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2/08/04 21:29:46
Name 봉효
Subject 끝.
http://www.melon.com/cds/song/web/songdetailmain_list.htm?songId=39299
(운영진 수정. 노래 가사 무단 도용으로 인한 저작권 위반)

-[끝], Gigs 2집-

처음이라는 단어가 그러하듯, 마지막이라는 단어 또한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무언가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2012년 8월 4일. 스타크래프트1:브루드워로 진행되는 마지막 스타리그가 끝이 났습니다.

물론 끝이 아닌 새로운 시작이라는 이번 TVing스타리그의 슬로건처럼

스타리그 자체는 끝이 아니고 스타크래프트2로 계속 되겠지요

하지만 스타크래프트1이 더 이상 방송에서 볼 수 없게 되었다는 점에서

TVing스타리그의 마지막은 한 시대의 마지막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위의 지시에 의해 만들어진 다른 프로스포츠와는 달리

이 판은 아래에서부터의 움직임을 통해 ‘프로’라는 이름을 달게 되었습니다.

탁구대 위에 컴퓨터를 올려놓고, 만화에나 나올법한 옷을 입고,

카메라가 선수 주위를 도는 것이 아니라 선수가 제 자리에서 돌면서 카메라 워크 효과를 내는 척 했던 그 시기에서

10년이 넘는 시간이 지나 이제는 방송기술도, 시설도 월등히 발달했습니다.

지난 세기말 미국의 한 게임회사가 만들어낸 스타크래프트는

오히려 미국보다 한국에서 그 영향력이 더 컸습니다.

이 판 덕분에 생긴 새로운 직업들도 있죠.

프로게이머, 게임캐스터, 해설자, 옵저버, e-sports 심판, 스타걸....

또한 2000년대 대한민국 인터넷 문화의 중심에도 스타크래프트가 있었습니다.

긍정적인 부분과 부정적인 부분을 모두 아울러 2000년대 대한민국 인터넷 문화를 주도한 사이트는

누가 뭐라 해도 DC이며, 그 DC의 중심은 스타크래프트 갤러리-스갤이었습니다.

스타크래프트 관련 커뮤니티로 시작했던 여기 pgr21이나 와이고수 등은

어느 샌가 대한민국 인터넷을 주도하는 중대형 커뮤니티가 되어있습니다.

PC방이 먼저인지, 스타크래프트가 먼저인지 명확히 알 수는 없지만

스타크래프트라는 게임이 없었다면 PC방이라는 업종이 활성화되지 않았을 것이라는 것은 명확합니다.

누구였는지 잘 기억은 나지 않지만 네이버에서 본 한 칼럼에서처럼,

2000년대 대한민국의 10대 20대는 ‘스타크래프트 세대’라 불러도 부족함이 없을 것입니다.

누구나 다 마지막이라는 걸 알고 있지만 엄전김이 브루드워로 진행되는 마지막 개인리그일 '가능성이 높다.'며

말하는 사람 본인을 포함해 아무도 믿지 않은 가능성을 애써 남겨두면서

(물론 리그 진행 중이던 6월 초 공식적으로 마지막이라는 언급을 했습니다만)

마지막까지 ‘이제 스타크래프트 1은 끝입니다.’라는 공식적인 이야기를 꺼내지 못했던 것도

우리에게 스타크래프트1은 단순히 게임이 아니라 하나의 문화,

나아가 우리 생활의 일부분이 될 정도로 스타크래프트1이 갖는 의미가 정말 컸기 때문일 것입니다.

하지만 모든 것에 끝이 있듯 오늘 스타크래프트1으로 진행되는 마지막 스타리그가 끝이 났습니다.

우리를 울고 웃게 했던 많은 프로게이머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이 판과 연이 끝나며 우리 곁을 떠났고

다양한 방식으로 이 판과 연을 맺으며 우리 곁에 남아있습니다.

분명 아직 이 판은 끝나지 않았습니다. 스타리그도 끝이 아니죠.

하지만 우리가 스타크래프트1-스타리그와 스타크래프트2-스타리그에 갖게 될 감정에는 분명히 차이가 있을 것입니다.

그 이유는 13년이라는 시간동안 쌓아온 정때문이라고 설명할 수도 있을 것이고

스타크래프트1이 이 판을 만든 ‘처음’의 게임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제가 생각하지 못한 다른 이유를 생각할 수 있는 분도 있겠지요.

하지만 모두가 동의할 수 있는 것은 이야기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지난 13년간

우리는 스타리그 때문에 즐거웠고, 행복했습니다.

