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2/04/05 12:59:32
Name kimbilly
Subject 블리자드, Battle.net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의 스타2 종목 정보 공개


올해 말로 예정된 Battle.net 월드 챔피언십은 블리자드와 여러 대회 주관 단체들이 개최하는 30여 개 이상의 이스포츠 대회들의 최종 관문이 될 대회입니다. 그리고 이 대회들을 모두 모아 스타크래프트2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라고 부르게 됩니다.

스타크래프트2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는 선수들이 각 국가별 예선부터 시작되는 공개 대회들에 참여하고 자신의 실력을 뽐내는 과정을 통해 명실상부한 세계 챔피언을 가리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국가별 챔피언십은 각 지역의 실력자들이 해당 국가에서 최고의 위치에 올라 이름을 알릴 수 있는 기회가 될 텐데요. 뿐만 아니라 국가별 챔피언십의 상위 입상자들은 대륙별 챔피언십에 참가할 자격도 획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대륙별 챔피언십에서는 인접한 국가에서 선발된 선수들이 모여 치열한 경쟁을 펼치게 되며 여기에서 살아남은 선수들이 대륙을 대표하여 Battle.net 월드 챔피언십에 출전하게 됩니다.



Battle.net 월드 챔피언십에 출전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바로 전 단계인 대륙별 챔피언십의 참가권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먼저 여러분의 국적에 맞는 국가에서 진행되는 챔피언십 대회에서 실력을 입증해야 합니다. 국가별 챔피언십은 다양한 형태의 예선전을 거쳐 선별된 8명에서 64명의 플레이어 (지역별로 규모가 다릅니다.)가 출전하는 대회입니다.

국가별 예선은 스타크래프트2 플레이어라면 누구나 참가하여 이른바 ‘세계로 가는 길’에 도전할 수 있는 패기를 시험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참여형 대회입니다. 지금까지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개최해왔던 그 어떤 세계 대회보다 열린 기회의 장이 될 것입니다. 각 국가의 협력사 및 단체들이 각각 적합한 방식을 통해 국가별 챔피언십 참가 자격을 부여하게 되는데요. 이는 전혀 새로운 이벤트나 대회, 온라인 또는 라이브 이벤트가 될 수도 있으며 혹은 간단히 현재 진행되는 대회의 부상으로 주어지는 방식도 될 수 있습니다. 국가별 챔피언십 예선전은 여러분이 스타크래프트2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에 도전할 최고의 기회이니 그 시작을 기대해 주세요!

또한 국가별 챔피언십 예선, 국가별 챔피언십, 그리고 대륙별 챔피언십에 대해서도 차후 다시 알려드릴 예정이니 공식 홈페이지를 주목해 주시기 바랍니다.

■ 국가별 챔피언십 개최국 목록

북아메리카 : 캐나다 / 맥시코 / 미국
남아메리카 : 아르헨티나 / 브라질 / 칠레 / 콜럼비아
유   럽 : 벨기에 / 덴마크 / 핀란드 / 독일 / 이탈리아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폴란드 / 러시아 / 스페인 / 스웨덴 / 우크라이나 / 영국
아 시 아 : 중국 / 대한민국 / 싱가폴 / 대만
오세아니아 : 호주 / 뉴질랜드

■ 자주하는 질문

▼ 참가 자격은 어떻게 획득하나요?
- 스타크래프트2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 참가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단계를 거쳐야 합니다. 우선 각 국가에서 진행되는 예선전에 참여하여 국가별 챔피언십 참가 자격을 획득 하여야 합니다. 만약 국가별 챔피언십에 진출하게 된다면 이번에는 대륙별 챔피언십 출전을 위한 경쟁을 펼치게 됩니다. 끝으로 대륙별 챔피언십에서 소속 국가와 대륙을 대표하여 Battle.net 월드 챔피언십에 진출하기 위해 다른 국가의 참가자들과 겨루게 될 것입니다.

▼ 국가별 챔피언십 예선은 무엇인가요?
- 국가별 챔피언십 예선은 국가별 챔피언십에 출전할 자격을 결정짓는 대회이며, 오프라인이나 온라인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예선을 통과한 플레이어들은 국가별 챔피언십에 초대 되며 이동에 필요한 경비를 제공해 드립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기존 대회의 부상으로 주어질 수도 있고 일부 지역에서는 별도의 대회가 진행될 수도 있습니다. 예선 참가 신청에 대한 정보는 곧 공개될 예정입니다.

▼ 국가별 챔피언십과 대륙별 챔피언십은 같은 형식으로 진행됩니까?
- 예 그렇습니다. 각 국가별 챔피언십과 대륙별 챔피언십의 규정은 동일하며 3판 2선승제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의 대회입니다.

