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9/01/07 05:33:26
Name 캐럿.
Subject 수험생활 하느라 못봤던 리그 몰아보고 있습니다 ^ ^
안녕하세요 캐럿 입니다.

음 제가 마지막으로 챙겨볼 수 있었던 리그가.. 다음 스타리그 & 곰TV MSL S2 네요.

그 후로는 공부에 많이 치중하느라 친구들의 잡담이나 네이버에 뜰 정도의 대박 매치업이 아니면 결승 대진은 물론 그때 하고 있었던 리그 스폰서도 몰랐습니다. 동시에 pgr도 쉬게 되었고 거의 1년 반동안 스타크래프트 리그를 못봤네요 ^ ^; 그래서 입시가 끝난 지금 남는 시간을 활용해 못봤던 리그를 계속 보고 있습니다.

프로리그는 우승팀 정도는 알고 있었지만 개인리그는 제가 다음과 곰TV 이후의 스폰서조차 모를 정도로 관심을 끄고 살았었습니다.. 몇주 전 학교에서 애들이 박성준 선수가 EVER스타리그를 우승했다길래 3년전 얘기인 줄 알았는데 맙소사 이것이 올해 여름의 일이었다니.. 바로 VOD를 찾아봤습니다. 이것을 생방송으로 볼 수 없었다는 것이 너무 안타깝습니다.. 특히 결승 2세트는 정말 압권입니다 ^ ^; 안그래도 호감인 투신 더더욱 좋아하게 되었습니다. 택선수의 벙찐 모습과 박용욱코치의 표정.. 잊을 수 없습니다. 계속 돌려보고 있습니다.

인크루트와 클럽데이는 최근의 일이라서 그나마 분위기를 많이 느낄 수 있었는데 이 두 리그도 정말 재밌었습니다. 16강부터 보니까 버릴 경기도 별로 없고 흥미롭네요..! 인크루트 결승은 가을의 전설이 이어지는 걸 감상했는데 전용준 캐스터의 '두 번의 준우승 끝에 드디어 우승' 이라는 멘트.. 엥? 두 번의 준우승? 언제? 해서 찾아보았더니.. 이영호/이제동 선수의 우승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_-;; 더불어 스타리그의 스폰서도 EVER가 두번 박카스도 한번 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보다보니 생각나는 게 스타리그가 스타를 확실히 잘 만드는 것 같다는 것입니다. 도재욱/정명훈 선수가 이미지메이킹 되는 것을 봤을 때 개인리그가 아직 너무나도 중요하다는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MSL은 곰TV가 시즌 4까지 스폰서한 것도 놀라웠지만 박성균이라고 하는 (당시로서는) 생전 처음 보는^ ^; 테란의 우승 소식과 아레나 MSL의 결승 이원 생중계 등(-_-;;).. 여러 새로운 소식이 기다리고 있더군요. 4강 라인업에 생소한 선수들이 많아서 루키의 우승도 좋지만 리그의 흥행은 어땠을까 걱정도 했습니다.. 하지만 경기를 다 보고 나니 내용은 재밌더군요 ..! 히어로센터가 코엑스에서 문래동으로 옮긴 것도 최근에 알았습니다. 저번주 삼성vsSTX 를 보러 갔는데 상권이 형성되지 않아서인지 좀 휑해서 많이 아쉬웠습니다..

개인리그 하면 오프닝이 빠질 수 없는데 밀린 오프닝 보는 것도 꽤 재밌었습니다. 올해 스포츠관련 BGM으로 많이 쓰인 the great escape를 쓴 박카스 스타리그 오프닝이라던지..  만화같이 연출한 EVER07.. 선수들 표정이 멋있었던 곰TV S4 등등.. 이런저런 것들을 보다보니까 임선수 제대가 이쯤일텐데.. 하는 생각이 들어서 찾아보니 곧 전역이라고 해서 또 놀랐습니다. 해설로 변신한 한승엽/강민 선수도 새롭구요..

