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1/05/10 00:08:18
Name 하심군
Subject 스타크래프트 클래식이 생긴다면?
거의 휴전선의 비방전략처럼 흘러가던 케스파와 블리쟈드의 지재권협상에 진전이 생기면서 이전보다는 많은 것들이 가능해졌습니다. 일단 케스파에서 억압적으로 해왔던 선수관리가 다소 풀어져서 스1과 스2간의 선수교류가 좀 더 표면적이고 적극적으로 활성화될 물꼬가 열렸고요, 양대 게임방송사의 스2활성화는 좀 두고봐야 겠지만 어쨌든 기존의 경직성은 상당히 풀어졌다고 봐야 할겁니다.

근데 약 반년전에 스1팬과 스2팬의 주목을 끄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스1의 그리움때문인지 아니면 스2의 좀처럼 맞지않는 밸런스에 지친 것인지 외국의 한 유저가 스타2의 스1 유즈맵을 개발 한 것입니다. 비록 다소 어색한 면도 없잖아 있고 스타2의 특성(예를들면 부대지정제한은 스2를 따라갑니다)이 좀 남아 있었지만 일부 팬들을 열광시키기도 했습니다. 지금은 영 소식이 없긴 합니다만...


만약 좀 더 협회와 블리쟈드의 관계가 좋아지고 스2리그가 확고하게 자리를 잡는다면 종목의 한가지로서 스타2에서 스타1을 블리쟈드가 직접 공식MOD로 만들면 어떨까라는 생각을 잠깐 해봅니다. 물론 스1만의 타격감, 그래픽, 사운드를 좋아하시는 분도 많지만 HD방송시대에선 아무래도 지금의 그래픽으로 계속 가기에는 한계가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도 잠깐 들고요. 유저가 만든 유즈맵은 아무래도 기존의 모델을 따라갈 수 밖에 없지만 블리쟈드에서 직접 만들고 스1에 관련된 커뮤니티나 단체에서 제작방향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면 기존 스1과 흡사한 타격감으로 좀 더 좋은 그래픽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요? 스2야 새로운 게임이니 많은 고민을 해야겠지만 스1의 그래픽업버전이라면 큰 고민은 필요 없을것 같고요.

이것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만약 만든다면 어떻게 만들지, 인터페이스를 개선을 해야할지 말아야할지 같은거 말이죠..

덧)그러고보니 규정 줄수를 깜빡해서 잠깐 여담을 덧붙이는데 사실 스타1유닛과 스타2유닛 트레이드 게시물도 한번 올려보려다가 뇌내에서 키배가 벌어져서 결국 게시물은 안올렸다는 사실은 여러분과 저만의 비밀입니다(...)
덧2) 이번주 목요일부터 금요일아침까지 30시간동안 배틀넷 전서버(스타1과 워3는 제외인듯?)에서 점검이 있습니다. 스타2즐겨 하시는분은 목요일에 잠깐 놀거리를 연구하시는게 좋으실듯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언데드네버다��
11/05/10 00:11
수정 아이콘
아예 스2 인터페이스 자체를 뜯어고쳐야 할 겁니다. 유닛의 움직임 부터가 스1과 스2는 너무 다르죠. 공격판정, 스킬의 효과 범위(다크스웜 같은 경우는 원형이 아니죠), 심시티, 미니맵 크기까지 너무나 다른 점이 많아요...

그냥 단순히 재미만을 위해서는 가끔 몇 번 할 수는 있겠지만, 단순히 '그래픽 좋은 스1'을 만들어서 그걸로 리그를 돌리자는 생각이시라면, 거의 불가능합니다.
마산갈매기
11/05/10 00:12
수정 아이콘
돈만 되면 .. 만들겠지만;

무리수를 둬가면서 블리자드가 만들어 줄까요??

더도말고;; 패치만 제대로 해줬으면 좋겠네요
Lainworks
11/05/10 00:12
수정 아이콘
다른건 몰라도, 블리자드가 스타2 버전의 스타1을 만들어주는건....확장팩 두개 다 나온 다음에, 블쟈 약간 한가할때, 밸런스패치도 더 안해도 될것 같을때 아니면 없을겁니다. 만들어져도 UCC 수준이겠죠.

이번에 스1 리그를 돌리게 허락해줬다고 해서 블쟈가 당장 그정도까지 스1을 건드려줄 이유가 별로 없습니다.
11/05/10 00:13
수정 아이콘
스타1은 게임이 너무 오묘해서 도저히 대체할 수 있는 게임이 안 보이네요.
SCVgoodtogosir
11/05/10 00:16
수정 아이콘
차라리 스1을 스2와 같은 편안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고치는게 더 빠를지도 모르겠어요. 일단 건물 다중 선택이나 12유닛 이상 선택은 핵으로 되니까 프로그램 내에서도 가능하겠죠.
하심군
11/05/10 00:17
수정 아이콘
이유야 당연히 없죠. 사실 스타2 그래픽으로 스타1 미션을 해보고싶은 개인적 욕심도 있습니다(...) 근데 와우를 하다보니 생각이 나더군요. 와우도 따지고보면 워크래프트 10주년(맞나;)기념으로 만들었던거라.. 블리쟈드에서 진지하게 접근한다는 부담만 없었다면 왠지 만들었을것 같더군요.

