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5/12/21 23:46:15
Name 전설의황제
Subject [스타1] 택뱅리쌍 이전 주요 프로게이머 팀단위리그 성적
임요환
프로리그개인전 104전 47승 57패 (45.2%)
프로리그팀플전 25전 10승 15패 (40.0%)
팀리그전적 20전 9승 11패 (45.0%)
총전적 149전 66승 83패 (44.3%)

이윤열
프로리그개인전 156전 84승 72패 (53.8%)
프로리그팀플전 29전 20승 9패 (69.0%)
팀리그전적 40전 27승 13패 (67.5%)
총전적 225전 131승 94패 (58.2%)

최연성
프로리그개인전 71전 46승 25패 (64.8%)
프로리그팀플전 18전 10승 8패 (55.6%)
팀리그전적 28전 22승 6패 (78.6%)
총전적 117전 78승 39패 (66.7%)

마모씨
프로리그개인전 109전 55승 54패 (50.5%)
프로리그팀플전 64전 34승 30패 (53.1%)
팀리그전적 14전 9승 5패 (64.3%)
총전적 187전 98승 89패 (52.4%)

홍진호
프로리그개인전 68전 25승 43패 (36.8%)
프로리그팀플전 92전 57승 35패 (62.0%)
팀리그전적 17전 9승 8패 (52.9%)
총전적 177전 91승 86패 (51.4%)

박정석
프로리그개인전 117전 45승 72패 (38.5%)
프로리그팀플전 105전 70승 35패 (66.7%)
팀리그전적 13전 6승 7패 (46.1%)
총전적 235전 121승 114패 (51.5%)

서지훈
프로리그개인전 89전 48승 41패 (53.9%)
프로리그팀플전 23전 11승 12패 (47.8%)
팀리그전적 29전 23승 6패 (79.3%)
총전적 141전 82승 59패 (58.2%)

강민
프로리그개인전 77전 40승 37패 (51.9%)
프로리그팀플전 42전 26승 16패 (61.9%)
팀리그전적 20전 13승 7패 (65.0%)
총전적 139전 79승 60패 (56.8%)

박성준
프로리그개인전 86전 48승 38패 (55.8%)
프로리그팀플전 61전 32승 29패 (52.5%)
팀리그전적 17전 8승 9패 (47.1%)
총전적 164전 88승 76패 (53.7%)

박태민
프로리그개인전 108전 47승 61패 (43.5%)
프로리그팀플전 23전 11승 12패 (47.8%)
팀리그전적 11전 6승 5패 (54.5%)
총전적 142전 64승 78패 (45.1%)

조용호
프로리그개인전 44전 23승 21패 (52.3%)
프로리그팀플전 53전 34승 19패 (64.1%)
팀리그전적 27전 18승 9패 (66.7%)
총전적 124전 75승 49패 (60.5%)

박용욱
프로리그개인전 35전 22승 13패 (62.9%)
프로리그팀플전 30전 17승 13패 (56.7%)
팀리그전적 17전 7승 10패 (44.4%)
총전적 82전 46승 36패 (56.1%)

=================================================================

프로리그개인전+프로리그팀플전+팀리그개인전 위주로 합산한 성적입니다

홍진호,박정석,조용호 등은 kt시절 확실히 팀플레이의 출전도가 잦았고

팀플레이에서의 성적이 개인전 성적보다 좋았습니다

팀플레이 성적이 KT무패기록의 원동력이기도 하구요 ...  

마모씨는 전성기인 2006년을 제외하면 프로리그 개인전 성적이 그다지 좋지 않았고

최연성은 전성기시절 팀단위리그에서 워낙 잘했고 은퇴가 빨랐기때문에 올드선수들중 압도적인 승률을 기록하였습니다

이윤열같은 경우에도 2007년이후 성적을 많이 깎아먹었지만

그래도 다승이나 승률면에서 올드중에선 최상급입니다...

