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7/12/01 22:39:29
Name Eulbsyar
Subject [LOL] 재미로 보는 LCK 블랙잉크 (수정됨)
보통 메이저에서 특정 선수에서 은퇴할 때 명예의 전당에 갈 수 있나 못 가나를 예상할 때

블랙 잉크 (각 성적에서 1위만 점수를 주는 방식), 그레이 잉크 (각 성적에서 10위 안에 있으면 점수를 주는 방식)이 있는데

그레이로 가면 귀찮아서... 블랙 잉크로 한 번 만들어 보았습니다.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롤드컵 우승 포인트 5점
롤드컵 MVP 4점 (시즌 4 부터 반영, 파이널 MVP포함)
LCK 우승 포인트 3점
LCK 시즌 MVP & 파이널 MVP 2점 (13 스프링 부터 반영)
각 포지션 KDA 1위 1점

우승 포인트의 기준은 결승전에서 최소 1경기를 뛰는 것을 기준으로 합니다.

예를 들면 15 스프링 결승전에 출전하지 않은 페이커와 뱅기에게는 LCK 우승 포인트 3점이 들어가지 않습니다. 

BEST 5 

1. Faker 44
2. Bengi, Wolf 26
4. Bang 24
5. Marin 15

TOP BEST 5

1. Marin 15
2. Duke 12
3. Impact 11
4. Smeb 10
5. Looper 7

Jungle BEST 5

1. Bengi 26
2. Peanut 10
2. Dandy 10
4. Blank 8
5. Kakao 5, Ambition 5 (정글 포지션 한정)
         ... 
Score 2 (KDA 1위 2회)

MID BEST 5

1. Faker 44
2. dade 11
3. Kuro 10
4. Crown 7
5. Easyhoon, Pawn 6

AD Carry BEST 5

1. Bang 24
2. Piglet 13
3. Pray 11
4. Ruler, Imp 9

Supporter BEST 5

1. Wolf 26
2. Mata 14
3. PoohMandu 13
4. GorillA 7
5. CoreJJ 5


1위만 설정해 놓으니 SKT 선수들로 도배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페이커는 그냥 압도적이네요.

SKT 선수들 제외한 BEST 5으로는 Mata, Pray, dade, Kuro, Smeb 순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The Special One
17/12/01 22:43
수정 아이콘
5년(2013~2017)을 정상에 있었고 3년을 씹어먹었는데 당연한거겠죠. skt는 정말 대단한 팀입니다.
noname238
17/12/01 22:45
수정 아이콘
역체탑 논쟁이 끊이지 않는 이유를 알 것 같네요
17/12/01 22:46
수정 아이콘
롤드컵 MVP는 책정되지 않은 시즌에서 우승한 혹은 활약한 선수들에겐 불공평한 기준이라고 봐요. 다른 MVP도 시즌마다 유무여부에 따른 형평성 문제가 있을 수 있구요. 당장 MSI와 롤드컵만 봐도 어떤 시즌에는 MVP가 없거나 통합 MVP거나 혹은 시리즈 MVP거나 이런식이라서...
17/12/01 22:47
수정 아이콘
이런 점에서 라이엇이 일관성을 가지고 끌고 갈필요가 있는데 이상하게 이런쪽 디테일은 매우 부족함을 들어냄..
17/12/01 22:47
수정 아이콘
아니다 그냥 원래 디테일에 약했던가..
bemanner
17/12/01 22:47
수정 아이콘
룰러가 롤드컵 우승 + 롤드컵 MVP라서 9점인가요? 17 롤드컵은 롤드컵 MVP가 없고 결승 MVP가 룰러인 걸로 아는데 그러면 5점이여야 할 거 같습니다.
Eulbsyar
17/12/01 22:51
수정 아이콘
파이널 MVP로 포함하는 걸로 수정했습니다.
Otherwise
17/12/01 22:48
수정 아이콘
근데 다데 은퇴인가요?
곰그릇
17/12/01 23:07
수정 아이콘
블랙잉크는 개인성적으로 주는 점수인데 우승 포인트를 주면 블랙잉크라고 부르는 의미가 없죠.
위원장
17/12/01 23:35
수정 아이콘
정말 의미없는 데이터라고 밖에는...
다크템플러
17/12/01 23:46
수정 아이콘
쿠로가 왜이렇게 높나하고 기준봤더니 KDA가 있네요 크크 꾸준히 높았죠
17/12/02 00:08
수정 아이콘
우승 외의 상복은 은근히 있는.. 무적sk 시대의 15년부터 4시즌 연속 kda 1등이고 lck 시즌, 파이널 엠비피도 다 있죠.
17/12/01 23:55
수정 아이콘
그레이 잉크, 블랙 잉크에서 팀 성적에 점수를 주지 않는걸 생각하면 글쎼요...
17/12/02 00:05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마린급으로 평가할만한 역체탑은 큐베라고 보는게

