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9/01/20 22:22:53
Name Claire
Subject 인간의 적절한 스릴은 생활에 큰 즐거움.
쌩뚱맞게 가입 후 처음으로 이 게시판에 글을 쓰면서 시건방진 단타형 제목입니다. [...]

2001년도부터 쭈욱 스타리그를 시청해왔지만,
주 5일제 프로리그가 도입되면서부터, 사실상 이번 년도 2라운드 경기까지도 전부!!!
무관심으로 일관하고, 경기 결과만 포모스를 통해 모니터링 해 왔습니다.
그만큼 지겹고, 경기 양상도 비슷비슷하고, 무엇보다...
리그 전체적인 재미 라는게 느껴지질 않았달까요...

하지만 최근 몇일째, 프로리그에서 헤어나오질 못하고 있습니다.
더불에 제 프리랜서 경력에 흠이 갈만큼 업무 진행도 늦춰지는 기분입니다 -_-;;;
뭐랄까..................
어떤 경우의 수로 경기가 진행되는가에 무관하게
절대적인 확률로 게임 전체가 주는 스릴이 증가 했기 때문입니다.

이유는 사실 뻔합니다.
결국 7판 4선승제입니다만...
각 매치당 나오는 선수가 전부 로테이션되는 기존 리그와는 다르게 위너스 리그의 방식(정확히는 구 팀리그)은
스토리를 만들어가기가 너무도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0:4 / 1:4 / 2:4 / 3:4
위 네가지의 스코어가 아주 단순히 뽑아낸 프로리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승수 입니다.
하지만 그 속에서 발생하는 스토리가 이전의 프로리그와는 현격하게 다르게 진행됩니다.
올킬,역올킬,스나이핑,기세를 탄 연승 등.. 인간의 '스릴' 을 자극하는 요소가 한판한판 숨어있기 때문이지요.

사람에게 적당한 긴장감은 업무,생활 모든 면에서 크게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위너스리그도 그 스토리 진행의 긴장감이 워낙 뛰어나서(물론 좀더 펼쳐져봐야 알겠지만요.)
쉽사리 첫경기를 시청한 후에 이후의 경기를 드롭해버리기가 쉽지 않습니다.
다음 주자가 펼쳐줄 스토리에 의해 완전히 경기 양상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워낙에 경기 챙겨보는게 지칠만큼 긴장되서, 이걸 5R 내내 하라고는 말 못 하겠습니다 -_-;;;
저나 선수들이나 감독이나, 해설까지도 전부 실신당할 것 같습니다 -_-;

일단.. 현재까지는 대만족입니다.
여러가지 안좋은 점도 차차 발견이 되겠지만, 침체되어있던 스타리그에서 적어도 하나의 흥행 요소는
잠시나마 다시 느껴볼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이전 프로리그와 요즘 프로리그의 응원 함성 자체가 달라진 걸 보면 더욱 더 -_-;;;)
앞으로도 스릴 넘치는 리그 기대해봅니다!

어쨌든, 결론은 공군 화이팅!!!!!!!!!!!!!!!!!!!!!!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1/20 22:25
수정 아이콘
위너스리그라는 작명이 정말 적절한듯........

정말 이긴자만의 리그라고 할까요.

뭔가 낭만적인 리그인듯........

그 작명한분 정말 누군지 궁금하네요;; 아마 공모해서 뽑힌걸로 아는데. (상으로 광안리 결승전도 볼수 있는 기회도 주었다고.......)

정말 옛생각도 나고........
라울리스타
09/01/20 22:29
수정 아이콘
그런 것 보면, 1등인 온게임넷의 포장성을 따라가기 보다는

'2등이 될 지언정, 2류가 되지 않겠다' 라는 마인드로

최강자만을 위한 리그방식을 했던 엠겜에 대한 약간의 향수도 있습니다.