▼ 국적은 어떻게 결정하나요?
- 2012 스타크래프트2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에서 참가자의 국적은 시민권이 있는 국가를 따르게 됩니다. 만약 두 개 이상의 국가에서 시민권을 보유하신 분이라면 이번 년도에 어느 국가의 대회에 참가하실지를 결정해야 하며 이후 해당 국가의 예선을 시작으로 대회에 참가하게 됩니다.

▼ 제가 속한 나라는 목록에 없습니다. 제가 스타크래프트2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에 참여할 수 있나요?
- 저희는 가능한 많은 국가가 참여할 수 있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현재 목록에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참가 가능한 국가에 대한 정보는 추후에 공개될 예정입니다.

▼ 스타크래프트2 월드 챔피언쉽 시리즈에 상금 규모는 어떻게 되나요?
- 스타크래프트2 월드 챔피언쉽 시리즈의 상금 규모에 대해서는 곧 알려드릴 예정입니다.

▼ 대회는 언제 열리나요?
- 국가별 예선 계획과 협력사에 대한 정보 등 예선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국가별 챔피언십 그리고 대륙별 챔피언십에 대한 에 대한 더 세부적인 내용은 추후 공개될 예정이오니 공식 홈페이지를 꼭 다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출처 : http://kr.battle.net/sc2/ko/blog/1407416/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JuninoProdigo
12/04/05 13:06
수정 아이콘
블리즈컨 대신 진행하는 대회라고 하니 기대가 많이 됩니다. 특히 최근의 래더 맵들이 대회 지향적인 맵들이라 밸런스도 잘 맞을 것 같아요. [m]
Empire State Of Mind
12/04/05 13:08
수정 아이콘
po김치wer !!!
1,2,3등 김치맨들이 해 먹읍시다!!
전세계로부터 퍼킹김치맨!! 을 들어봅시다!!
sisipipi
12/04/05 21:05
수정 아이콘
근데 진짜 아시아예선이 결승 아닌가요... 크크크
꼽사리
12/04/06 06:58
수정 아이콘
스타2도 역시 김치판이라고는합니다만.. 외국 프로팀을 본다면 방심할수는없죠. 모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6811 2012 HOT6 GSL Season 2 - Code S, 32강 F조 [127] kimbilly4596 12/04/12 4596 0
46809 LOL 챔피언스 리그.. 해외 시청자 60만명 돌파. [19] Leeka6733 12/04/12 6733 0
46808 타싸이트에선 스1리그를 위해 모금운동을 하겠다고 하는군요. [81] 파라디소8974 12/04/12 8974 0
46807 [LOL] 나의 점수는 왜 이렇게 낮은걸까? [28] 다레니안7053 12/04/12 7053 1
46806 [LOL] 전문 팀에서 와드 포인트 시간을 제대로 체크한다면. [38] LenaParkLove8581 12/04/12 8581 0
46805 군단의 심장 개발 현황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9] RPG Launcher6379 12/04/12 6379 0
46803 AZUBU LOL The Champions Spring - 16강, D조 1일차 [282] 키토7871 12/04/11 7871 0
46802 스파 3와 4의 차이 [11] Man7575 12/04/11 7575 0
46801 프로리그의 병행의 방식이 너무나 아쉽습니다. [1] Sky날틀5639 12/04/11 5639 1
46800 병행에 있어 스1선수들의 스2경기력은 전혀 걸림돌이 되지 않을거라 생각합니다 [57] 파라디소8233 12/04/11 8233 1
46799 데일리e스포츠 기사에 왜 스타1은 스폰이 안잡히는지 직접적이유가 떴네요. [61] 파라디소10300 12/04/11 10300 0
46798 2012년 4월 둘째주 WP 랭킹 (2012.4.8 기준) [6] Davi4ever5443 12/04/10 5443 0
46797 선택의 여지가 없다면, 응원을 하는 건 어떨까요. [68] 풍경6623 12/04/10 6623 1
46796 NLB Spring 8강 - A조 4일차 [289] 키토6071 12/04/10 6071 0
46794 2012 스타리그 듀얼 전체 일정 [27] SKY927815 12/04/10 7815 0
46793 스타리그 2012 듀얼 토너먼트 A조 일정이 나왔습니다. [21] 땅콩6589 12/04/10 6589 0
46791 너무나도 멋졌고, 감동스러웠던 7경기 리뷰 [105] start11536 12/04/09 11536 15
46790 스1,2를 병행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것인가. [35] 피로링5164 12/04/09 5164 0
46789 스타크래프트2 리그 병행... 진심으로 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06] 복제자8493 12/04/09 8493 0
46788 사실상 다음 시즌부터 스타2로 넘어갈 것 같네요.... [38] 빅토리고9094 12/04/09 9094 0
46787 끝내지 않을 방법은 없습니까? [2] zenith6042 12/04/09 6042 0
46786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1 - 결승전, 영상 스케치 [4] kimbilly5250 12/04/09 5250 1
46785 눈물이 났습니다. [4] 스타나라5825 12/04/09 5825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