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01/24 03:28:58
Name 5S25
Subject 오늘과 같은 상황에서 가능했던 현명한 방법들은 없었을까요?


<리플레이(객관적 증거)미비 등의 사유로 정확한 판정을 내리기가 어렵게 되었을 때.>

아마도 이러한 상황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규정이 없기 때문에 일반규정으로서
"기타 무엇무엇한 상황에 있어 심판권한의 재량으로 판단한다."식의 규정만이 있을 겁니다.
(찾아보지 않아서 정확하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규정의 흠결을 보완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생각해 보았습니다.
일단 모두 다 엠겜 탓이기는 하지만, 심판이 그 상황에서 좀 더 현명하게 재량을 펼칠 방법은 없었을까 말이죠.

제 생각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심판진은 각 팀 감독 및 코치를 소집하여 녹화된 영상을 보여줍니다.

2. 우세승 or 재경기 여부를 묻습니다.

3-1. 양팀 감독 및 코치 모두가 일방 우세를 인정한다면 우세승, 모두가 둘다 해볼만 하다 인정한다면 재경기
  - 재경기가 된다면, 소집회의에 참여한 감독 및 코치는 당해 경기에 앞서 선수와 접촉을 제한합니다.
  - 영상을 봤기 때문에 정확한 멀티 타이밍이나 특이점을 주지시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심판이 선수에게 재경기 상황을 알려줍니다.
  - 판정 멘트는 '양측 스탭간의 합의로 재경기/우세승으로 판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식으로 진행.

3-2. 양팀 감독 및 코치가 의견대립(해볼만 하다 vs 일방의 확실한 우세)하여 합의 가능성이 없다면 심판의 권한으로 결정
  - 역시 재경기가 된다면 위와 동일.
  - 판정 멘트는 '양측 주장의 대립상황에서 심판의 권한으로 재경기/우세승 판정하겠습니다'식으로 진행

이와 같은 대처가 그나마 가장 불만이 없을 것 같은데요. 선수도 그렇고. 팬들도 그렇고.
아래는 기타 의견입니다.


*녹화된 영상조차 없는 경우
그냥 무조건 재경기

*무승부 처리하고 재경기 한다.
그냥 재경기와 비교해서 실익이 없죠.

*무승부 처리하고 맵재추첨하여 바로 경기하거나 맨 마지막 경기로 미룬다.
선수들의 판짜기를 포함한 준비를 거스를 수 있고, 추가적인 맵추첨으로 유불리가 원치 않게 변하는 점,
무엇보다 이러한 결정은 사전규정 없이는 불가능. 규정 없이 이렇게 하면 정말 아마추어 인증..


어쨌든...
이러한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규정이 필요.
초유의 사태에 대해서 일단 사전협의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했을 것 같은데, 왜 굳이 심판 재량만 앞세워 판단했을까.
물론 이 모든 일의 원흉은 엠겜측..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1/24 03:31
수정 아이콘
노게임
절대마신
10/01/24 03:32
수정 아이콘
현명한 방법 없습니다. 애초에 정전이라는 사태 자체가 있을수 없는 일이었습니다
수능에서 1교시에 해답을 밀려써놓고 현명한 방법을 찾으라면 찾아집니까
이미 엎질러진 물인데요
드랍쉽도잡는
10/01/24 03:32
수정 아이콘
그거 좋군요.
양 쪽 모두 합의한 경우에는 그 합의대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심판의 재량 하에.
일단 먼저 물어보는 것이 좋기는 하겠네요.

유리했던 선수가 그 경기의 승산만큼의 큰 이득을 취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한은 우세승이 최선의 판단인 것 같고, 다만 그 판단을 어떻게 내리느냐에 대한 세부적인 조정이 초점이 되어야할 듯.
10/01/24 03:33
수정 아이콘
밑에 리플로도 적었지만..

어떤상황이든 한선수가 GG를 인정하기전 경기가 중단되어 재개할수 없을경우 재경기를 한다.

경기가 중단된경우 상대선수가 자신의 불리함을 인정, GG를 인정할경우 한하여 GG를 인정한다.

뭐 모든팬이 이건 누가봐도 A가 진거라는 상황에서 A가 인정안하면 재경기는 해주겠지만..욕먹는건 선수몫이니까요
10/01/24 03:35
수정 아이콘
근데 이 합의라는 내용 자체가 웃긴게 그놈의 합의 찾다가

김재춘,손찬웅 GG사태 났고

엄밀히 한답시고 심판의 재량 없애다가 신상문 pp 몰수사태 터졌고..