최연성,조용호,박용욱,강민선수같은경우에는 은퇴가 빨랐기때문에

승수가 적은 대신 승률이 꽤 높은편이지만 임요환,홍진호,박정석,서지훈,박태민 선수같은경우

공군에서 승률을 좀 깎아 먹어서 대체적으로 승률이 낮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살다보니별일이
15/12/22 00:04
수정 아이콘
전적이 쌓인 기간이 괜시리 궁금해지네요. 이윤열 박성준은 타게이머들에 비해 지독한 소년가정이라 웬지 기간이 짧지않을까싶은데
전설의황제
15/12/22 00:06
수정 아이콘
이윤열,박성준

전적 많이 쌓은기간은 04~06이떄가 가장 많았습니다

박성준은 특히 팀플로 많이 나왔구요
살다보니별일이
15/12/22 00:08
수정 아이콘
그 당시 이윤열은 4개 대회 결승전을 모두 올랐으니...전적이 많이 쌓였겠군요. 준우승슬램으로 그쳤지만 -_-;;
전설의황제
15/12/22 00:22
수정 아이콘
4개대회결승때는 주로 팀플로 많이 나왔고
개인전적적은 소년가장시절인 05~06시즌에 많이 쌓았죠...
구밀복검
15/12/22 00:07
수정 아이콘
얼마 전에 찾아봐서 기억하고 있던 건데, 서지훈의 팀리그 전적은 23승 6패이더군요. 계몽사배 3승 2패, 라이프존배 5승 1패, IMB배 6승 2패, 투산배 6승 1패, 무비스배 3승 1패였습니다.
전설의황제
15/12/22 00:10
수정 아이콘
어라 다시검색해보니 23승6패로 나오네요

전체적으로 팀리그성적에 오류가 있어서 다시 수정하였습니다
15/12/22 04:16
수정 아이콘
라이프존 1패(기욤), IBM 2패(이윤열,최연성), 투싼 1패(박용욱)

무비스랑 계몽사만 누구에게 졌는지 기억에 안나네요. 무비스에서 3승은 T1(임요환-박용욱-최연성) 올킬한거고.... 아무튼 팀리그 서지훈은 덜덜;;
플플토
15/12/22 01:22
수정 아이콘
서지훈, 최연성 선수의 팀리그 승률이 독보적이네요.
고러쉬
15/12/22 03:18
수정 아이콘
대체적으로 임요환, 홍진호, 박정석, 박태민의 승률이 좋지가 않은데
아마 공군때 많이 까먹은거때문에 그렇겠죠?
라고 믿고 싶네요...
RedDragon
15/12/22 08:53
수정 아이콘
맞아요 크크 홍진호가 공군에서 김택용에게 1승 하기 전까지 0승 5패였나? 그랬고.. 그 이후에도 많이 나왔는데 전적이 썩 좋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가끔 크리 터져서 이제동도 잡고.... 그 맛에 많이 봤죠.
전설의황제
15/12/22 16:42
수정 아이콘
사실 임요환,홍진호선수는 공군에서 까먹은것도 크지만

개인전 자체가 그닥 뛰어나지는 않았죠,,,

홍진호같은경우에는 거의 팀플레이 담당이었고 ..

박정석선수도 한창때는 거의 프로리그 팀플 위주로 나왔던걸로 기억하네요

서지훈선수는 팀리그에 워낙강했던선수라 공군에서 승률 엄청까먹고도 나름 6할에 가까운승률...
15/12/22 03:25
수정 아이콘
서지훈선수 팀리그승률이랑 전체승률에 계산오류가 있네요.
팀리그승률은 79.3%고 전체승률은 58.1%입니다.
서지훈이 낮은 승률을 기록했다고 쓰신 부분도 수정해주셔야할듯. 높은 승률을 기록했다고 언급하신 강민,박용욱보다도 서지훈이 승률이 높아서 모순이 있네요.
전설의황제
15/12/22 16:40
수정 아이콘
수정하였습니다...

서지훈선수 승률 자체가 낮다기보다는 공군에서 까먹은게 그만큼 크다는 얘기였는데 ...

