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5/06/12 17:31:52
Name 왕삼구
File #1 선술집_난투.jpg (437.9 KB), Download : 31
Link #1 http://www.pgr21.com/?b=12&n=9926
Subject [하스스톤] 2.7패치에 예정된 새로운 대전방식 '선술집 난투'를 기대하며 쓴 잡다한 이야기.


 저는 2013년 연말부터 하스스톤을 즐기다가 2014년 연초에 운빨x겜이라고 투털거리며 1년 넘게 완전히 하스스톤을 멀리했었는데 모종의 이유로 롤을 등한시하게 되면서 최근 다시 하스스톤에 빠졌습니다.
 과금은 게임을 즐길 수 있을 정도로만 해서 여러 덱을 돌리기엔 모자랐기 때문에 다시 시작하면서 짠 엉성한 드루이드로는 17등급이 한계였는데 필요한 카드를 다 갖춘 냥꾼으로 하니 최근 8등급까지 쉽게 가더군요. 
옛날에 했던 그림자 밟기, 리로이 콤보가 그리웠던 것이 사라지고 어제부터는 저도 이제 상대를 험상궂은 손님들로 멘붕시키고 싶어 연습 중입니다. 
그렇지만 제가 하스스톤을 떠나있게 한 이유인 운빨이 너무 큰 것같다는 생각이 요즘도 가끔식 떠오릅니다. 그러던 찰라에 2.7패치 뉴스를 보게 되었습니다.
 반갑게도 이 패치에 포함된 새로운 '선술집 난투'라는 대전은 매주 새롭게 적용되는 특별한 규칙으로 즐길 수 있는 컨텐츠로 이 규칙을 잘 세우면 운의 비중을 더 줄인 게임을 할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매주 바뀌는 특별한 규칙이 무엇이 될 지는 아직 알 수 없지만, 개인적으로 그런 규칙 중 하나가 되기 바라는 것을 몇 개 써 볼까 합니다.

1. 원하는 카드를 골라 첫 손패로 시작하기

 최소한 시작부터 패배를 직감하게 만드는 손패는 없게 하는 규칙입니다. 시작부터 운빨x겜이라고 투덜거리는 소리는 안나오게 하자는 것이죠.
원하는 카드로 시작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있던 덱에서 초반카드를 선택하는 전략을 취하는 것이 아니라 아예 이 규칙을 최대한 활용한 새로운 덱이 등장할 것 같습니다.
단지 30장에서 골라서 하기엔 폰스톤에서 제약이 있기 때문에 대안으로 멀리건의 횟수를 기존의 2번에서 3번 이상으로 늘린다면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겁니다.

2. 첫 손패뿐만이 아니라 아예 나머지 카드들의 드로우 순서까지 정해놓은 덱으로 대전하기

 첫번째 대전규칙에서 한 걸음 아니 멀리 더 나아가서 아예 카드 드로우 순서까지 모두 미리 정한 덱으로 대전하는 겁니다.
기존에 있던 덱 중에는 소위 니가 뭘하든 내가 필요한 카드들을 손에 들고 있으면 이기는 덱들이 있죠. 요즘 대세인 손님전사도 그 중 하나이고 냉법사와 기름도적도 그 중 하나로 알고 있습니다. 기계류 덱과 돌진냥꾼들도 미리 드로우 순서까지 짤 수 있다면 얼마나 강력할까요?
그리고 그 중 최강은 누가 차지할까요? 궁금하지 않습니까?

3. 카드 성능의 랜덤 요소를 없애기

 주술사의 파지직, 법사의 불안정한 차원문 카드, 사냥꾼의 야생의 벗, 벌목기 등에 있는 성능의 편차와 운의 요소는 게임의 승패를 바꾸기도 합니다. 대미지는 고정으로 바꾸고 야생의 벗 같은 류는 발톱의 드루이드처럼 선택형으로 바꾸는 겁니다..
 하스스톤엔 단검곡예사, 박사붐의 폭탄로봇 등 예측할 수 없는 성능을 가진 카드가 참 많죠. 이런 것이 재미의 한 요소이지만 가끔은 이런 것이 없는 것을 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하지만 작업의 난이도가 위의 2개에 비해 많이 어려울 것 같아서 실현 가능성은 없어 보입니다.

