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1/09/24 12:27:25
Name kimbilly
Subject 스타크래프트 II 협의회, 오늘부로 해체 선언 (공지사항 전문)
안녕하세요? SC2CON(스타크래프트 II 협의회)입니다.

먼저 그 동안 많은 격려와 성원을 보내 주신 e스포츠팬 여러분과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과 함께 사과의 말씀을 드리려 합니다.

오늘 부로 협의회는 해체를 선언합니다.

저희 스타크래프트 II 협의회는 지난 2010년 11월 출범하여 SC II 프로게이머들과 게임단들의 발전을 위해 그리고 원만한 의견 조율과 상생을 위해 노력했습니다.

스타크래프트 II 는 아직 팀들이 완벽한 체계를 갖추고 있지 않으며 각 게임단 간의 조율, 선수 이적과 대회 출전 등의 문제에 대해 명문화되고 체계화 된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생각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

실제로, 협의회는 그 동안 감독들간의 정기 회의, 선수 협의회 신설, 프로게이머 소양 교육을 진행했고, GOMTV와 지속적인 의견 교환을 통해 GSTL의 정규리그화 및 올스타전의 성사를 이끌었으며, 각 게임단 감독과 선수 그리고 GSL이 상생할 수 있는 방향으로 노력 해 왔습니다.

하지만, 협의회는 각 게임단에 대해 어떠한 강제력을 가질 수 없는 집단이기 때문에 각 게임단 감독들과의 회의를 통해 원만한 결론을 이끌어 내기 위한 토론의 장을 마련하는 것으로 그칠 수 밖에 없었습니다.

협의회는 선수 이적이나 해외 대회 출전 등의 문제를 최대한 원만하게 해결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했으나, 각 게임단, 감독, 선수들에게는 저마다 처한 상황이 달라 입장 차가 존재했으며 협의회의 힘으로 모든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명백한 한계를 느끼게 되었습니다.

단체가 함께 일을 해 나가는데 있어서, 양쪽의 입장이 다른 경우는 정말 많습니다.

프로들의 모임인 각 게임단은 게임단과 소속 선수들의 이익을 위해 최선을 다 해야 하는 것이 당연하며 그 과정에서 서로 갈등을 빚게 되는 일 또한 많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누가 잘했나 잘못했나의 시비를 가리기 위함이 협의회의 존재 목적은 아닙니다. 언제나 당사자 모두가 만족할 만한 결정을 내리는 것도 현실적으로 가능한 일은 아닙니다. 지금까지 협의회의 목표와 역할은 게임단 대표들이 함께 모여 토론을 통해 가장 원만한 해결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자리를 주선하고 마련하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지난 1년간 이러한 합의 시스템은 한계점을 드러냈으며 보다 조직적이고 체계화된 단체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비록 협의회는 해체되지만 협의회 구성원들은 아직도 스타크래프트II 게임단들의 조율, 그리고 안정적인 팀 리그 진행 및 선수 보호를 위해서는 제도적인 장치가 있어야 한다고 믿고 있으며, 향후 이러한 체계를 만들기 위한 노력은 계속해 나갈 것입니다.

그 동안 협의회에 대한 응원과 질타 모두 감사하게 생각하며 협조해주신 모든 게임단 관계자, 선수, 그리고 GOMTV에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2011년 9월24일 스타크래프트 II 협의회 일동

/출처 : http://s2con.com/xe/850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1/09/24 13:36
수정 아이콘
결국은 케스파와같은 권력을 가진 기관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다만 삽질하지 않기를 바래야겠죠...
샤르미에티미
11/09/24 15:26
수정 아이콘
저번 사태부터 협회가 도대체 무슨 소용이 있는가 싶었는데 결국 이렇게 되는군요. 케스파가 워낙 나쁜 선례를 만들어줘서
그 외에 우리나라 스포츠 협회들이 대부분 욕을 먹고 있는 상황에서의 권력이 있는 협회의 등장을 다들 반대하셨는데
권력이 없을 거면 그냥 협회를 안 만드는 게 낫다고 생각됩니다. 만들거면 권력이 있어야죠.
11/09/24 20:10
수정 아이콘
선수 협의회가 케스파의 역할까지 하는 것 보단
선수노조의 역할만을 수행하는 형태라면 그 존립의의가 충분하다고 생각했는데요... 아쉽습니다.
으랏차차
11/09/26 13:10
수정 아이콘
지금 생각해보면은 강제성이 어느정도는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케스파처럼 너무 개념없는 행동을 해서는 안되겠지만....
스2 협의회는 그 절충점을 제대로 못찾으신거 같군요...
아쉽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6328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1 - 11주차, 삼성전자 vs KT #1 [167] SKY927661 12/02/11 7661 0
46327 스2 1.4.3 패치 상황보고서 - 부제 : 휠저격에 대처하는 블리자드의 자세 - [41] Marionette7342 12/02/11 7342 0
46325 [LOL]누가 뭐라하든 나는 티모를 사랑한다 [131] 삭제됨8104 12/02/11 8104 1
46324 주요 서버 탑100 랭커들의 모스트3 챔프 [21] crowley6872 12/02/11 6872 1
46323 이젠 스타크래프트가 제도권에서 밴을 당한다 한들 담담할 것 같습니다. [56] ギロロ[G66]6846 12/02/10 6846 0
46322 삼국지4~6의 음악 추억하기 [21] KID A11202 12/02/10 11202 1
46321 LOL 인벤 네임드 챔피언쉽 5일차 AND 온게임넷 LOL인비테이셔널 [289] 키토5796 12/02/10 5796 0
46320 사실 스타리그 열려도 별로 기대는 되지 않습니다. [89] Galaxy7765 12/02/10 7765 1
46319 [워크래프트3 모임시간 알려드립니다] [13] 러브포보아5964 12/02/10 5964 0
46318 몇 가지 스타크래프트 2 소식 (GSL, GSTL, 래더 시즌 6) [28] JuninoProdigo5764 12/02/10 5764 0
46317 (lol)텍스트로 써보는 도미니언 공략 [28] darkmusic7537 12/02/10 7537 0
46316 죽기전에 김택용 선수의 저그전 다전제를 볼수있을까요? [43] 불멸의황제7987 12/02/10 7987 0
46315 [LOL] 각 커뮤니티별 RP 증정 이벤트 정리 [6] AkiRa.SEnDoH6210 12/02/09 6210 0
46314 [lol] 서포터 시각에서 바라본 원딜러와 서포터의 궁합 [42] 아마돌이7647 12/02/09 7647 0
46313 [lol] 나의 lol 리그 경험기 (부제 NiceGameTV '다크호스의 심해탈출' 추천합니다!!) [12] 강동원6734 12/02/09 6734 0
46311 CLG.eu vs TSM/AL 연습경기 [7] crowley4962 12/02/09 4962 0
46310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1 - 10주차, 공군 vs CJ #1 [166] SKY926241 12/02/08 6241 0
46309 인벤 네임드 챔피언쉽 4일차 [303] 키토6175 12/02/08 6175 0
46308 LOL 탱커를 해보자!! [48] Power_0rc6420 12/02/08 6420 0
46307 댓글잠금 [LOL] 케릭에 대한 개인적인 소견입니다. [162] 노란곰돌이푸7783 12/02/08 7783 5
46306 [LOL]커스텀게임 도중 디스커넥트시 해결책 [10] 이헌민6091 12/02/08 6091 0
46305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1 - 10주차, STX vs 삼성전자 #2 [200] SKY926580 12/02/07 6580 1
46304 또 다른 악몽의 시작? [19] 정대훈6711 12/02/07 6711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