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3/03/15 14:17:15
Name 저퀴
Subject [도타2] 기초 가이드 (4)
오늘은 도타2 기초 가이드의 마지막입니다. 이번 가이드에선 도타2 전반적인 핵심 공략이라면 핵심 공략이라 부를 수 있는 부분에서 대해서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의사소통

아직 국내에 따로 서비스된 게임이 아닌만큼, 여러분이 같은 한국인 유저를 모아서 게임을 하는게 아니라면 결국 영어로 의사소통을 하셔야 합니다. 하지만 잘 하지도 못하는 영어 때문에 진입장벽이 생기는거 아니냐 생각하시는 분들도 많을테지요. 물론 진입장벽이 아닐 수는 없습니다. 저조차도 게임을 하면서 영어로 간단한 단어만 써서 의사소통하는 정도에 불과하거든요.

하지만 중요한 점은 너무 어렵게 생각하실 필요가 없다는 점입니다. 일단 여러분만 영어를 못 하는게 아닙니다. 도타2에서 각지 각국에서 하는 유저가 모이는 곳이다 보니, 우리 이상으로 영어에 능숙하지 않은 유저들도 충분히 많습니다. 그리고 도타2 유저들은 이런 부분에 있어서 충분히 경험이 많답니다.

영웅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싶은데 철자를 잘 기억이 안 나세요? 그냥 대충 발음나는대로 쓰세요. 알아듣습니다. 하다 못해 해당 영웅의 약자(가령 Bounty Hunter를 BH로 표기)로 부른다고 해도 웬만하면 다 알아듣습니다. 어차피 영어권 유저들도 문법이나 철자 하나하나 지켜가면서 채팅을 하진 않습니다. 오히려 그런 축약어에 익숙해지시는게 중요하죠. 

뿐만 아니라 봇과의 게임에서도 자연스럽게 음성 채팅을 하는 유저들도 자주 보실 수 있을텐데, 아무래도 음성 채팅을 들으면서 하는게 좀 더 흥도 나고, 알아듣기도 쉽습니다. 말하는 사람도 모든 유저가 영어권 유저가 아니란 사실을 어느 정도 숙지하고 있기 때문에 천천히 불러주는 편이고요.


2. 시작하기

전 처음에 이번에 새로 생긴 튜토리얼부터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매우 뛰어난 수준은 아니지만, 조금이나마 게임을 익히는데 도움이 되실겁니다. 그리고 곧바로 사람들과 게임을 하시기보다는 인공지능, 즉 봇과 하는 게임을 추천드립니다. LOL과 달리 5단계로 나뉘어서 좀 더 체계화되어 있고, 그 수준도 높아서 고난이도일수록 처음 시작하는 여러분보다 훨씬 잘할겁니다. 거기서 CS를 챙기는 법 같은 기초에 익숙해지시는게 큰 도움이 될겁니다. 또한 도타2에서는 봇전만을 하는 유저들도 상당히 많아서(저도 봇전을 꽤 많이 하는 편입니다. 봇전을 해도 스킨을 주거든요.) 게임을 검색하시자마자 잡히는 놀라움도 보실 수 있을테고요.

그리고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제가 영웅의 난이도에 대해서 설명하고, 분류하기도 했지만 그냥 초보 때는 무작위로 영웅을 골라서 하시는게 제일 좋습니다. 일단 무작위로 고르면 추가 골드가 주어져서 게임을 하기가 쉬워지고, 어차피 이 영웅은 이렇고 왜 어려운지에 대해서 매번 설명을 듣는 것보다 여러분이 직접 느끼시는게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어차피 저난이도는 쉽게 깰 수 있고, 고난이도는 여러분을 책임질만큼 실력 있는 유저들과 게임을 하게 될테니까요.


3. CS, 디나이 등등

CS를 챙기기가 힘들다. 디나이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등등 정말 고민이 많으실겁니다. 하지만 이는 간단하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초보 때 만나는 여러분의 상대 또한 초보입니다. 인공지능처럼 괴물과 같은 수준의 CS는 볼 가능성이 없을겁니다. 디나이요? 초보가 하는 디나이는 적군의 CS를 도와주는게 다반사입니다.