그리고 카운터스트라이크가 1과 2라고 할수 있는 소스버전이 있는데 제가 얼핏 듣기로 밸런스는 1에 맞추고 그래픽자체는 소스로 한다는 이야기를 정말 얼핏 들은적이 있어서..한번 이야기를 꺼내봤습니다.
언데드네버다��
11/05/10 00:29
수정 아이콘
그냥 차라리 스1을 해킹해서, 그래픽만 바꾸는 식으로(드래프트처럼) 하는 게 훨씬 가망있을 것 같네요.
개념은?
11/05/10 00:31
수정 아이콘
글이 13줄 입니다. 15줄 못채우시면 삭게로 가니까 빨리 수정해주세요~
개념은?
11/05/10 00:37
수정 아이콘
스2에서 그 스1 모드 해봤는데...멋도 없고 재미도 없더라고요. 물론 스1을 완벽 구현한다는게 불가능했겠지만..

그리고 요즘 새삼 느끼는건대.. 스2의 그래픽이 뭐가 그리 좋은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물론 그래픽 기술 자체로만 따지면 엄청나게 발전했죠. 그것때문에 이제는 스1 그래픽이 너무 구려서(어떤분들은 썩은것 같다고까지 표현하시던데..) 못보겠다고 하시는 분들도 계시는데...

제 눈이 이상한건지 전 오히려 스1 그래픽이 눈에 더 잘 들어오고 보기 편합니다. 그렇다고 제가 스2를 많이 안해서 그런건 아니에요. 계정 한 3~4개 정도는 마스터 만들정도로 꽤 게임 많이 했습니다.
그런데도 스2그래픽은 뭔가 정이 안갑니다. 물론 타격감 때문일수도 있어요. 진짜 스2 저글링은 때려도 먼가 때리지 않는것 같은 기분...

어쨌든 지금 스1이 스2처럼 그래픽이 바뀌는건 그닥 바라지 않습니다. 저는 지금 스1 그래픽이 훨씬 눈에 잘 들어오고 좋습니다.
11/05/10 00:48
수정 아이콘
인터페이스 패치는 프로게이머들이 반대했다고 하지 않았나요?
원래 일꾼 클릭하지 않고 렐리 찍으면 자원캐는걸로 패치 하려고 했는데 프로게이머들이 그렇게하면 아마추어랑 프로게이머랑 갭이 적아진다고 하지 말라고 해서 안 했다는걸로 아는데...
11/05/10 01:25
수정 아이콘
스1은 인터페이스만으로도 밸런스가 확 달라질 수 있는 게임입니다. 특히 마법 인터페이스가 편리해지면 테프전은 락다운 emp/스톰 피드백 싸움이 될듯하네요.
올빼미
11/05/10 10:06
수정 아이콘
예전에 블리자드가 카오스정도가 가장하급의유즈맵이될거라고 말했던적이 있는데 양심이있으면 제작하겟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6525 IEM대회를 보면서 온게임넷에서 치루어질 대회에대한 노파심 혹은 걱정 [12] 키토6714 12/03/10 6714 0
46524 [lol]게임의 쾌감은 어디에서 나올까요? [26] 마에5727 12/03/09 5727 0
46523 IEM6 World Championship 2011/12 - LOL 4강전 (스2 8강 결과 포함) [272] 키토7836 12/03/09 7836 0
46522 KeSPA,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1 포스트 시즌에 ACE 결정전 도입 [67] kimbilly7013 12/03/09 7013 0
46521 lol 경기양상에 나타나는 문제점에 대한 고찰 [98] 마빠이10572 12/03/08 10572 0
46520 IEM6 World Championship 2011/12 - LOL 8강전 (스2 16강 결과 포함) [115] 키토7545 12/03/08 7545 1
46519 LoL의 장르명은 과연 무엇인가? dota-like? AOS? [28] 에어로8528 12/03/08 8528 1
46518 1주 총 6경기 남은 프로리그, 아직 포스트시즌은 미지수... [41] 타테시7110 12/03/07 7110 1
46517 [LOL] 생각: M5 vs TSM의 서포터 잔나를 보며 느낀 것 하나. [16] LenaParkLove7680 12/03/07 7680 0
46516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1 - 14주차, 삼성전자 vs 8게임단 #2 [190] SKY926827 12/03/07 6827 0
46514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1 - 14주차, 삼성전자 vs 8게임단 #1 [247] SKY925528 12/03/07 5528 0
46513 IEM6 World Championship 2011/12 - LOL 본선 2일차 [247] 키토10422 12/03/07 10422 2
46512 댓글잠금 lol의 esports로서의 흥행에 대한 우려 [66] 여망8393 12/03/07 8393 1
46511 군단의 심장에 거는 기대 [37] 김연우10249 12/03/07 10249 1
46510 음.. 그냥 하고 싶은거 하고 보고 싶은거 보시면 간단한 것을.. [33] Hook간다5737 12/03/07 5737 0
46509 댓글잠금 스타2 열혈팬으로써 매우 안타깝군요. [42] Stella8702 12/03/07 8702 0
46508 공군 제발 힘좀 내주세요./.. [25] 강민화이팅6349 12/03/06 6349 0
46507 댓글잠금 스타1이 만들어놓은 e스포츠는 lol이 이어갈 것 같습니다 [88] Impression8628 12/03/06 8628 0
46506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1 - 14주차, 공군 vs SKT #1 [235] SKY926816 12/03/06 6816 0
46505 2012년 3월 첫째주 WP 랭킹 (2012.3.4 기준) [5] Davi4ever6612 12/03/06 6612 0
46504 IEM6 World Championship 2011/12 - LOL 본선 1일차 [124] 키토7651 12/03/06 7651 2
46503 2012 GSL Point Ranking & 2012 SC2 대회 일정 [7] 2_JiHwan5389 12/03/06 5389 0
46500 스타테일 리그오브레전드팀 감독으로 김원기선수를 임명했습니다. [25] 마빠이9837 12/03/05 983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