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9/10/02 04:55:13
Name Alan_Baxter
File #1 10th_1.jpg (344.1 KB), Download : 78
File #2 10th2.jpg (409.6 KB), Download : 69
Subject 스타리그 10주년 기념 - 스타리그 역대 우승자, 역대 스타리거 목록




1999년 10월 2일 ~ 2009년 10월 2일 스타리그 10주년

스타리그 10주년 기념 책(이미지)은 정리 중인데 조금 늦을 수도 있습니다.;;  
부디 기다려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信主SUNNY
09/10/02 05:10
수정 아이콘
잘 봤습니다. 항상 수고하시네요.
세이시로
09/10/02 05:56
수정 아이콘
정리 너무 잘 하십니다. 추천!
BoSs_YiRuMa
09/10/02 08:56
수정 아이콘
헉? 최연성 선수 최전성기시절에 스타리그 한번밖에 우승 못햇엇나요?..그럼 그시절 그 무적포스는.. msl과 프로리그에서만 느껴진건가요;;
바꾸려고생각
09/10/02 09:06
수정 아이콘
박태민선수도 정말 올드네요. WCG경력은 알았지만 코카콜라배에도 진출했을줄은..
러브투스카이~
09/10/02 09:53
수정 아이콘
헐.. 바투 스타리그에 대인배 김준영 선수 빠졌네요 -_-;
양치기
09/10/02 10:53
수정 아이콘
우승자 다들 즐겁고 감동하는 표정인데 EVER배 최연성 선수의 표정만 유독... ^^;
greensocks
09/10/02 10:59
수정 아이콘
BoSs_YiRuMa님// 마재윤선수처럼 최연성선수도 온겜넷에 좀 늦게 올라왔고 처음 올라왔을때 우승할 기세였지만 박성준선수에게 예상치못한 패배를 당했죠 4강에서... 하지만 바로 그 다음 대회에서 우승
해골병사
09/10/02 11:06
수정 아이콘
제1회 스타리그까지가 진짜 올드플레이어들의 시대군요
내가 남자친구
09/10/02 12:17
수정 아이콘
02스카이 결승은 10월 12일입니다. 스타리그중에 02~03년때를 제일 재밌게봐서 아직도 기억하고있네요
信主SUNNY
09/10/02 12:47
수정 아이콘
BoSs_YiRuMa님// 흔히말하는 본좌라인은 모두 온게임넷 입성이 늦었습니다. 다른 대회에서 이름을 알린 후 온게임넷은 '최강자의 입증'을 위한 느낌의 우승이 많았죠.

최연성선수도 그렇게 로열로더를 걸을 것처럼 보였으나, 박성준선수에 의해 막히면서 박성준-최연성 시대를 만들어내죠. 그래서 저 개인적으로, 그리고 상당수 분들이 최연성선수는 최전성기시절 우승이 없다고 보고 있습니다.
윈드시어
09/10/02 13:17
수정 아이콘
양치기님// 크크 정말 유달리 뻘쭘해보이네요 크크
릴리러쉬
09/10/02 13:32
수정 아이콘
아 옛날이여.
09/10/02 14:11
수정 아이콘
信主SUNNY님// 동감합니다. 팀리그 최강시절이 그야말로 최연성선수의 전성기였던걸로 기억합니다.
따지자면 질레트 조금 전쯤?? 이었던것 같아요.
질레트 개막전만해도 전회 후승자였던 강민과 레퀴엠에서 대전이 붙었어도 제가생각하기에 사실상 4:6이상으로 최연성선수의
손을 들었었습니다;; 더욱이 언덕 질럿캐논러쉬도 무난히 막는모습을 보면서 더더욱그랬죠;;
09/10/02 14:16
수정 아이콘
밑에 참가 선수들 목록의 정열 기준은 무엇인지 궁금하네요 ^^
Alan_Baxter
09/10/02 14:18
수정 아이콘
NABCDR님// 테란, 저그, 프로토스 - 가나다순입니다. 에버 2008 부터는 시드자들을 앞쪽에 배치했습니다.
09/10/02 15:49
수정 아이콘
임요환 선수는 10번 연속 스타리그 진출 실패네요.
에버2008은 어떻게 해서 28명의 스타리거로 시작하게 된건가요?
Alan_Baxter
09/10/02 15:54
수정 아이콘
평온님// 스타챌린지에서 올라온 선수들 12명과 전 시즌에서 4강 진출에 실패한 16강 멤버 12명이 싸워서 24강이고,
4명의 시드자를 더해서 24+4강입니다.
권보아
09/10/03 01:49
수정 아이콘
추천부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0822 2010 하나대투증권배 MSL Season 1 32강 B조 [217] o파쿠만사o6025 10/04/08 6025 0
40821 MSL 스폰서가 공개되었습니다!! [45] Dizzy8428 10/04/08 8428 1
40819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시즌 4라운드 로스터가 발표됐습니다. [16] 예수7827 10/04/08 7827 0
40816 PGR21 블리자드 스타2 토너먼트 E조~ H조 경기결과 [1] canoppy4846 10/04/08 4846 0
40815 전태양에게서 냄새가 난다. [15] Dizzy7882 10/04/08 7882 1
40814 전태양선수에 관한 소고 [14] kimera7069 10/04/08 7069 10
40813 이제동의 네이트배 우승... [50] 케이윌7652 10/04/07 7652 6
40812 김택용 3.0으로 돌아올 그를 위해서. [13] 영웅과몽상가5735 10/04/07 5735 0
40811 PGR21 블리자드 스타2 토너먼트 -전경기 생방송 중 canoppy4900 10/04/07 4900 0
40810 대한항공 2010 스타리그 16강 3회차(2) [100] SKY924775 10/04/07 4775 0
40809 신대근 vs 이영호 짧은 리뷰. [24] becker7929 10/04/07 7929 0
40808 대한항공 2010 스타리그 16강 3회차 [362] SKY926084 10/04/07 6084 0
40807 특별히 응원하는 팀,선수가 없다는 것이 좋은 점도 있네요. [7] 인격4665 10/04/07 4665 0
40806 (방송종료)오뚜기 뿌셔뿌셔 2010 TEKKEN CRASH S2 16강 A조 [206] o파쿠만사o5678 10/04/07 5678 0
40805 프로리그 4라운드 방식 변경 [25] xeno4972 10/04/07 4972 0
40803 재미삼아 보는 10년간 이어진 본좌론 이야기 [50] 고지를향하여10955 10/04/07 10955 19
40802 PGR21 블리자드 스타2 토너먼트 - 금일 예선 20:00 전경기 방송 예정 [1] canoppy5180 10/04/07 5180 0
40801 이제동의 본좌론의 정리와 그의 호칭문제. [57] 그레이티스트5355 10/04/07 5355 1
40799 이번 시즌 홈런왕과 통산 홈런왕 [32] 마바라4269 10/04/07 4269 0
40797 이제동은 본좌는 아니지만 본좌만큼 대단합니다. [53] 그레이티스트4664 10/04/07 4664 0
40796 당대최강자로 가는길은 여러가지가 있다. [36] 케이윌4815 10/04/07 4815 0
40795 본좌론의 모순 [52] 정전5562 10/04/06 5562 6
40793 본좌란 칭호는 10년후에도 불가능합니다 [120] 파일롯토6880 10/04/06 6880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