뭘해도 진짜...........
팬이야
10/01/24 03:35
수정 아이콘
양쪽에서 합의하지 않는다면.. 다시 원상태가 될 가능성이 높겠군요.....
이래도 저래도 시원찮은건 어쩔 수가 없군요 ㅜ
10/01/24 03:35
수정 아이콘
오늘과 같은 상황에 관한 대책을 논의한다는 것은 앞으로 그런 일이 또 있을 수 있음을 전제하는 것이겠지요.
끔찍합니다. 있어서는 안 될 일이에요. 대학교 스타리그도 모든 컴퓨터가 정전되는건 한전에서 전력을 끊는 경우 말고는 없도록 조치합니다.
10/01/24 03:36
수정 아이콘
V.serum님// 선수의 의향이 같을 때는 인정하되, 아니면 심판의 재량에 따라야 하는거 아닌지요.

선수들의 합의가 안되면 심판의 판단이 앞서는 게 오히려 잡음을 줄이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누가 봐도 승부가 난 상황에서도 지고 있던 선수가 재경기를 계속 요청한다고 들어줘야 하나요.
10/01/24 03:37
수정 아이콘
그냥 정전이 일어나면 안 됩니다. UPS 시스템만 갖추었어도(아니면 그냥 노트북을 쓰든지) PC 4대가 동시에 터지는 일은 로또 1등보다 어렵습니다. 정전 외에 리플레이가 없는 경우가 가능한가요? 화재나 폭탄 테러 등도 물론 리플레이 저장이 힘들겠지만 이런 경우는 제외하고요.
바나나맛우유
10/01/24 03:38
수정 아이콘
제가 생각할때도 오늘 사건을 가장 현실적이고 합리적으로 바라 보는 방법은..

정전사태에 대한 지적과 비판..

그리고 3경기와 같은 상황시 내릴 수 있는 더 적절한 방법을 찾는 거라고 봅니다.

힘드네요..

양쪽이 쉽사리 합의해 줄 수 있을 거 같지도 않고... 재경기든 우세승이든 노게임이든 뭐든.. 어느 한쪽이 피해를 보게 되는 상황이니..;
스터초짜~!
10/01/24 03:38
수정 아이콘
네야님 // 오류 등으로 경기가 중단되었을때에, 정말 누가 봐도 이건 졌어.. 하는 상황이고 (이것에 대한 객관적인 상황이 확보가 된다면) 상대 선수가 딱히 졌다는 식의 반응을 보이지 않으면 우세승을 가야겠죠. 규정에 우세승이라는 제도가 이런때에 쓰라고 만들어 진거 같은데.. 오늘의 논란은 참 아쉽습니다.
10/01/24 03:38
수정 아이콘
절대마신님// 이미 엎질러진 물이지만 그걸 가만히 냅둬서 말릴지, 효과적인 방법으로 닦아내던지 적절한 방법이 있겠죠.
저도 일단은 모든 원흉은 엠겜이라고 생각하고 생각합니다. 다만 이런 결과가 최선이었을까 하는 의문에서 시작해보자는 겁니다.

V.serum님// 그 점도 생각했는데 글로 옮기지 못했네요. 결정에 대해 선수에게도 의사를 묻는 과정이 필요하겠습니다.
절대마신
10/01/24 03:38
수정 아이콘
UPS만 갖추면 됩니다. 어려운일도 아니죠..;;
릴리러쉬
10/01/24 03:38
수정 아이콘
뭘해도 논란은 있었지 싶네요.
10/01/24 03:40
수정 아이콘
개인리그인만큼 양선수 의견이 우선이 되어야겠지요
드랍쉽도잡는
10/01/24 03:48
수정 아이콘
UPS 갖춘다고 해도 어쩔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기에 대처 규정이 필요하긴 하겠죠. 그리고 그런 규정 외의 일이 벌어질 경우도 어차피 심판 재량이니.
10/01/24 03:49
수정 아이콘
아예 두선수의 동의하에 리그맵말고 프로리그맵을 따로 준비하는건 어떨까요 옵션의 개념으로 말이죠.. 결승을 준비하는 선수입장에서 만약에 사태에까지 대비하여 맞춤빌드를 하나정도는 들고나올수있게요.
오토모빌굿
10/01/24 03:56
수정 아이콘
논란은 정전순간 피해갈 수 없습니다.

다만 눈감고 어택땅 수준으로 유리하지 않다면 재경기를 했어야죠.
10/01/24 04:00
수정 아이콘
양선수 의견이 합의될 수도 없고 합의되어서도 안됩니다.
스포츠에서 합의로 승부를 내다니요. 그건 스포츠가 아닙니다. 프로도 아니고요.
양 선수는 서로 경쟁하고 대립하여야 합니다. 그러니깐 스포츠에 심판이 있는 것입니다.
"내가 불리했으니 진 걸로 칠게요." 점심 값 내기 스타에서도 이렇게는 안합니다.
물빛은어
10/01/24 04:35
수정 아이콘
왕님// 저랑 생각이 같으시네요.
일단 규정이 정해지고, 그것에 의해서 심판이 어떠한 결정을 내렸다면, 그 판정 자체를 뒤흔들려는 일은 없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심판이 잘못된 징계를 내렸다면, 그건 추후에 결정이 되어야할 사항이지만, 지금 여기서 거기까지 가는건 좀 오버일테구요.