사실 스타를 안 보게 된 것에는 애정이 식었다는 이유도 없지않아 있었는데 1년동안 쌓인 콘텐츠를 보니 다시 구미가 당기기 시작했습니다 ^ ^ 요즘은 프로리그 0809 시즌 즐겁게 보고 있습죠.. 아직 협회라거나 맘에 안 드는 부분이 많지만.. 차차 나아질 거라고 믿습니다. 요즘 리그에 흥미가 떨어지신 분들은 저처럼 장기간 시청을 중지하시는 것은 어떨까 생각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돌맹이친구
09/01/07 07:08
수정 아이콘
다음까지 보셨다면... 리쌍(이제동 vs 이영호)의 존재가 신선하겠군요...
저그와 테란의 수장 리쌍...
리쌍록들은 대부분 명경기 들이니 찾아 보시면 재미 있을 겁니다...
09/01/07 07:37
수정 아이콘
캐럿님 의대 붙으셨나요?
이재열
09/01/07 10:07
수정 아이콘
그분 곧 전역이 아니라 전역한지 좀 되셨죠..
진리탐구자
09/01/07 10:10
수정 아이콘
아레나 MSL은 칭기즈벅과 상무님 크리가 백미죠. 크크.
Resolver
09/01/07 11:13
수정 아이콘
리쌍 대 육룡이라는 소스도 꽤나 재밌는데 크크...
학교빡세!
09/01/07 11:20
수정 아이콘
저도 자의가 아닌 타의로 2년동안 스타를 거의 시청 못했다가 다시 사회로 돌아와 스타를 보니 아는 선수가 손에 꼽을정도로 밖에 안남았더군요...덜덜덜
날라라강민
09/01/07 13:08
수정 아이콘
진짜 에버07오프닝은 예술이었죠.. 변형태의 권총 포스 덜덜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6725 보여주기 위한 스포츠; gg 논란에 대하여 [118] 3leaf4648 09/01/19 4648 0
36724 스타크래프트를 함에 있어, 기본기와 센스 중 더 중요한 것은? [36] 선미남편6241 09/01/19 6241 0
36723 GG는 무슨.. ppp도 없애버리자. [수정] [68] TaCuro7892 09/01/19 7892 3
36722 규정에 대해서... [20] 아레스4251 09/01/19 4251 0
36721 바투, 이스포츠와 바둑의 희망이 될 것인가? ~ 바투의 재미 알아보기 ~ [36] Alan_Baxter8337 09/01/19 8337 3
36720 GG 신설 규정, 궤도권 진입으로의 첫 발을 떼다. [14] 양찬군주5630 09/01/19 5630 0
36719 새로운 팀리그의 방식. 그 전망에 대한 질문. [26] 칼라일215235 09/01/19 5235 1
36717 김택용의 100전 트리플 80%를 위한 걸음을 돌아보자. [16] 택용스칸6525 09/01/18 6525 0
36716 GG = 돌을 던지다 [65] 조용빈7664 09/01/18 7664 0
36715 TG삼보 - 인텔 클래식 시즌 2 4강전 조병세T vs 김택용P [298] 택용스칸7442 09/01/18 7442 1
36714 재밌는 팀리그 - 감독들의 전략과 선수들의 작전 수행능력 [11] 피터피터5083 09/01/18 5083 1
36713 1200 vs 300 [50] kEn_8177 09/01/18 8177 0
36712 상대방의 정신을 조금씩 갉아먹는 잔인한 악마.... [29] Anti-MAGE7391 09/01/18 7391 0
36711 신한은행 프로리그 위너스 리그-CJvsMBCgame/온게임넷vs웅진(4) [460] SKY925684 09/01/18 5684 0
36710 신한은행 프로리그 위너스 리그-CJvsMBCgame/온게임넷vs웅진(3) [385] SKY924720 09/01/18 4720 0
36709 신한은행 프로리그 위너스 리그-CJvsMBCgame/온게임넷vs웅진(2) [344] SKY924544 09/01/18 4544 1
36708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GG선언 관련 규정이 생겼네요. [47] 낭만토스5750 09/01/18 5750 0
36707 신한은행 프로리그 위너스 리그-CJvsMBCgame/온게임넷vs웅진 [237] SKY924569 09/01/18 4569 0
36706 제가 밑에 글에서 이영호 선수에 대해 글을 올렸는데 많은 관심주셔서 더 적어보아요. [22] 김재혁4852 09/01/17 4852 0
36705 최근 저플전 경향 정리 [57] 김연우9378 09/01/17 9378 9
36704 마재윤 vs 신희승. [21] SKY927933 09/01/17 7933 0
36703 이영호 선수의 부진에 대한 여러분들의 의견및토론 부탁. 팬으로써 [53] 김재혁5805 09/01/17 5805 0
36702 로스트 사가 MSL 32강 E조 (박명수vs신희승/박영민vs조일장)(2) [230] SKY925588 09/01/17 558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