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8/08/10 20:22:45
Name 9riho
Subject 곰티비 제발 잘 좀 해줬으면 합니다.
예전 마재윤vs 김택용의 경기 때 처음으로 스타리그 오프를 뛰러 갔습니다.
그런데 예정된 경기시간보다 훨씬 일찍 경기를 보러 갔는데도,
현장을 찾은 팬들이 경기장 수용인원을 넘쳐버려서 경기장에는 들어가지도 못하고
밖에서 저희 집에 있는 티비보다 조그만 티비로 소리도 안나오는 안습한 상황에서
경기를 보았습니다.

그리고 오늘,, 오랜만에 경기를 보러 갔는데 이게 뭡니까..
그동안 곰티비에서 주최한 경기들은 어쨋는지 모르겠는데,
오늘 신도림 테크노마트에 가니까 예전하고 똑같이 경기장에는 들어가지도 못하고,
그때 그 티비 그대로 가져다 놓은건지 티비 하나에 팬 몇십명이 둘러앉아 티비를 보고 있었습니다.
이게 뭔 안습한 상황인지..
정말 똑같은 일을 두번이나 당하니 짜증이 절로 나더군요.

결승전이 벌어지면 팬들이 경기장 찾을 걸 생각 안하는지요
도대체 뭘 하는 한심한 짓인지 모르겠네요.
관계자는 제발 신경좀 써줬으면 좋겠습니다.
경기보러 갔다가 기분만 잡치고 그냥 왔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8/10 20:45
수정 아이콘
오프는 안 가봐서 모르지만 전반적으로 곰티비 리그는 뭔가가 어색하다는 느낌이 많이 들더군요. 솔직히 해설, 코멘트 같은 것도 요즘 트렌드와 썩 부합하지 않는 것 같고, 리그 운영이 아직 많이 미숙한 것 같습니다.

이제 시작이니까 질타보다는 응원을 보내는 게 더 좋겠습니다만... 그것도 용납되는 범위 내에서겠죠. 리그를 계속 유지할 생각이 있는 거라면 정말 제목처럼 잘 좀 해줬으면 합니다. 가뜩이나 시작할 때 반쪽 리그라는 비아냥을 들으면서도 대박 결승 대진 때문에 끝은 나름대로 화려했는데 이 분위기 잘 이어나가야죠!
핫타이크
08/08/10 21:29
수정 아이콘
이제 시작이니까요..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점차 발전해나가겠죠.
살인의추석
08/08/10 22:08
수정 아이콘
곰티비는 아직 시작단계 입니다. 너무 까시지 마시길...
ArtOfakirA
08/08/11 00:29
수정 아이콘
이 글은 곰tv게시판에 올리시면 될 듯
코파지마
08/08/11 03:19
수정 아이콘
그건 둘째치고 지금 외국인들을 위한 VOD를 올리지 않아서 원성이 넘치고 있죠..
1경기가 그나마 올라왔는데 경기 시작 전후로 끊겨버리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5490 [08~09] Pre Season이 진행되고 있었네요. [6] 달려라투신아~4959 08/08/17 4959 0
35489 객관을 가장한, 약간의 저징징 [52] 진리탐구자6660 08/08/16 6660 5
35488 이제동은 그랜드슬래머인가? [57] 삭제됨8061 08/08/16 8061 0
35487 WCG 금메달에 도전 [16] Akira6653 08/08/16 6653 0
35485 [중계글] 서바이버 토너먼트 6조, 마재윤 10연속 MSL 진출 도전! [213] 라울리스타6803 08/08/16 6803 2
35483 우와~ 방금 신상문선수의 플레이 보셨습니까??? [71] 박지완7200 08/08/16 7200 0
35482 WCG 2008 스타크래프트 부문 한국 국가대표 선발전 4강전~ [104] SKY925769 08/08/16 5769 0
35480 2008. 8. 16 (土) 19주차 pp랭킹 [6] 택용스칸4604 08/08/16 4604 0
35479 2회간의 팀배틀을 통해본 여러 논쟁들의 실례. [46] 펠쨩~(염통)6431 08/08/15 6431 0
35478 인크루트 스타리그 36강 F조. [281] SKY925773 08/08/15 5773 1
35477 프로리그 이런 방식은 어떨까요??? [7] 칼잡이질럿4636 08/08/15 4636 0
35476 경남 STX컵 마스터즈 2008 플레이오프 MBCgame VS SKT [300] SKY926480 08/08/15 6480 1
35473 어린 영웅의 마지막(?) 발자취... [16] 가을이횽의5581 08/08/15 5581 0
35472 프로리그 방식 제안합니다 - 홈어웨이, 챔스방식, 지명선수, 셧아웃 도입 [2] 오만과나태4151 08/08/15 4151 0
35471 삼황 오제 사천왕 -第十八章- [9] 설탕가루인형4676 08/08/14 4676 0
35469 아케이드 격투 게임 제전, 투극 2008이 열립니다. [20] 7523 08/08/14 7523 0
35468 프로리그는 팀매치 방식이 될 수 밖에 없다. [69] 프렐루드5362 08/08/14 5362 2
35467 김태형 해설에 대한 짤막한 비판글 [36] 라울리스타15541 08/08/14 15541 0
35466 제가 생각해본 예전 팀리그와 현 프로리그의 접목한 새로운 리그 방식 [14] 후딱5162 08/08/14 5162 8
35465 위메이드, 최초로 지역연고 프로게임단 추진 [45] 보름달7767 08/08/13 7767 0
35464 리그 브레이커 박지수. [32] 펠쨩~(염통)8387 08/08/13 8387 0
35463 경남 STX 컵 플레이오프 선봉 엔트리~ [10] SKY925017 08/08/13 5017 0
35462 과연 프로리그 게임방식에 관한 문제인가? [9] 씨빌라이져4218 08/08/13 421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