롤드컵 결승 + 롤드컵 우승 커리어를 지녔고

롤드컵 결승을 갈때 보여줬던 퍼포먼스만 봐도 엄청났는데

롤드컵 우승할때 원딜 캐리메타에서 정글 지원 1도 없이 운영하는 탑 라인전과 텔각 이후 스플릿 운영 한타 뭐 하나 빠질 거 없이 굉장하게 높은 경기력을 보여줬던 선수라 개인적으로 15 단기 마린과 16,17큐베를 경쟁해봐야하지 않나 싶습니다.
치토스
17/12/02 02:5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롤챔스 우승이 없죠. 롤드컵 우승이 아무리 정점 이라지만
자국리그 우승이 없다는건 크다고 생각합니다.
마린은 15년 한해에만 롤챔스 우승2 msi 준우승 롤드컵 우승 인데요.큐베가 비비지도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지금 기량은 큐베가 뛰어나죠.
17/12/02 11:40
수정 아이콘
와.. 다시 보니 마린 15년 한해 경력은 진짜 대단하네요.
앞으로 전체 커리어에선 충분히 마린을 뛰어넘을 선수가 나올 거라고 보지만, 단기적인 포스로는 도저히 어려울 거 같네요. 상향평준화가 심하니..
칼라미티
17/12/02 07:13
수정 아이콘
16큐베는 잘 모르겠네요...
17/12/02 12:00
수정 아이콘
LCK 결승도 못가본 선수가 어떻게 역체탑이 될 수가 있죠.
네~ 다음
17/12/02 22:15
수정 아이콘
SKT가 해먹은게있는데 탑이 매번바껴서그런가.. 점수차이가 저래안나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4173 [LOL] 롤드컵의 계절이 돌아왔습니다 [18] 이상 그 막연함9212 18/09/19 9212 2
64172 [기타] 추억팔이에 동참하는 소니 [34] 인간흑인대머리남캐10526 18/09/19 10526 0
64171 [LOL] 다이아 승급 기념 클레드 공략 [47] 아름답고큽니다11735 18/09/19 11735 21
64170 [기타] 올드한 게임 드래곤퀘스트11 후기 [45] 비공개13693 18/09/19 13693 2
64169 [하스스톤] 신규 오리지널 카드 4종 등장 및 업데이트 소식 [41] 은하11951 18/09/19 11951 1
64168 [LOL] Welcome to LCK ~ 첼린져스팀의 승격이 확정되었습니다. [95] Leeka12667 18/09/18 12667 1
64167 [스타2] 슈퍼토너먼트 예선 이후, 갱신된 경우의 soO [14] MiracleKid10453 18/09/18 10453 1
64165 [기타] 임요환 장재호 이상혁 가능? [310] 고라니21029 18/09/18 21029 2
64164 [기타] [비디오 게임의 역사] 5편 - 슈퍼 마리오 [38] 아케이드10421 18/09/18 10421 36
64163 [히어로즈] HGC 리그 단신 : 후반기 9주차 이야기 [6] 은하관제5606 18/09/18 5606 1
64162 [LOL] 유럽, 중국, 한국. 같은 결말의 롤드컵 선발전 [16] Leeka8892 18/09/17 8892 0
64161 [LOL] 롤 파크 관람 후기 [46] Leeka11428 18/09/17 11428 1
64160 [LOL] #가을젠지 #실패한시즌 #승강전과 이적 [17] 1등급 저지방 우유9439 18/09/17 9439 0
64159 [기타] [WOW] 격아 탱커 3캐릭 육성 후기 [31] 그렐10321 18/09/17 10321 0
64158 [LOL] 4대리그(+FW) 진출 선수들의 나이별 정리 [20] 다크템플러9670 18/09/17 9670 1
64157 [LOL] LCS EU, NA 롤드컵 선발전 종료 및 소감 [43] Ensis7840 18/09/17 7840 0
64156 [LOL] 롤드컵 진출팀이 22팀째 확정되었습니다. [20] Leeka8064 18/09/17 8064 0
64155 [LOL] 킹존의 미래를 믿습니다. [108] 아이군12128 18/09/17 12128 0
64154 [LOL] LCK의 팀커리어 기준 정리 [16] Archer7882 18/09/17 7882 2
64153 [LOL] OGN과 스포티비의 운명은 어떻게 될까요? [26] Luv.SH8973 18/09/17 8973 0
64152 [LOL] 롤드컵 3회이상 진출한 한국선수들 [12] 니시노 나나세7500 18/09/16 7500 0
64151 [LOL] 젠지는 롤드컵 최다 진출팀이 되었습니다. [176] Archer14384 18/09/16 14384 1
64150 [LOL] 왜 SKT를 재평가하는가...? [134] 삭제됨13836 18/09/16 13836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