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8/08/09 22:10:04
Name [LAL]Kaidou1412
Subject 삼성칸의 우승은 1년전의 경험과 함께 이루어졌다
1년전의 광안리에서의 4:0 셧아웃은 그때만의 충격이 아닌 오늘의 결과도 만들어낸거 같습니다.

결승전을 위해서 양팀다 어마어마한 연습을 했을겁니다 (당연하죠, 주중에 질리도록 하는 프로리그도 없었으니깐요)
하지만?
프로리그 결승을 보면서 느낀거는 딱 하나입니다

'경험은 역시 중요하구나'

아니라고 부인할 분들도 많겠지만, 오늘 삼성칸과 스파키즈의 경기력은 상당한 차이를 나타냈습니다.
이걸 어떻게 봐야할까요?
준플옵까지 정말 환상적인 경기를 보여준 선수들인데.. 결국은 신예 신상문 빼곤 다 지고마는 낭패를 보여줬군요.

절대 비꼬는게 아닙니다.
4월쯤만 해도 스파키즈는 좀 심한 말로 '신경도 안쓰는' 팀이었습니다. (그때 기록 보시면 이해가 갈겁니다. 절대 광안리 올 성적이 아니었지요)
기적의 스파키즈란 말을 스스로 느낄 정도로 그들이 광안리에 오르는 길까지의 행보는 가히 전율이었습니다.
초특급 신예 신상문의 분전에 힘입어 박찬수/박명수 형제의 비상에 힘 입어 기적의 8연승?(연승수는 잘 기억이 안나네요 죄송합니다)을 이루고 결승에 왔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기적의 스파키즈라 해도 삼성칸과의 큰 차이점이 있었으니..
삼성칸은 무려 3시즌동안 3번이나 결승에 오르는(오늘 포함해서) 경험만땅의 팀입니다.
이걸 타팀으로 비교하자면, 오버트리플크라운 시절 T1과 이스트로(......)의 결승이라고 봐도 됩니다.

양팀의 전력은 비슷비슷하다고 칠수 있어도, 결승에서의 경험과 마인드컨트롤 등등.. 오늘 경기들은 삼성칸의 압승이라고 봅니다.


개인적으로 삼성칸의 세레머니들은 그저 팬들을 즐겁게 한 요소뿐만 아닌, 스파키즈선수들의 사기를 꺾는 큰 역할을 했다고 봅니다.  특히 4경기에서 이성은이 김창희를 이기고 초폭렬 세레머니를 했을때.. 스파키즈는 이미 정신적으로 그로기 상태였을겁니다.



아무튼, 오늘 삼성칸은 완벽했습니다.  축하합니다



ps. 마지막 이승훈 선수의 노매너 파일런은.. 할말이 없군요. 꽤 오랫동안 까일 소스를 제공한 듯 합니다 (그래도 비난은 안 하겠습니다.. 안타까운 마음은 이해하니깐요.. 비록 관중들 보기엔 자폭플이었지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미소천사선미
08/08/09 22:12
수정 아이콘
삼성이 우승한 것은 좋지만...
저번 광안리도 그렇고 이번 광안리도 그렇고 이성은선수 세레머니 빼면 볼께 없네요...
애연가
08/08/09 22:13
수정 아이콘
오늘 너무 기쁩니다.

이제 가벼운 마음으로 쐬주 한잔 하러 갈 수 있곘네요.

1경기 보고 얼마나 맘을 조렸던지.

4경기에서 이성은 선수가 졌으면 ... 아~ 생각만 해도 끔찍합니다.
silberio
08/08/09 22:15
수정 아이콘
삼성 칸 축하하고 스파키즈도 수고했습니다만...
정말 세레모니빼고는 기대에 못 미치네요. 오늘 베이징에서 명승부가 많이 나와서 그런가ㅡㅡ;;
08/08/09 22:15
수정 아이콘
확실히 경기력은 실망이었고 세례모니만기억에남네요.
다음 팀리그때부터는 확실히 틀릴거라기대합니다.
[LAL]Kaidou1412
08/08/09 22:20
수정 아이콘
밥 세레머니는 좀 획기적이었지요
물론 상대가 먼저 x밥이라 했으니 -_-... 쌤통이란 생각마저 들었지만..