굳이 연습을 해야겠다면, 캐리로는 CS만 챙기도록 노력하시고 서포터로는 디나이만 하시도록 노력하는게 가장 편리합니다. 또한 라인에서 대치 중이 아니더라도 아군의 크립을 수시로 디나이해서 제거하는 습관을 기르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무엇보다 내 앞가림도 못하는 상황에서 이것 저것 도타에서 쓰이는 기술을 익히시려 않으셔도 됩니다. 우리가 LOL을 처음 시작했을 때 서포터와 AD 캐리가 골렘을 처음부터 빼먹는데 익숙했나요? 아닙니다. 안 해도 이길 수 있고, 나중에 해보셔도 되는 것들입니다.


4. 포기하지 마세요

도타2는 항복이 없습니다. 일단 게임을 시작했으면 끝을 봐야 합니다. 그리고 도타2는 언제나 역전할 수 있는 게임이라는 점을 명심하세요. 아이템 차이가 너무 나신다고요? 교전 한번 잘못하면 역전 나오는게 도타입니다. 라인전에서 밀렸다고요? 만회하기만 하면 역으로 포탑을 더 부수는게 도타입니다. 너무 많이 죽어서 골드를 많이 잃었다고요? 교전에서 이기시면 몇천 골드가 들어오는게 도타입니다.

물론 압도적인 차이라면 도타라 해도 못 이기는 게임은 맞습니다. 하지만 느긋하게 게임을 해보세요. 혹시 스킨이 탐나시나요? 스킨은 승자에게만 주는게 아닙니다. 여러분이 꼴찌를 해도 받을 수 있는게 스킨이고요.

무엇보다 스팀은 각종 위반 사항에 대해서 철저합니다. 여러분이 하기 싫다고 계속해서 그냥 나가버리신다면, 그 다음날 처벌되어 있는 자신의 계정을 보실 수 있습니다.


5. 도타2를 하는데 좋은 프로그램들

미꾸라지(mudfish)라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일종의 무료 VPN으로 도타2 또한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정말 서버 상태가 안 좋을 때는 저도 게임할 맛이 안 날 정도로 별로일 때가 많은데, 미꾸라지를 쓰면 쾌적하게 게임하실 수 있습니다. 보통 100~140 정도가 유지되곤 하던데, 이 정도면 초보인 여러분에게는 큰 무리가 없는 수준입니다. 무엇보다 무료라서 편히 이용하셔도 되고요.
"> 신성한 레이피어(Divine Rapier) 그리고 다곤(Dagon)은 여러분에게 없는 아이템입니다.


제가 올린 가이드 1편 - http://58.120.96.219/pb/pb.php?id=free2&no=50763
제가 올린 가이드 3-1편 - http://58.120.96.219/pb/pb.php?id=free2&no=50775
제가 올린 가이드 3-2편 - http://58.120.96.219/pb/pb.php?id=free2&no=50780
도타2 위키 (한국어도 있지만 그 양이 부실합니다.) - http://www.dota2wiki.com/wiki/Dota_2_Wiki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BlueTaiL
13/03/15 14:32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토튜리얼이 생겼군요.
다시 열심히 해봐야겠습니다.
13/03/15 14:57
수정 아이콘
항상 좋은글 감사합니다.
Mephisto
13/03/15 16:58
수정 아이콘
도올때 미친듯이 달리다가 롤나오고 접었었는데 이번주에 다시 시작하니까 감회가 새롭더군요.
맘에 들면서도 아쉬운게 예전 도올때랑 느낌이 영 틀려서 적응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릴거 같아요.
사이사이 패치된 내용 때문에 내가 알던 그 영웅이 맞나 싶기도 하고 ..
템트리도 확바뀌고 새로 배우는 느낌이군요.
13/03/15 17:31
수정 아이콘
현재 개발자 중 한 명이자, 워크래프트3 도타 올스타즈 현 개발자인 아이스프로그 씨의 발언에 따르면 가령 앞으로 모든 영웅이 아가님 셉터의 효과를 받도록 수정한다거나 하는게 예정되어 있고(원래 그렇게 하고 싶었는데 워크래프트3의 한계로 포기했었다고 하더군요.), 또한 기존 영웅 이외의 도타2부터 시작되는 신규 영웅도 나올 예정이라고 하더군요. 저는 무엇보다 워크래프트3의 한계 때문에 이상하게 구현된 부분이 깔끔하게 정리된게 가장 좋은거 같습니다. 그래도 정말 이래도 되는건가 싶을 정도로 똑같이 구현해놔서 제가 본 워3 시절 유저들도 상당수는 만족스러워 하더군요.

