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8/06/15 10:27:05
Name 신예ⓣerran
File #1 sef.JPG (79.2 KB), Download : 19
Subject 파이터포럼과 포모스에서도 찾을 수 없는 PGL 스타크래프트 부문에 대한 짧은 글 + α


 해외리그엔 전혀 참여하지 않을줄 않을 듯 했던 한국선수들이 PGL에 참여 했는지는 처음 알았습니다.
지난 IEF와 같은 리그는 한국 - 중국 교류 차원에서 열리는 대회이기 때문에 한국선수가 중국에 가서 리그를 치룬적은 있어도
중국 내 리그에 참여하는건 제가 생각하기로는 처음인 것 같습니다. (혹시 알고계시다면 리플에 써주세요 ^^)


 중국에서 열린 PGL 시즌3 에 참가한 한국선수는

Sparkyz_TaZZa 조재걸 선수 (Protoss / Ongamenet Sparkyz)
Sparkyz_Horang2 이경민 선수 (Protoss / Ongamenet Sparkyz)
NsP_Fancy 최지성 선수 (Terran / eSTRO)

 세명의 선수가 참가 해서 각각

 조재걸 선수는 [SvS]Fengzi (Zerg) 선수 상대로 결승전에서 3:0으로 승리를 거두며 우승을 차지했고
이경민 선수와 최지성 선수는 각각 MYM]White.Ra (Protoss) 선수와 [SvS]Fengzi 선수에게 져서 8강에서 탈락했습니다.

 조재걸 선수 축하드립니다.

-

+ α

 중국에서 열리는 리그들을 보면서 한국 스타크래프트 선수들도 중국리그에 지속적으로 참여 하는게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워크래프트3 선수들 같은 경우는 중국에서 열리는 모든 리그에 대부분 참가하고 있는데 반해 스타크래프트 선수들의 교류는 그리 많지 않은것 같습니다.

 지난 PGR에서 한국에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가 너무 많아 넘쳐 난다는 글을 봤었습니다. 그런 선수들을 그저 2군 평가전이나 팀플레이 멤버로 두기 보다는 중국쪽 리그에 참여하게 해서 경험을 쌓아 주는것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각 팀의 하위권 선수들이 우승 준우승을 떠나 좀더 많은 경험을 쌓게 해주는데 좋은 방안이 될 수 있을것 같습니다. 게다가 대부분이 단기 토너먼트 대회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참여하는데 부담이 크지 않고 대부분 경기가 Bo3 이상이라는 점을 생각했을때 다전제 경험까지 갖출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e스포츠에서 중국 시장은 굉장히 거대시장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비록 지금은 열악한 방송환경과 빈약한 상금등을 가지고 있지만 방송기술에 있어서 급속한 발전을 보이고 있고 이제 스스로 결승전 만큼은 대형 무대에서 치룰 수 있을만큼 발전을 해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 야외 무대 진출이 장재호 선수와 후앙 시앙 선수의 결승전 그것도 5경기에서 정전 사태를 일으키면서 최악의 평가를 받긴 했습니다만 -_-;;) 거대 시장이 되었을때의 그 막대한 상금들을 가지게 될 리그를 생각했을때 서로간의 교류를 단단히 다지면 후에 스타크래프트2와 같은 히트작이 될 가능성이 높은 게임들을 종목으로 하는 대회에 적극적으로 한국 선수들이 참여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돈과 관련한 문제등 여러가지가 있지만 분명 좋은 해결책이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PGR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하신지?





 필력이 달린 글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수정 1. 사진 추가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6/15 10:52
수정 아이콘
PGL은 이전부터 한국 선수들 (주로 프로팀 연습생~준프로 신분의 선수들)이 참여했습니다. 다른 대회는 모르겠네요...
택용스칸
08/06/15 11:29
수정 아이콘
최지성 선수 아프리카 클랜전에서도 많이 뵙던 그 선수인데..;;

아쉽게도 8강에서 탈락했지만 다음에는 우승을 차지 하시길..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4999 곰클래식 16강 1주차~ [237] SKY926411 08/06/22 6411 0
34998 감동을 주는 게임 [15] Cannavaro5462 08/06/22 5462 0
34997 피지알 첫글로 겜게에 보이는 글 2개에 대해 더 이야기해 보려 합니다, [47] Man4433 08/06/22 4433 1
34996 스타리그결승전방식을 좀개선할수있을까? - 리플또추가 [34] 거울소리4813 08/06/22 4813 0
34995 공군 ACE Vs. KTF 매직엔스 , eSTRO Vs. MBC Hero 불판 [93] 화이트데이5191 08/06/22 5191 0
34993 운 좋은 박성준 선수 [86] finmlhl7542 08/06/22 7542 1
34992 EVER 스타리그 2008 4강에 대해 [40] hysterical5870 08/06/22 5870 1
34991 마재윤 선수는 왜 이렇다할 라이벌이 없을까요? [60] Fim8946 08/06/21 8946 0
34990 프로리그 최다연승/최다연패기록. [10] 밀가리6225 08/06/21 6225 0
34989 6/21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SKT T1 VS STX Soul 광주 투어~ [227] SKY925577 08/06/21 5577 0
34988 [누구나 다 아는 스타이야기] - 각 팀별 메이저리그 우승자 현황 [13] 彌親男4944 08/06/21 4944 0
34987 으아아 이성은! 난 너를 싫어할수 없다!!! [30] [LAL]Kaidou14127237 08/06/21 7237 1
34986 6/21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르까프 VS 삼성 빅뱅 [278] SKY924972 08/06/21 4972 0
34985 2008. 06. 21. (土) 11주차 pp랭킹 [4] 택용스칸4336 08/06/21 4336 0
34984 [손찬웅] 그가... 4강...!! [10] 견우5066 08/06/21 5066 0
34983 [누구나 다 아는 스타이야기] - 각 팀별 메이저리그 출전 선수 보유 현황 [17] 彌親男6489 08/06/21 6489 0
34982 에버 스타리그 4강 맵순서가 나왔는데....... [65] SKY927264 08/06/20 7264 0
34981 흠.. 이정도면 저그의 완벽한 반격..아닌가요?? [47] 박지완8466 08/06/20 8466 0
34980 이영호 선수 ...... [40] 메렁탱크7821 08/06/20 7821 0
34979 EVER 2008 스타리그 8강 2회차~ [397] SKY926118 08/06/20 6118 0
34978 Zergology 12-2. - 한순간이라고 해도 우리는 마에스트로의 기적을 목격했습니다. [26] 펠쨩~(염통)7819 08/06/20 7819 11
34977 토스전 이렇게 하는 선수. 요즘 있나요?? [48] swflying9476 08/06/19 9476 0
34976 아레나 MSL 2008 8강 C조, 박지수 VS 김구현. [382] SKY926682 08/06/19 668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