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05/30 22:04:53
Name 영욱
Subject 나의 설레발 직관은 저주, 죄악인가.
때는 프랑스월드컵조별 예선 우리나라가 일본은 동경에서 2대1로 멋지게 이기고
그담으로도 연승을 하고 사뿐하게 월드컵 진출을 결정짓고 난 다음의 서울에서의 한일전

이때 우연찮게 티켓이 생겨 경기를 직접 보러 갔었다..

결과는 뭐 아시는 분들은 알겠지만 한국의 졸전끝의 패배, 일본의 월드컵 본선진출 기사회생

이것이 나의 직관 저주의 시작이었던거 같다.

그후로 홍진호 선수의 열혈팬(?)으로 홍진호 선수의 준우승을 누구보다도 안타까워 하면서
드디어 왔다고 생각한 홍진호 선수의 결승무대..TG삼보 MSL결승
너무나도 들뜬 마음에.. 모 동호회 사람들을 꼬셔서 한 6명이서 결승 직관을 하러 갔다.
너무나도 기대한 결승, 홍진호의 우승을 의심치않고 갔었으나...

경기가 시작하고 진행함에 따라 어두워지는 나의 얼굴.. 죄없는 나와 같이 구경간 사람들도
덩달아 어두워지고..... 아... 정말 우울했었음...
나에게는 너무나도 충격적인 3:0패배...
경기시간도 무지 짧았던것으로 기억...

그날의 충격이 너무 커서 한동안 결승직관같은건 생각치도 않았다....

허나 이번의 역사적인 결승... 직관에서의 안좋은 기억들때문에 조금은 망설였으나...
아는 이가 보고싶다고 해서 가보자... 이제동은 다르겠지....하고 간...
이번 결승......
아... 역사는 반복되고... 나의 설레발 직관은 저주로 영원히 남는것인가..

정말 전의 홍진호대최연성의 경기를 다시보는 듯한 악몽.... 아....

내 다시는 아무리 응원하더라도 직관을 가지 않으리오...

이자리를 빌어.. 이제동선수에게 미안하다고 하고 싶네요...

아... 저주의 나의 직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greensocks
10/05/30 22:27
수정 아이콘
흠... 이런글은 게임과 관련된 글이라고 봐야하나요 아닌가요? 흠...
블랙독
10/05/30 22:55
수정 아이콘
아오 다 영욱님 때문이야! 책임져요!!! 버럭!
해버리면... 안되겠죵;;;
10/05/30 22:59
수정 아이콘
영욱님 뭘 그런걸 가지고 FD테란님에 비하면야.....
이번 엠에셀 결승도 FD테란님께서........
여자예비역
10/05/30 23:12
수정 아이콘
저는 영호경기 직관 전패라서 경기장에 절대 안갑니다...
게르드
10/05/30 23:48
수정 아이콘
저는 2010년 스포츠경기 직관 전승이라 행복하네요
농구 야구 스타 흐흐
운체풍신
10/05/31 01:01
수정 아이콘
저도 군대 있을 때 제 선임이랑 축구나 스타로 돈내기 했었는데 12연패인가 한적이 있었습니다. 제가 승자를 맞추는 거였으니
하소연할 곳도 없었죠. 다음 스타리그 4강 때 송병구 - 이영호 승리에 배팅했다가 나란히 패배, 3,4위전과 결승전 때
이영호 - 변형태 승리에 배팅했다가 다 잃었던게 생각나네요. 군대 안이라 돈 3000~ 5000원 정도 걸고 했는데 지금 생각하면
별거 아닌 돈이지만 당시에는 뒷목 잡고 쓰러질뻔했었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1942 오랜만에 좋은 토스하나가 출현했습니다. [22] 영웅과몽상가9435 10/06/02 9435 1
41940 오늘의 프로리그-Estrovs공군/웅진vsCJ(2) [112] SKY925139 10/06/02 5139 1
41939 오늘의 프로리그-Estrovs공군/웅진vsCJ [361] SKY925194 10/06/02 5194 0
41938 블리자드가 옳다고 협회가 그르다 ? [18] naughty4989 10/06/02 4989 1
41936 지금 필요한 건 강력한 리더쉽을 가진 협상의 주체이다 [5] 4389 10/06/02 4389 1
41935 구성훈의 신의 트릭 (발키리 버그 아닙니다.) [47] 대세는탱구13742 10/06/01 13742 1
41934 오늘의 프로리그-KTvs화승/하이트vsMBCgame(2) [353] SKY927108 10/06/01 7108 0
41933 시작이 잘못된 KeSPA와 곱게만 보이지는 않는 블리자드 [220] 그래프6808 10/06/01 6808 0
41932 케스파의 언론플레이에 놀아나고 휘둘리는게 e스포츠발전에 도움이 되는가? [23] 게임균형발전4613 10/06/01 4613 0
41931 오늘의 프로리그-KTvs화승/하이트vsMBCgame [338] SKY925582 10/06/01 5582 0
41930 양대 방송사 4위 최소 승률 정리 [7] 彌親男5526 10/06/01 5526 0
41929 KESPA 의 존재의의와 프로게이머의 권리 [5] JunStyle4534 10/06/01 4534 0
41927 케스파가 스타크래프트를 키웠다??? 케스파가 망하면 e스포츠가 망한다!? [42] 게임균형발전4713 10/06/01 4713 0
41926 협회라는 이름의 거대한 짐. 수리공4382 10/06/01 4382 0
41925 이스포츠의 게임은 공공재 형식이 되어야 합니다 [76] 케이윌5952 10/06/01 5952 1
41924 협회측에서 공개한 블리자드의 요구사항에 대해서 제 의견. [15] Q1325236 10/06/01 5236 0
41923 케스파 기자간담회 Q & A 전문이 올라왔습니다. [15] 영웅과몽상가6131 10/06/01 6131 0
41922 '공인종목'에 대한 이슈 [2] 몽키4485 10/06/01 4485 1
41921 블리자드의 요구.. 동의 할 수 없고, 인정 할 수 없습니다. [55] 쿠마7125 10/06/01 7125 2
41920 케스파만큼이나 이기적인 것이 팬들인 거 같습니다. [25] sungsik5667 10/06/01 5667 7
41919 제 개인적으로는 양대 방송사가 가장 안타까워 보입니다. [10] 물의 정령 운디4539 10/06/01 4539 0
41918 만약 정말로 기업스폰이 철수하여 케스파가 와해되면 10년전으로 돌아가는걸까요? [68] 거울소리6313 10/06/01 6313 1
41916 도대체 어떻게 했으면 좋겠습니까? [35] 굿바이레이캬5876 10/06/01 5876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