도타2로 넘어오면서 가장 많이 바뀐 영웅은 루빅이 아닌가 싶더군요. 이제 모든 스킬을 훔칠 수 있는데다가, 단축키 공유로 인해서 정말 난이도가 많이 내려갔습니다. 인보커도 비슷한 예고요. 그런데 인터페이스는 정말 좋아진건데, 그래도 난이도가... 이번에 가장 최근 추가된 영웅이 터스크고, 그 다음이 리전 커맨더로 예정되어 있는데 재미있는 점은 여자로 성별이 바뀐 걸로 추정된다고 하더군요. 개인적으로 브리슬백을 보고 싶은데, 이것도 어느 정도 개발이 되어 있다고 하더군요.

그리고 도타2에서 또 기대되는 점이 아이스프로그 말고 원래 최초의 도타를 만든 율(Eul)도 개발진으로 합류했습니다. 작년부터 합류했던 걸로 기억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2998 [LOL] 2013년 막바지 해외 LOL 리그 진행사항 [29] 마빠이8740 13/12/11 8740 3
52997 [LOL] 룬 조합할때 고유 비밀번호를 걸수는 없을까.. [21] 버스커버스커9380 13/12/11 9380 0
52994 [LOL] 부캐를 플레5를 찍었습니다. [32] 시로요7534 13/12/11 7534 0
52993 [LOL] 시즌4 메뚜기 철이 왔습니다 [42] 사랑비9566 13/12/11 9566 0
52992 [하스스톤] 하스스톤 패치노트가 공개되었습니다. [35] Leeka10694 13/12/11 10694 0
52990 [LOL] 판도라TV LOL Champions Winter 13-14 9일차 프리뷰 [66] 노틸러스8483 13/12/11 8483 0
52989 [기타] [스타1] 제우스. 그의 승리를 기념하며. [18] 노틸러스7963 13/12/10 7963 0
52988 [기타] [컴프매] 무과금유저로 메이저 1위 달성 [53] windeer8803 13/12/10 8803 0
52987 [도타2] Dota2BestPlays Week - 12월 1주차 [7] 염력의세계7364 13/12/10 7364 2
52986 [기타] [스타1] 허영무와 몽군 경기보셨나요. [23] 영웅과몽상가10661 13/12/10 10661 3
52983 [하스스톤] 밸런스 패치가 예고되었습니다. [109] 그라가슴10869 13/12/10 10869 0
52982 [하스스톤] 흑마 시대의 종결?. 마법사의 대회 싹쓸이. [43] Leeka11487 13/12/09 11487 0
52981 [스타2] 2013년 12월 둘째주 WP 랭킹 (2013.12.8 기준) - 이제동 Top 5 진입! [15] Davi4ever9187 13/12/09 9187 2
52979 [LOL] JoyLuck 강좌 78화 : 프리시즌 다이아 솔랭교육방송 [16] JoyLuck10102 13/12/09 10102 1
52978 [LOL] PGR클랜 올해 마지막 대회신청 이야기 [6] 노틸러스6906 13/12/09 6906 2
52976 [하스스톤] 나는 왜 그리 헛된 시간을 보냈나... [23] 이사무13069 13/12/09 13069 0
52974 [기타] [이브온라인] 끝없는 별 속으로의 여행 [26] 동지7942 13/12/08 7942 0
52973 [LOL] 심심풀이로 써보는 극마관문도... [24] 발가락엑기스9278 13/12/08 9278 1
52972 [기타] [스타1] BJ.Number배 PBS 16강 공지 [17] 옆집백수총각6723 13/12/08 6723 3
52970 [기타] 게이머 감독 그리고 플레이어 [1] Love.of.Tears.10546 13/12/08 10546 8
52969 [기타] 게임 중독은 존재한다. 그런데 그 원인은? [21] Sigh Dat6842 13/12/08 6842 2
52968 [기타] 펌 - GAME OVER : 온라인 게임 속 세계의 종말 [9] Victor6746 13/12/08 6746 0
52967 [하스스톤] 저의 이번주 하스스톤 투기장입니다. [13] Homepage10013 13/12/08 10013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