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09/15 08:59:43
Name 대한민국질럿
Subject 스토브리그 단상.
1.리쌍록.

양대리그 결승이 모두 리쌍록으로 채워졌고, 결국 두 곳 모두 이영호가 승리했습니다. 테저전 막눈으로써 결승전을 표현하자면.. 뭔가 찍어누르는듯한 기세가 느껴지진 않았으되 두선수간의 철저한 심리전을 기반으로 한 배제와 집중의 향연이었다고, 그래서 더욱 흥미진진했었다고 요약해봅니다. 다시말하면 가위바위보-묵찌빠싸움에서 압도하거나 또는 지고 들어간뒤에도 뒤집기가 가능할 정도의 실력차가 두선수간에는 없었다고 생각되네요. 또한 개인적으로 꼽는 승부처는 msl은 폴랩과 오드아이였고 온겜은 그랜드라인SE입니다. 전자는 '천하의 이영호를 상대로 다시한번 테란맵을 뚫을것인가'였지만 결국엔 실패했고 후자는 이제동의 연속4드론과 이영호의 신들린 빌드선택과 방어가 돋보인 경기였죠. 첨언하자면 비상드림라이너 덕분에 5세트까지 갈거라 예상했지만 그것마저 이겨버리는 이영호를 보고 솔직히 '질려버렸습니다'.

마지막으로 감히 두선수를 평가하자면 이제동은 8강-4강을 뚫은 것만으로도 정말 대단했고 이영호는 그냥 말이 필요없다고 생각합니다. 이영호선수 축하드리고 이제동선수 수고하셨습니다.


2.송병구vs이제동-스타리그 4강전.

스타리그 4강전에서 송병구의 판짜기를 한줄로 요약하자면 바로 '선택과 집중'입니다. 최적화의 시대인 지금까지도 테플전에서 홀로 마이웨이를 고집하는 거의 유일한 선수인 송병구조차도 선택과 집중에 목을 매게 만든 5해처리 체제와 그 5해처리 체제의 시작과 끝을 대표하는 이제동에게 경의를. '질럿 찌르기밖에 할 게 없는' 비상드림라이너에서의 승리와 연이은 폴랩에서의 승리로 호뱅록 가나 싶었으나 이제동은 적어도 토스전에서만큼은 그런것 따위로 흔들수 있는 선수가 아니었군요. 개인적으로 4경기와 5경기는 왜 이제동인가를 제대로 보여주는 경기였다고 생각합니다. 스코어는 3:2지만 사실은 이제동의 압승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송병구의 실책이라기 보다는 그냥 이제동이 대단하다는 느낌밖에 들지 않았습니다.

이제동선수에게는 경의를. 그리고 송병구선수는 훌훌 털고 다음시즌엔 꼭 개인리그 타이틀 하나 가져와주길 기대합니다.


3.협회와 엠겜.

온겜은 어찌저찌 지재권 협상이 되었다는 기사가 떴지만 엠겜과 협회쪽은 그렇지 않군요. 협회야 뭐 두번 적으면 손가락 아플 일이고 엠겜은 이번일로 자신들이 협회 뒷구멍 닦이라는걸 공식 인증했습니다. 이번기회에 그냥 사라지던가, 아니면 밑바닥 치고 정신차린 후 다시 올라오던가. 하지만 하는꼴을 봐서는 그냥 사라지는게 더욱 나을 듯 싶네요.

이것저것 비밀이 하도 많은 e판이라 앞으로 어찌될진 모르겠으나 적어도 엠겜이 자의든 타의든 msl 폐지하면 스타1판 망한다고 동정표를 얻는 일은 없었으면 합니다. 이미 괴물이 되어버린 지 오래인 프로리그도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하늘의왕자
10/09/15 09:16
수정 아이콘
이제동선수의 실력은 인정합니다만
[스코어는 3:2지만 사실은 이제동의 압승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송병구의 실책이라기 보다는
그냥 이제동이 대단하다는 느낌밖에 들지 않았습니다.]
라는 문구는 좀 그러네요.