저는 운의 요소를 줄이는 방향의 규칙 3개를 생각했는데 그 중 1, 2번은 실제로 즐길 수 있을 것이라 가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여러분은 어떤 규칙으로 하스스톤을 즐기고 싶은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양념반자르반
15/06/12 17:36
수정 아이콘
저는 오히려 덱에 50장을 넣을 수 있으면 어떻가 상상을 해보았습니다 크크.
운빨x겜 극대화죠...
왕삼구
15/06/12 17:42
수정 아이콘
30장인데도 초반에 고코스트 카드가 연속으로 드로우 되어 멘붕하거나 10코스트에서 계속 저코 카드가 나와서 멘붕하는 경우가 많은데 확실히 운빨이 더 좌우될 것 같고 드로우용 카드가 더 각광을 받겠네요.
50장 보다는 훨씬 적게 기존 30장보다는 많이 넣는 덱으로 하는 규칙은 실현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SSoLaRiON
15/06/12 17:37
수정 아이콘
체력 10에 카드 10장게임 이런거 재밌을 듯

그럼 클린냥꾼이 득세할 듯
왕삼구
15/06/12 17:45
수정 아이콘
체력 10과 카드 10장은 변수가 너무 적을 것 같아 별로 같습니다만 체력 변경과 그에 아울러 덱 구성 장수의 변경은 나올 만하네요.
정용현
15/06/12 17:40
수정 아이콘
저도 몇몇개 정도만 대충 생각해봤는데요
1. 하수인없이 주문으로만 게임하기
2. 주문없이 하수인으로만 게임하기
3. 마나를 항상 10보유한 상태로 게임하기
4. 최대마나가 20으로 증가
5. 영웅의 체력이 50 혹은 60
등등..
왕삼구
15/06/12 17:50
수정 아이콘
주문이나 하수인 없이 하는 것은 영웅별 차이가 심해서 다른 영웅끼리는 힘들겠지만 동일 영웅끼리 대전으로 제한 한다면 나올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고 보니 롤에서처럼 각 영웅별 최강자전도 재밌겠네요.
정용현
15/06/12 17:53
수정 아이콘
네 그렇죠.. 예전에 간간히 생각했던걸로 적어보긴 했는데 좀 잘 고려하지 못한 부분들이 있죠.
1,2번 -> 직업별 편차가 심함
3번 -> 저코하수인들 멸종
5번 -> 마나수정의 갯수, 영웅체력, 하수인, 주문은 모두 밸런스있게 짜여진 것이므로 카드 탈진싸움이 될 가능성 증가..
15/06/12 17:47
수정 아이콘
저고 생각해보면 영웅능력이 몇턴에 한번 변하기나 마나 소모후 변동하기. 드루이드가 마나써서 변신후애는 평온처럼 하수인 전체에 힐1이 된다는 식으로 하면 어떨까 싶네요.
왕삼구
15/06/12 17:53
수정 아이콘
댓글에서 영감을 얻어서 떠오른 것이 모험모드에 나오는 영웅(?)을 직접 유저가 하는 것도 재밌을 것 같습니다. 난이도 조절을 위해 몇가지를 변경한다면 이것도 재밌을 것 같습니다.
15/06/12 17:48
수정 아이콘
모든 하수인 공방 두배도 괜찮으것 같네요.
왕삼구
15/06/12 17:55
수정 아이콘
음... 생각해보면 명치를 먼저 치는 덱들이 굉장히 강세일 것 같습니다.
15/06/12 17:53
수정 아이콘
공용 하수인 없이 직업 덱만으로 게임하기
공용 하수인만으로 게임하기
희귀/영웅/전설 카드 없이 게임하기(무료+일반 까지만 가능)
한 덱에 동일 카드 1장만 기용 가능
한 덱에 동일 카드 4장까지 기용 가능
카드 낼때 뒷면만 보고 내기(낼 수 있는 카드는 테두리 표시)
모든 턴에 노즈도르무 강제 적용
투기장 자동 랜덤픽으로 게임하기
5턴 지나고 손패 카드 숫자 만큼 덱의 카드와 자동으로 다시 멀리건
왕삼구
15/06/12 17:57
수정 아이콘
다 재밌는 규칙들이네요.
단 노즈도르무 강제 적용은 아재들을 위해서 안되기를 바랍니다.
VinnyDaddy
15/06/12 18:03
수정 아이콘
전에 PGR에서 어떤 분이 <맵>의 개념을 도입하면 어떻겠느냐고 하신 적이 있었는데요, 예를 들면 맵에 시작부터 하수인이 깔려있다거나, 하수인을 6마리까지밖에 못 쓴다거나, 등등... 이런 것도 있으면 좋을 것 같네요.
왕삼구
15/06/12 18:05
수정 아이콘
모험모드 느낌도 나고 재밌을 것 같습니다. 여러가지 변종이 나올 수도 있어서 괜찮은 아이디어네요.
이부키
15/06/12 18:34
수정 아이콘
루리웹 정보게시판에 잠깐 올라왔다가 사라진 글에서는 첫주 규칙이 황금골 보병을 제외한 하수인 카드 없이 덱 짜기 였습니다. 엠바고에 걸린건지 아니면 잘못된 정보라서 사라진건지는 모르겠네요.