정말 라끄는 뭘 해도 성공할 겁니다
08/08/09 22:21
수정 아이콘
삼성 선수들 정말 축하드립니다.
WizarD_SlayeR
08/08/09 22:22
수정 아이콘
골수 임요환 이윤열 박성준선수 팬으로써 삼성전자칸은 그닥 스타가없기에 별로 관심없었지만

이제 인정안할래야 안할수가없군요 ~

특히 이성은, 송병구선수 정말 대단합니다~! 이성은선수 개인리그에서도 멋진모습보여주시길~!
08/08/09 22:22
수정 아이콘
오래전부터 기대했던결승인데
나름재밌게봤습니다.
두팀모두 수고하셨습니다.
김창희선수가 준비한 세레머니도 기대됬는데
이성은선수 세레머니가 너무강해서....만족합니다
08/08/09 22:22
수정 아이콘
티원의 오버트리플크라운 시절이면 이스트로는 헥사트론 시절이죠?
Kyrie_KNOT
08/08/09 22:24
수정 아이콘
겨울님// 이네이쳐 시절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5468 프로리그는 팀매치 방식이 될 수 밖에 없다. [69] 프렐루드5362 08/08/14 5362 2
35467 김태형 해설에 대한 짤막한 비판글 [36] 라울리스타15547 08/08/14 15547 0
35466 제가 생각해본 예전 팀리그와 현 프로리그의 접목한 새로운 리그 방식 [14] 후딱5166 08/08/14 5166 8
35465 위메이드, 최초로 지역연고 프로게임단 추진 [45] 보름달7771 08/08/13 7771 0
35464 리그 브레이커 박지수. [32] 펠쨩~(염통)8393 08/08/13 8393 0
35463 경남 STX 컵 플레이오프 선봉 엔트리~ [10] SKY925020 08/08/13 5020 0
35462 과연 프로리그 게임방식에 관한 문제인가? [9] 씨빌라이져4224 08/08/13 4224 0
35461 [알림] 신규 운영진 소개. [19] 메딕아빠4508 08/08/13 4508 0
35460 팀리그와 프로리그의 교점 - 팀 서바이벌 [14] 점쟁이4448 08/08/13 4448 1
35459 완전하지 못해도 팀배틀은 분명히 여러가지 장점이 존재한다. [27] 스갤칼럼가5942 08/08/13 5942 5
35457 오늘보여준 E스포츠의 구원투수 -팀리그- 장단점 [11] 100_NO4940 08/08/13 4940 0
35456 오늘 팀리그를 보고 생각난 리그 방식 [10] ranmov4221 08/08/12 4221 0
35455 팀리그 방식에 대한 변론 1) 혹사 2) 경기질 저하 3)선수출전축소 [29] 정테란4947 08/08/12 4947 0
35454 프로리그 연습과정 [22] opscv6139 08/08/12 6139 1
35453 오늘 팀배틀 재미있습니까? [34] 펠쨩~(염통)8563 08/08/12 8563 2
35452 모든것을 불태운 그들이여... [10] 신우신권5763 08/08/12 5763 3
35450 경남 STX컵 마스터즈 준플레이오프 입니다. (삼성 vs SK텔레콤) [405] 핫타이크8974 08/08/12 8974 0
35449 저테전, 3헷의 변화. [32] CakeMarry7314 08/08/11 7314 0
35448 본좌 논란과 춘추전국 시대 [40] 피스5695 08/08/11 5695 0
35447 인크루트 스타리그 36강 D조입니다. [102] 보름달5377 08/08/11 5377 0
35446 폭풍 [暴風] 홍진호. 잊혀지지 말아다오. [19] 구름지수~5139 08/08/11 5139 1
35445 오늘 wcg 워크래프트 경기 재미있었습니다. ^^ [11] Mr.Children5896 08/08/11 5896 0
35444 [공지] 본문 자동 복사 추가 및 사이트 변경 사항 안내. [14] anistar4666 08/08/10 4666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