고맙습니다. 사랑합니다. 그리고 기억하겠습니다. 안녕 스타리그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8/04 21:30
수정 아이콘
끝...........
체념토스
12/08/04 21:30
수정 아이콘
끝..........
꼬미량
12/08/04 21:31
수정 아이콘
끝........
12/08/04 21:31
수정 아이콘
행복했습니다. 각자 또 다른 시작을 시작합니다.
12/08/04 21:31
수정 아이콘
끌.....
스카이바람
12/08/04 21:31
수정 아이콘
끝...ㅠㅠ
기차를 타고
12/08/04 21:31
수정 아이콘
끝........아 인정하긴 싫은데 ...
냉면과열무
12/08/04 21:31
수정 아이콘
안녕
디실베
12/08/04 21:32
수정 아이콘
에고 먹먹하네요.
스타 잘 가...
무지개곰
12/08/04 21:32
수정 아이콘
새로운 시작
12/08/04 21:32
수정 아이콘
끝.
이것봐라
12/08/04 21:33
수정 아이콘
끝..
sHellfire
12/08/04 21:33
수정 아이콘
끝..... ㅠㅠ
등짝에칼빵
12/08/04 21:33
수정 아이콘
왜 이리 무덤덤하지... 이 기분 좋지 않아요...ㅠㅠ
다시 돌아오라고 외치고 싶지만, 그럴 수 없겠죠...?
반니스텔루이
12/08/04 21:33
수정 아이콘
끝..
소녀시대김태연
12/08/04 21:34
수정 아이콘
잘가 내청춘
SiveRiuS
12/08/04 21:34
수정 아이콘
이런날이 올지는 상상도 못했네요 고마웠습니다 스타리그
DarkSide
12/08/04 21:34
수정 아이콘
이제는 스2로 ...
꿀사탕
12/08/04 21:35
수정 아이콘
떠나가는 애인을 붙잡지 못하는 심정이네요..
다레니안
12/08/04 21:35
수정 아이콘
이모티콘으로는 ㅠㅠ 마크를 쓰지만.. 정작 본심은 덤덤하네요.
하도 "이제 스타판 끝이지"라는 말을 많이 들어서 그런가....
10대 부터 20대후반까지.. 정말 즐거웠습니다. 스타를 한 시간이, 스타리그를 본 시간이 전혀 아깝거나 후회되지 않습니다.
오늘 결승전도 정말 재밌었습니다.
안녕 스타리그
어린시절로망임창정용
12/08/04 21:36
수정 아이콘
첫사랑을 보낼 때에도 이렇게 먹먹하진 않았었네요..
가을독백
12/08/04 21:37
수정 아이콘
그동안 고생했어..
나의 어린시절을 함께 해줘서 고마웠어. 잘가..
The xian
12/08/04 21:39
수정 아이콘
Not End. But And.
greatest-one
12/08/04 21:40
수정 아이콘
끝....
시작....
다시 시작...
욕심쟁이
12/08/04 21:43
수정 아이콘
정말 끝....
권유리
12/08/04 21:48
수정 아이콘
끝..
정말 고마웠어
Starcraft Brood War.. Good Bye..
기차를 타고
12/08/04 21:52
수정 아이콘
이제 '스타리그 누가 우승했어?' 라는 질문을 할 수가 없다는 사실이 믿어지지 않네요........... 물론 2도 있지만;;
아우구스투스
12/08/04 21:53
수정 아이콘
끝...
정말 고마웠습니다.
겜알못
12/08/04 21:54
수정 아이콘
정말 스타리그 잊지 못할겁니다 감사합니다
제리드
12/08/04 21:54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sealofmemories...;;
12/08/04 21:54
수정 아이콘
휴 울컥하네요.....
항상 누가 취미가 뭐냐고 물어보면 스타크래프트라고 자신있게 대답했었는데 너무나 아쉽네요...
살면서 즐거울때도 슬플때도 변함없이 항상 제 곂에 있어주었는데
정작 저는 못지켜준것 같아서 가슴이 아려오네요..
12/08/04 21:55
수정 아이콘
이제 진짜 끝이군요.....
정말 고마웠어요 모두들.....
Infinity
12/08/04 21:56
수정 아이콘
...참 오랜세월 팬이였는데 이게 끝이라니 허망하네요..
12/08/04 21:56
수정 아이콘
아직도 스타보냐 라는 소리를 이젠 안듣겠군요 쩝
또다른나
12/08/04 21:56
수정 아이콘
몇년전부터 스타1은 끝이다 끝이다라고들 해왔는데
이젠 정말 끝났습니다. 끝끝끝....
스타를 즐겨보기시작한 03~06년도에 이런날이올꺼라는 생각이 들었던적이 단 한번도 없었는데...
으...저도 술이 갑자기 땡겨옵니다.
12/08/04 21:57
수정 아이콘
하.......... 끝... ㅠㅠ
멘탈붕괴
12/08/04 22:02
수정 아이콘