공군에서 까먹지않았다면 전체승률 60%도 넘길수 있었죠 ...
슈바인슈타이거
15/12/22 05:59
수정 아이콘
이윤열 프로리그 혹사 ㅜㅜ
산캐한하루
15/12/22 11:56
수정 아이콘
전적 관련 글 흥미롭고 재밌게 보고 있는데

글마다 왜 자꾸 마모씨 끌어넣으시는지 모르겠네요 저 사람은 전적이 없는 사람인데

진짜 시간이 약이라고 글쓴이분이 실드치는건가 생각이 들정도로 너무 자주 언급되는데 굉장히 불쾌함
전설의황제
15/12/22 16:37
수정 아이콘
무슨 쉴드인가요;;

제가 이걸로 마레기를 옹호하는것도 아니고

딱히 마주작 성적이 좋은것도 아닌데요 ...
다리기
15/12/23 18:12
수정 아이콘
딱히 옹호라는 생각은 안들지만 말소된 전적 끌어와서 다른 선수들이랑 동일 선상에서 언급되는 것에 불쾌함을 느끼는 것도 이해는 되네요.
뭐 마레기 빼면 얘기가 안되는 부분도 있어서 어느정도는 갖다 쓰는 것도 필요할 때가 있지만 본문같은 경우는 마레기 없어도 전혀 지장 없긴 합니다.
다리기
15/12/23 18:10
수정 아이콘
팀리그의 최연성, 팀플의 박정석...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9662 [오버워치] 결국은... 똑같은 인간, 결국은... 똑같은 게임 [152] 시로요16644 16/07/29 16644 8
59661 [기타] [블&소] 남쪽에 핀 슬픈 꽃 [58] 유령무희8946 16/07/28 8946 2
59660 [오버워치] 심각해지는 핵 상황. [51] 자마린19800 16/07/28 19800 2
59659 [스타2] 2016년 7월 넷째주 WP 랭킹 (16.7.24 기준) - 고병재, 테란 Top3 진입! [2] Davi4ever7046 16/07/28 7046 1
59658 [기타] [클로저스] 레비아 그들의 논리가 맞는가. [28] 세이젤7565 16/07/28 7565 2
59655 [기타] [길드워1] 이야말로 선구안을 가진 대작이죠. [23] 언니네이발관10887 16/07/27 10887 8
59654 [기타] [블러드본] [소리주의] 역대급 폭풍간지 보스 [18] 이회영14991 16/07/27 14991 3
59653 [기타] 2016 블리즈컨 가상입장권 + 선물꾸러미 구매 비용 [24] Secundo9171 16/07/26 9171 0
59652 [기타] 대항해시대3 연재(5) - 흰비늘계단, 파르테논신전, 미케네 [14] guldan17038 16/07/26 17038 14
59651 [기타] [포켓몬] [스압] 뭐? 꼬렛이 포켓몬스터 X에 안 나온다고? [91] Sgt. Hammer12847 16/07/26 12847 37
59650 [오버워치] 오버워치 공수 밸런스 개선안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42] habsburg10728 16/07/26 10728 0
59649 [기타] [포켓몬GO] 일본 여행 도중에 열풍을 느끼고 왔네요. [18] 어리버리8144 16/07/26 8144 0
59648 [스타2] 프로리그 병행 시즌을 이렇게 했었다면 어땠을까요? [24] 성수10275 16/07/24 10275 0
59647 [기타] [워크3] PGL 결승 장재호 우승!! [44] kkaddar14469 16/07/24 14469 10
59646 [LOL] SKT 정글러/메인딜러간의 극명한 대조를 이루는 스탯.data [121] Vesta19356 16/07/24 19356 9
59645 [LOL] 현시점 LCK 롤드컵 경우의 수 정리 [16] Shotable11976 16/07/23 11976 3
59644 [하스스톤] 안녕로봇이 정규전에 편입?? [63] 이진아13162 16/07/23 13162 0
59642 [오버워치] 승자결정전에 대한 개선안? [31] pgr-2925139899 16/07/23 9899 0
59641 [LOL] 나이스게임TV 김경우 캐스터(aka.에스퍼란자) 트위터 발언 논란 [207] 키토37094 16/07/22 37094 3
59640 [오버워치] 데이터로 보는 팀별 실력 [8] SC212704 16/07/22 12704 0
59638 [오버워치] 아나 성우 논란 처음 제기한사람이 메갈 유저라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124] 홀리워터14794 16/07/22 14794 0
59637 [스타1] 새로운 패치가 예정되어있다고 합니다. [103] 열역학제2법칙20092 16/07/22 20092 2
59636 [LOL] 중국 LSPL에 난리가 났네요. [86] 코우사카 호노카17817 16/07/22 17817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