정글과도 같은 서바이버와 더블 엘리미네이션 MSL, '철저히' 승자만을 위했던 팀리그.
09/01/20 22:37
수정 아이콘
한 선수가 이기고 나서 2킬,3킬을 할지 기대가 되서 눈을 떼는게 정말 힘드네요.
있는혼
09/01/20 22:38
수정 아이콘
크게 공감합니다.. 나도 모르게 오늘의 스타크래프트를 확인하고..
6시엔 밖에서 저녁을 먹고있었는데 빨리먹고 집에가자는 생각뿐.....
09/01/20 22:55
수정 아이콘
그전엔 3:0 나오면 응원하는팀 아니면 그냥 김빠졌는데

이제는 4:0이 나와도 올킬이라는 대단한 기록이 생기니 흥미가 떨어지질 않는듯 합니다.
진부령
09/01/20 23:01
수정 아이콘
4:0이 될때까지 올킬을 막기위해 상대방 에이스들이 총출동한다는것도 하나의 큰 재미죠.
임개똥
09/01/20 23:02
수정 아이콘
평범한 생활을 유지하기 힘들 정도로 빠져들고 있습니다.
스타카토
09/01/21 01:36
수정 아이콘
평범한 생활을 유지하기 힘들 정도로 빠져들고 있습니다. (2)

그런데 빠져나오기 싫다는....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8692 프로리그의 확대와 본좌론 [21] Optus4349 09/08/24 4349 0
38691 FA 반대 선언문 [26] Judas Pain7996 09/08/24 7996 55
38690 소설, <삼무신三武神> 23 [5] aura4589 09/08/23 4589 0
38689 스타크래프트2의 앞으로의 전망은? [17] 물의 정령 운디4857 09/08/23 4857 0
38688 이제동과 저그군단 [80] skzl7067 09/08/23 7067 1
38686 라운드진출기준 양대리그 커리어 랭킹(1) 15~16위 [2] 信主SUNNY6051 09/08/23 6051 0
38685 화승OZ vs 하이트 Sparkyz 경남 STX컵 마스터즈 2009 3,4위전 중계 [388] 훼닉7443 09/08/23 7443 0
38684 이제동 최고대우 받으면 계약하길... [32] noknow6974 09/08/23 6974 2
38683 최연성 선수에 대한 약간의 미화... 에 대한 생각. [152] 치아키7437 09/08/23 7437 0
38682 스타2의 세부적인 정보, 약간의 우려 [109] Nerion7126 09/08/23 7126 0
38680 [블리즈컨 2009] 스타크래프트2 개발자 QnA [6] Timeless5246 09/08/23 5246 0
38679 [블리즈컨 2009] 디아블로3 개발자 QnA [1] Timeless6481 09/08/23 6481 0
38677 블리즈컨 2009 스타크래프트 부문 토너먼트 2일차 [88] SKY924343 09/08/23 4343 0
38676 온게임넷 스타리그 라운드진출기준 커리어랭킹 [36] 信主SUNNY6214 09/08/22 6214 0
38675 KT 정말 우승하고 싶다면 그를 영입하라!! [184] noknow10307 09/08/22 10307 0
38674 축하해 그리고 고마워 [11] NecoAki4603 09/08/22 4603 0
38673 본좌를 당당히 거부합니다. [75] 마빠이7880 09/08/22 7880 0
38672 다음 시즌부터의 맵 개편에 대한 방향은 어떤식으로 진행될까? [56] 물의 정령 운디4752 09/08/22 4752 0
38671 박카스 2009 스타리그 결승전 박명수vs이제동(2) [452] SKY927663 09/08/22 7663 1
38670 박카스 2009 스타리그 결승전 박명수vs이제동 [270] SKY925885 09/08/22 5885 0
38668 소설, <삼무신三武神> 22 [7] aura4406 09/08/22 4406 0
38667 [블리즈컨2009] 디아블로3 새로운 직업 수도사(몽크) 소개 [26] 프로캐럿6616 09/08/22 6616 0
38666 현재까지 블리즈컨 2009 스타크래프트 토너먼트 결과 / 승자결승 불판 [78] The xian6831 09/08/22 6831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