추가 : 그 아래 줄줄이 달렸던 내용은 그냥 혼자 열폭하는것 같아 자삭합니다
10/09/15 09:44
수정 아이콘
당대 최강의 저그 이제동선수 대 확실한 토스 원탑도 아니고 그나마도 저그전보다 테란전이 주목받는 송병구 선수의 대결이였기 때문에 그 정도 해준것 만으로도 기대 이상이였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이재호 선수와의 4강전과 비슷한 양상이였다고 생각했습니다. 무난한 운영싸움가서는 졌지만 어찌어찌 찌르기로 겨우 이긴..
물론 그것도 실력이죠.
greensocks
10/09/15 11:16
수정 아이콘
죽댓이지만.. 지금은 스토브리그라기 보다는 에어컨리그 아닌가요...?
밥로스
10/09/15 13:51
수정 아이콘
대한민국질럿님은 엠겜 이야기를 할때는 지나치게 이성을 잃은 듯한(?) 어체를 쓰시네요.
특정 단체에 개인적으로 반감을 가지고 계신 것이야 말릴 수 없겠지만
pgr은 여러 분들이 보시는 곳인만큼 조금 더 감정을 억제하고(?) 써주시면 보기 좋을 듯 합니다.
그래도 전달하고자 하는 것은 잘 전달할 수 있을 것 같아요. 글은 잘 봤습니다.
다리기
10/09/15 14:06
수정 아이콘
3번 진짜 보기 싫네요. 읽다가 기분 더러워져서 그만 읽습니다.
똑같은 짓으로 누군가에게 불쾌감을 주고싶진 않지만 어쩔 수 없네요.
저런 식으로 쓸거면 이런 댓글도 예상했겠지요.
미래인
10/09/15 15:21
수정 아이콘
딱 블로그에 올리기 좋은 글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네요.
SwordMan.KT_T
10/09/15 15:55
수정 아이콘
3번 엠겜이 협회 똥휴지 ^^; 글쓴이 본인은 온게임넷 알바신가봅니다.
황제의 재림
10/09/15 16:51
수정 아이콘
개인 블로그에 글을 여기 왜 올리셨을까요...댓글 다는 것도 그렇고. 이번 추게에 있는 첫 글을 읽어 보셨으면 하네요.
윤수현
10/09/16 14:38
수정 아이콘
단순한 단어 선택의 문제라면, 동의하는 사람이 많으냐 적으냐의 차이라고 하셨는데..
동의하는 사람이 많아보이시는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3052 지금 스타2의 GSL의 실력은 스타1과 비교했을때 어느정도 선에 위치하고 있을까요??? [31] 개념은?8156 10/09/18 8156 0
43050 2010 투극 철권 부문 시작합니다 [87] 7313 10/09/18 7313 0
43049 올드게이머와 2군선수 및 연습생들의 전향은 예견되었던 결과입니다. [12] 담배상품권7816 10/09/18 7816 1
43047 프로게이머 그들도 그저 순수한 게이머일 뿐입니다. [66] 커피우유9514 10/09/18 9514 0
43046 [쓴소리] 달면 삼키고 쓰면 뱉듯이 내팽개쳐진 '영예' [14] The xian9228 10/09/18 9228 4
43044 댓글잠금 GSL 제가 오해 했군요. 그 진행방식에 관해서 [94] 황제의 재림10743 10/09/17 10743 0
43042 TG 삼보-Intel Starcraft 2 OPEN Season1 - 32강 3일차 #4 [215] kimbilly7786 10/09/17 7786 0
43041 TG 삼보-Intel Starcraft 2 OPEN Season1 - 32강 3일차 #3 [242] 28살 2학년7892 10/09/17 7892 0
43040 TG 삼보-Intel Starcraft 2 OPEN Season1 - 32강 3일차 #2 [232] 28살 2학년7951 10/09/17 7951 0
43039 TG 삼보-Intel Starcraft 2 OPEN Season1 - 32강 3일차 #1 [180] 28살 2학년8100 10/09/17 8100 0
43037 스타크래프트는 끝나는가? 스타크래프트2는 대세인가? [23] legend9129 10/09/17 9129 1
43036 스타2를 향한 기업의 후원이 생각만큼 느릴까요? [19] ギロロ[G66]6953 10/09/17 6953 0
43034 마이크 모하임 대표와 미팅은 있었을까요? [6] 하루살이5768 10/09/17 5768 0
43032 [속보]mbc게임 하태기감독 자진사퇴 [36] 로베르트12132 10/09/17 12132 1
43031 스타1을 바라보니..마음 떠난 여친을 보는것 같습니다. [10] 고등어3마리5639 10/09/17 5639 0
43029 아무리 봐도 진짜 스타1은 멸망하고 있는 듯합니다. [67] 엑시움12599 10/09/17 12599 0
43028 본격 스타2와 프로게이머 ↑→↓ [12] 하심군8311 10/09/17 8311 0
43027 올 것이 왔네요. IEG, 프로게임단 이스트로 운영 포기... [26] 본좌9962 10/09/17 9962 0
43026 이윤열, 그대의 새로운 도전을 응원합니다. [31] The xian7960 10/09/17 7960 3
43025 협회는 스타 1을 그냥 문 닫아 버릴 것이냐? [21] 아유6522 10/09/17 6522 0
43023 이윤열 선수가 스타크래프트2 프로게이머로의 전향을 선언했습니다. [56] 물의 정령 운디10896 10/09/17 10896 1
43022 테란은 언제나 악역이여만 합니다 [42] 개념은?8042 10/09/16 8042 7
43020 TG 삼보-Intel Starcraft 2 OPEN Season1 - 32강 2일차 #2 [103] Sunsu6006 10/09/16 600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