위 규칙대로라면 주술사와 성기사, 마법사가 강세를 보이지 않을까 합니다.
겨울삼각형
15/06/12 18:34
수정 아이콘
카드게임에서 운을 빼면..
1번 규칙 = 모든 드루이드는 첫턴에 정자 낙스, 2턴에 급속, 3턴에 벌목기가 나오겠군요.
15/06/12 21:35
수정 아이콘
법사만나면 지룡 수습생 화염포로 망하겠네요
길바닥
15/06/12 19:41
수정 아이콘
원하는 손패를 잡는건 말고 ..
원하는 손패를 잡을 확률을 높여주는게 맞다고봅니다.. 시작할떄 카드를 6~7장보여주고 여기서 선공 3장 후공 4장을 골라간다던가 하는식으로..

전설카드의 수를 제한 한다던가..
15/06/12 20:00
수정 아이콘
필드에 상대 하수인이 하나라도 있다면 명치 못때리게 한다던가...
15/06/12 20:25
수정 아이콘
차원문 30장으로 게임하기
15/06/13 00:32
수정 아이콘
이거 레알 인정합니아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7186 [기타] [WOW] 드레노어의 스토리에 대한 유감 [32] 요그사론8911 15/07/02 8911 0
57185 [LOL] 여름 빌지워터 이벤트로 쓰일 맵이 공개되었습니다.(수정) [12] RookieKid7701 15/07/02 7701 0
57184 [LOL] 깔땐 까야죠 - CJ 코치진은 반성해야합니다. [60] 삭제됨12729 15/07/02 12729 18
57183 [기타] [역설사] 유로파4에 대한 간단한 공략 (2) [10] 세이젤8824 15/07/02 8824 3
57182 [기타] 크루세이더 킹즈2 연재 38화: '토르' 소환의식 [32] 도로시-Mk216562 15/07/02 16562 36
57181 [하스스톤] 오늘은 노즈도르무로 시간을 멈춰보겠습니다 [32] Judas Pain15874 15/07/01 15874 0
57180 [기타] 말을 해도 알아듣지 못하니 이길 자신이 없다. [31] 삭제됨7796 15/07/01 7796 2
57179 [스타2] 2015 래더 시즌3 - 새 시즌 맞이 신규 지도 소개 [13] 저그네버다��8744 15/07/01 8744 5
57178 [LOL] 오늘 나이스게임TV에서 하고 있는 장인대전 꼭 보세요 [27] WAAAGH!!11791 15/07/01 11791 7
57177 [기타] [역설사] 유로파4에 대한 간단한 공략 (1) [24] 세이젤15346 15/06/30 15346 5
57175 [스타1]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 16강 1일차 Preview [13] JaeS8001 15/06/30 8001 1
57174 [스타1] 스베누 스타리그 16강 시작에 즈음해서. [15] JaeS8261 15/06/30 8261 3
57173 [스타1] 스압/데이터주의 - 맵의 계보와 진화 (1) [14] 다크템플러16660 15/06/30 16660 24
57172 [기타] Adieu, INNERWORLD. [7] 은하관제5407 15/06/30 5407 1
57171 [스타2] 2015년 6월 넷째주 WP 랭킹 (15.6.28 기준) - 챔피언들의 랭킹 상승! [1] Davi4ever5962 15/06/29 5962 2
57170 [기타] 크루세이더 킹즈2 연재 37화: 보헤미아 침공 [29] 도로시-Mk212632 15/06/29 12632 37
57169 [하스스톤] 팀 리퀴드 선정 6월3주차 덱 파워랭킹 [25] KARA8934 15/06/29 8934 0
57168 [LOL] 시즌5 LCK 상위 6팀 선수들의 고승률 챔프 정리 #6 - Najin e-mFire [1] Vesta5339 15/06/29 5339 8
57167 [LOL] 시즌5 LCK 상위 6팀 선수들의 고승률 챔프 정리 #5 - KT Rolster [2] Vesta4805 15/06/29 4805 2
57166 [하스스톤] [자랑] 투기장 12승 달성!! [12] 쉬군6026 15/06/29 6026 1
57165 [LOL] 시즌5 LCK 상위 6팀 선수들의 고승률 챔프 정리 #4 - Jin Air GreenWings [2] Vesta4620 15/06/29 4620 1
57164 [LOL] Summer Split, 반환점을 돌다. (NA/EU) [16] MoveCrowd5338 15/06/29 5338 5
57163 [LOL] 시즌5 서머 시즌 6월 4주차 정리 [3] 류시프4319 15/06/29 4319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