합의를 하고 재경기를 할지 말지 결정하려면 심판은 왜 있는건가요?
선수나 팀의 의견은, 그저 참고의 수준으로 들으면 되고, '규정에 따른' 결정은 심판에게 일임해야한다고 봅니다.

규정에 따른대로 판정을 내렸으니, 오늘 심판의 판정은 잘못된 게 없다고 생각합니다.
'왜 하필~~~?'이라면, 그 말은 어떠한 결정이라도 안 나올 수 없는 말입니다.

이영호 선수와 이제동 선수의 경기가 아니라, 테란 A 선수 와 저그 B 선수의 경기중 일어난 일이라고 생각한다면,
'이영호니까~~어쩌고 저쩌고', '이제동이니까~~블라블라' 이런 가정은 있을수 없습니다.
그 당시 그 상황으로만 판단해야하는 것이지요.
10/01/24 05:41
수정 아이콘
솔직히 3경기는 야구에서 강우 콜드게임으로 끝난 것 같은 느낌이에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0208 정말 좋아하는 이승원 해설과 좋아했던 MBC GAME에 개인적으로 미안한 감정을 전합니다. [11] 시나브로7055 10/01/30 7055 4
40207 100130 기록으로 보는 경기 - 위너스리그 2주차(프로리그 16주차) 1경기 [8] 별비4439 10/01/30 4439 0
40206 MBC게임 게임으로 감동을 줄수는 없는가? [52] 블루문7460 10/01/29 7460 9
40205 스타크래프트2의 다양화, 섬맵의 활성화와 전장의 다양화에 대해서... [16] 물의 정령 운디6031 10/01/29 6031 0
40204 2006 - (1) 신한은행 스타리그 S1 [16] 彌親男6027 10/01/29 6027 1
40203 스타크래프트2에서 팀플을 전작보다 재밌게 하는 방법으로는 뭐가 있을까요? [10] 물의 정령 운디5225 10/01/29 5225 0
40202 우세승 딜레마 해법 - 공식 재경기 맵, 판정 공시 게시판 [10] ArcanumToss4726 10/01/29 4726 0
40201 역대 양대리그 종족별 성적 분석 [17] 개념은나의것6157 10/01/29 6157 0
40200 2010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시즌1 예선전 대진표 [59] 개념은?6271 10/01/29 6271 0
40199 스타크래프트(starcraft) 핵 감지기 wDetector v2.00 Test [42] 친정간금자씨!11662 10/01/29 11662 1
40198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예선전 대진표 [61] Alan_Baxter8221 10/01/29 8221 0
40197 심판의 안목을 점수화 하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보았습니다. [8] 거울소리4760 10/01/28 4760 0
40194 [이벤트] 경기결과 맞히고 문화상품권 받자! [100] 유유히5101 10/01/28 5101 0
40193 협회는 규정대로 상벌위원회를 소집할 것인가?-연기되었습니다 [14] 노마6792 10/01/28 6792 6
40192 KT의 과거의 아쉬운순간, 현재....그리고 미래 [27] noknow5915 10/01/28 5915 1
40191 E-sports심판의 권위와 자질 그리고 의문점 [4] 연우님따라쟁4914 10/01/28 4914 2
40190 위너스리그 2주차 선봉 엔트리 [42] SKY926803 10/01/28 6803 0
40188 엠겜 결승을 다시 돌아보며... [16] 칼라일215343 10/01/28 5343 0
40187 저그가 이영호를 상대하는 방법. (NATE MSL 결승 분석글입니다) [36] 블랙독7303 10/01/28 7303 0
40186 헤게머니를 장악하라! - 저vs테 전을 중심으로 [10] 더미짱6408 10/01/28 6408 4
40184 오늘 웅진처럼 사원들의 자사팀 단체응원 등이 많이 이루어졌으면 좋겠습니다. [67] Alan_Baxter8184 10/01/27 8184 2
40182 경기 자동 저장 프로그램, 이걸 계속 개발해야 할까요? 팬여러분의 의견을 묻습니다. [40] 광기6560 10/01/27 6560 0
40180 이영호 선수의 인터뷰 충분히 이해합니다. [78] ipa9802 10/01/27 9802 1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