한 대처법으로 정면돌파하기도 하죠.
저 상황에서 막으로 간다를 선택하고 성공해도 이미 큰 손해를 보는거고, 그렇다고 쉽게 4대5 한타를 걸려줄리도 없고요. 난감한 상황.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5517 [LOL] 2019 MSI 주제곡이 공개되었습니다. [14] Leeka9523 19/04/19 9523 0
65516 [LOL] (S)KT가 승강전을 전승으로 뚫었습니다 [69] Leeka14070 19/04/18 14070 5
65515 [기타] Nexon의 페리아 연대기 CBT 예정 [28] 삑삑이9510 19/04/18 9510 0
65514 [기타] vr chat을 처음 해봤는데 상당히 재밌네요 그리고 여성분들이 의외로 많네요 [15] AUAIAUAI12140 19/04/18 12140 1
65513 [LOL] 아트록스 개편이 공개되었습니다. [65] Leeka12356 19/04/18 12356 0
65512 [LOL] RNG에 관련된 최근의 몇몇 이야기들 [78] 신불해27097 19/04/18 27097 96
65511 LPL의 JDG 선수들의 LCK 선수들과 클리드 에 대한 언급 등등 [37] 신불해16249 19/04/15 16249 15
65510 [LOL] 서머시즌에 개선되었으면 하는 MVP 제도 [17] Leeka11292 19/04/17 11292 13
65509 [LOL] 스프링 시즌 몇몇 선수에 대한 단평 2 [42] Vesta12903 19/04/17 12903 2
65508 [LOL] 재미로 보는 선수들의 다양한 분류? [31] Leeka9651 19/04/17 9651 1
65507 [LOL] 스프링 시즌 몇몇 선수에 대한 단평 [76] Vesta14003 19/04/17 14003 2
65506 [기타] Apex 레전드 1.1.1패치 업데이트 [6] 헛스윙어7049 19/04/17 7049 0
65505 [LOL] 높은 사일러스인기는 영구적일 것이다? [22] 고기천사9789 19/04/17 9789 1
65504 [LOL] MSI 패치가 적용되었습니다. [78] Leeka11335 19/04/17 11335 0
65503 [기타] 집에 vr 혹은 mr이 있다면 의무적으로 해야하는 게임 [26] AUAIAUAI9582 19/04/17 9582 0
65502 [기타] xcom 2 클리어 후기 [10] 잘생김용현11248 19/04/17 11248 0
65501 [기타] [레인보우 식스] 돌아온 사자 [5] 현실순응8069 19/04/17 8069 1
65500 [LOL] "누가 더샤이를 죽일 것인가" [202] 신불해24606 19/04/17 24606 12
65499 [스타2] China Team Championship 2019 시즌 1 1주차 경기 결과 및 순위 [3] 及時雨9988 19/04/17 9988 3
65498 [LOL] SKT의 식스맨은 누구인가? [62] roqur11559 19/04/16 11559 0
65497 [LOL] 역대 승강전 히스토리 [4] Leeka6844 19/04/16 6844 1
65495 [LOL] 1년만에 돌아온 LCK와 CK의 차이 - 1일차 후기 [28] Leeka9646 19/04/16 9646 4
65494 [LOL] 승강전 1일차 후기와 CK의 미래 [3] 비오는풍경8764 19/04/16 876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