와.. 실감이 안나네요. 그냥 다음주에도 스타리그 할것같은 이 기분은 뭐지..ㅠㅠ
12/08/04 22:03
수정 아이콘
끝났네요.
정말로 서운합니다.
하지만 그래도 좋은 기억으로 남아있다는것은 행복합니다.
그동안 정말 고마웠습니다....
귀여운호랑이
12/08/04 22:24
수정 아이콘
10년 넘게 가장 친하게 지냈던 친구가 갑자기 사라져서 다시는 볼 수 없게 된 그런 기분입니다. 진짜 아쉽고 서운하네요. 진자 끝났다는 게 믿기지가 않습니다.
12/08/04 22:34
수정 아이콘
고마웠습니다. 정말...
피피타
12/08/05 02:49
수정 아이콘
정말 고마웠습니다..스타리그...ㅠㅠ
sad_tears
12/08/05 10:54
수정 아이콘
끝,
12/08/06 02:48
수정 아이콘
끝...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8244 Azubu The Champions Summer 4강 / LOL 월드챔피언쉽 유럽 예선 2일차 #1 [323] 키토7372 12/08/17 7372 0
48243 2012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WCS) 한국 대표 선발전 - 패자조 16강 2R 2일차 #1 [431] Marionette6043 12/08/17 6043 0
48242 [LOL] 이동중에 써보는 솔로 랭크 몇가지 팁! [28] 시나5007 12/08/17 5007 0
48241 임요환선수의 T1 복귀 기자회견이 있었습니다 [191] 불쌍한오빠10485 12/08/17 10485 1
48240 불타는 금요일, 오늘의 스타크래프트 & LOL 중계 일정 [13] 어강됴리6095 12/08/17 6095 0
48239 [LOL] 비주류 챔피언 탐구 - "겨뤄볼만한 상대, 어디 없나" [65] 영혼8857 12/08/17 8857 3
48238 무엇이든, 어느 길이든 [21] Love.of.Tears.7212 12/08/17 7212 0
48237 [LOL] 랭크에서의 픽밴 [119] 心Criterion7514 12/08/17 7514 0
48236 이영호 선수의 프로리그 막바지 성적 분석 [10] Insomniaa7451 12/08/17 7451 0
48235 IEM LOL 월드챔피언쉽 시즌2 유럽 예선 1일차 [165] 키토6923 12/08/17 6923 0
48234 댓글잠금 놀라운 케스파선수들과 분발이 필요한 연맹(+슬레이어즈) 선수들 [195] Marionette9971 12/08/16 9971 1
48233 NLB Summer 2012 4강 & LOL 월드 챔피언십 시즌2 유럽 예선 1일차 #2 [389] 키토5383 12/08/16 5383 0
48232 인텔 익스트림 마스터즈 2012 스타크래프트 부문 2일차 조별리그 A/B조 [149] 어강됴리5296 12/08/16 5296 0
48230 2012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WCS) 한국 대표 선발전 - 패자조 16강 2R 1일차 #2 [638] Marionette9659 12/08/16 9659 2
48229 2012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WCS) 한국 대표 선발전 - 패자조 16강 2R 1일차 #1 [277] Marionette6516 12/08/16 6516 0
48228 NLB Summer 2012 4강 & LOL 월드 챔피언십 시즌2 유럽 예선 1일차 #1 [262] 키토5501 12/08/16 5501 0
48227 3시간 뒤가 기다려집니다. [99] 매콤한맛9359 12/08/16 9359 0
48226 [LOL] 나이스게임TV의 뉴메타 연구소 보시나요? [17] 용당주6071 12/08/16 6071 0
48225 LOL 월드챔피언쉽 시즌2 선발전 상세 내용 공개 [33] Leeka5550 12/08/16 5550 0
48224 아주부 프로스트의 매드라이프 선수가 어뷰징 논란에 휩싸였네요. [101] Vantastic8858 12/08/16 8858 1
48223 임요환 선수가 T1 코치로 들어가네요 [149] SKY9210814 12/08/16 10814 0
48222 [LOL] 솔로 랭크를 위한 정글 챔프 추천 [22] nickyo6911 12/08/16 6911 0
48221 커맨드 앤 컨커 온라인 발표 [12] 저퀴5880 12/08/16 588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