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8/06/15 10:27:05
Name 신예ⓣerran
File #1 sef.JPG (79.2 KB), Download : 19
Subject 파이터포럼과 포모스에서도 찾을 수 없는 PGL 스타크래프트 부문에 대한 짧은 글 + α


 해외리그엔 전혀 참여하지 않을줄 않을 듯 했던 한국선수들이 PGL에 참여 했는지는 처음 알았습니다.
지난 IEF와 같은 리그는 한국 - 중국 교류 차원에서 열리는 대회이기 때문에 한국선수가 중국에 가서 리그를 치룬적은 있어도
중국 내 리그에 참여하는건 제가 생각하기로는 처음인 것 같습니다. (혹시 알고계시다면 리플에 써주세요 ^^)


 중국에서 열린 PGL 시즌3 에 참가한 한국선수는

Sparkyz_TaZZa 조재걸 선수 (Protoss / Ongamenet Sparkyz)
Sparkyz_Horang2 이경민 선수 (Protoss / Ongamenet Sparkyz)
NsP_Fancy 최지성 선수 (Terran / eSTRO)

 세명의 선수가 참가 해서 각각

 조재걸 선수는 [SvS]Fengzi (Zerg) 선수 상대로 결승전에서 3:0으로 승리를 거두며 우승을 차지했고
이경민 선수와 최지성 선수는 각각 MYM]White.Ra (Protoss) 선수와 [SvS]Fengzi 선수에게 져서 8강에서 탈락했습니다.

 조재걸 선수 축하드립니다.

-

+ α

 중국에서 열리는 리그들을 보면서 한국 스타크래프트 선수들도 중국리그에 지속적으로 참여 하는게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워크래프트3 선수들 같은 경우는 중국에서 열리는 모든 리그에 대부분 참가하고 있는데 반해 스타크래프트 선수들의 교류는 그리 많지 않은것 같습니다.

 지난 PGR에서 한국에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가 너무 많아 넘쳐 난다는 글을 봤었습니다. 그런 선수들을 그저 2군 평가전이나 팀플레이 멤버로 두기 보다는 중국쪽 리그에 참여하게 해서 경험을 쌓아 주는것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각 팀의 하위권 선수들이 우승 준우승을 떠나 좀더 많은 경험을 쌓게 해주는데 좋은 방안이 될 수 있을것 같습니다. 게다가 대부분이 단기 토너먼트 대회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참여하는데 부담이 크지 않고 대부분 경기가 Bo3 이상이라는 점을 생각했을때 다전제 경험까지 갖출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e스포츠에서 중국 시장은 굉장히 거대시장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비록 지금은 열악한 방송환경과 빈약한 상금등을 가지고 있지만 방송기술에 있어서 급속한 발전을 보이고 있고 이제 스스로 결승전 만큼은 대형 무대에서 치룰 수 있을만큼 발전을 해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 야외 무대 진출이 장재호 선수와 후앙 시앙 선수의 결승전 그것도 5경기에서 정전 사태를 일으키면서 최악의 평가를 받긴 했습니다만 -_-;;) 거대 시장이 되었을때의 그 막대한 상금들을 가지게 될 리그를 생각했을때 서로간의 교류를 단단히 다지면 후에 스타크래프트2와 같은 히트작이 될 가능성이 높은 게임들을 종목으로 하는 대회에 적극적으로 한국 선수들이 참여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돈과 관련한 문제등 여러가지가 있지만 분명 좋은 해결책이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PGR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하신지?





 필력이 달린 글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수정 1. 사진 추가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6/15 10:52
수정 아이콘
PGL은 이전부터 한국 선수들 (주로 프로팀 연습생~준프로 신분의 선수들)이 참여했습니다. 다른 대회는 모르겠네요...
택용스칸
08/06/15 11:29
수정 아이콘
최지성 선수 아프리카 클랜전에서도 많이 뵙던 그 선수인데..;;

아쉽게도 8강에서 탈락했지만 다음에는 우승을 차지 하시길..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6757 오늘의 프로리그 위너스 리그 - CJ 대 웅진 / 온게임넷 대 MBC게임 [371] The xian5498 09/01/21 5498 0
36756 '비르투오조' 전용준, '마에스트로' 김철민 [126] legend12653 09/01/21 12653 22
36755 "운이 좋다" 혹은 "잘한다" [40] Xell0ss6390 09/01/21 6390 0
36754 어떤 해설이 좋으세요? [159] aura11202 09/01/21 11202 1
36752 이게 'Star'craft 에요! 이게 e-sports 에요! [18] kEn_8403 09/01/20 8403 5
36751 스타를 보면서 감동을 느낀 몇 안되는 순간중 하나. [29] JayHova8892 09/01/20 8892 8
36750 온게임넷! 지금이 달려나갈때에요! [74] Cand8211 09/01/20 8211 0
36749 인간의 적절한 스릴은 생활에 큰 즐거움. [8] Claire4128 09/01/20 4128 0
36748 지금껏 위너스 리그를 보고 들은 생각들.... [40] 라울리스타7042 09/01/20 7042 0
36746 오늘의 프로리그 위너스 리그-KTFvsSKT/공군vs삼성(6) [400] SKY928502 09/01/20 8502 0
36745 오늘의 프로리그 위너스 리그-KTFvsSKT/공군vs삼성(5) [486] SKY926731 09/01/20 6731 0
36742 오늘의 프로리그 위너스 리그-KTFvsSKT/공군vs삼성(4) [403] XeLNaGa5010 09/01/20 5010 0
36741 오늘의 프로리그 위너스 리그-KTFvsSKT/공군vs삼성(3) [433] SKY925069 09/01/20 5069 0
36740 오늘의 프로리그 위너스 리그-KTFvsSKT/공군vs삼성(2) [340] SKY925300 09/01/20 5300 0
36739 오늘의 프로리그 위너스 리그-KTFvsSKT/공군vs삼성 [342] SKY926373 09/01/20 6373 0
36738 오늘 저녁 공군 박정석 선수의 선전을 간절히 기도합니다. [71] Bikini7168 09/01/20 7168 1
36737 본방사수를 못하는 1인의 프로리그 딜레마 [19] TaCuro5113 09/01/20 5113 0
36736 온겜, 엠겜은 재방 시청자들을 배려해 주십시요. [33] 루카와7461 09/01/20 7461 0
36735 공군 에이스에 관한 생각 [75] 사랑합니다6701 09/01/20 6701 0
36734 회상해보는 올킬의 순간. [33] 보름달9007 09/01/19 9007 1
36733 등급별 종족 벨런스 [19] 김연우8083 09/01/19 8083 14
36732 상문예찬 [17] 허풍저그6481 09/01/19 6481 2
36731 리버스 스윕(reverse sweep), 과연 언제 탄생할까? [28] 양찬군주6406 09/01/19 6406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