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8/02/15 00:24:25
Name legend
Subject 다섯번째 패러다임, 멀티태스킹. 그리고 패러다임의 충돌.
첫번째 패러다임인 마이크로, 두번째 패러다임 매크로, 세번째 패러다임 전술, 네번째 패러다임 운영.

그리고 현재 이제동과 김택용 두 선수가 보여주는 신시대의 패러다임은 위에서 말했듯이 반사신경입니다.

좀 더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멀티태스킹입니다. 세번째와 네번째 패러다임은 육체적인 능력보단 정신적

인 측면이 강조되는 패러다임이었습니다. 마이크로와 매크로의 시대 이후 스타 프로게이머들의 화두는

이미 전대의 두 패러다임을 완전 흡수하여 상향평준화가 된 육체적인 능력이 아닌 판단력, 집중력, 결단력

등을 시험하는 정신적 능력이었습니다. 하지만 현재에 이르러, 타 프로게이머들이 한계라고 생각했던 벽

을 뛰어넘은 자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 대표적인 주자가 바로 이제동과 김택용입니다.

멀티태스킹은 육체적 능력입니다. 빠른 반사신경과 컨트롤이 요구되는 스킬이지요. 제1전투와 제2전투,

그리고 생산이 딱딱 맞물려져 기존 멀티태스킹과 차원이 다른 플레이가 펼쳐집니다.

이제동과 김택용, 두 선수의 경기를 보면 게임이 빨라보입니다. 같은 게임인데도 저 두 선수의 게임은

시청자와 옵저버가 따라올 수 없을만큼 정신없이 게임 안에서 명령이 이루어집니다. 그 속도를 감당하

지 못하는 일반 프로게이머들은 현기증이 나서 쓰러져 버리는것이죠. 나는 1분의 게임을 진행했는데

저 두 사람은 1분 30초대의 게임을 진행하고 있다...한마디로 저 둘의 게임은 다른 이들보다 한발짝 더

앞서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러니 승리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므로 저들을 상대하려면 현재의 상황뿐만 아니라 미래의 상황까지 '예측' 해야 합니다. 혹은 저들

과 같은 수준의 멀티태스킹을 보유해야 합니다. 그렇지 못한 게이머들이 저들을 이기는 방법은 천운이

나 상대의 컨디션이 안 좋다거나 할 때 밖에 없죠.

이제동과 김택용, 이 두 선수의 등장으로 저는 양산형의 시대가 주춤할꺼라 예측합니다. 저 둘은 양산형

플레이만으로 잡을 수 있는 존재가 아닙니다. 기존의 승리공식이 저들에게 적용되지 않는단 말입니다.

공식대로 문제를 풀이하려면 어느 정도 시간이 필요한데 이제동과 김택용은 뛰어난 두뇌로 순식간에

암산으로 답을 내립니다. 제아무리 뛰어난 공식을 대입해서 문제를 풀더라도 기본적인 지능 차이에서

차이가 큰 것입니다.

현재 프로토스 진영에선 흥미로운 일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각 시대의 패러다임을 주무기로 삼은 게이머

들이 현 프로토스 수좌를 차지하고 있는 김택용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제5의 패러다임, 멀티태스킹의 김택용을 제압할 자.

제1의 패러다임 마이크로의 윤용태

제2의 패러다임 매크로의 도재욱

제3의 패러다임 전술의 박영민

제4의 패러다임 운영의 송병구

그 외에 오영종과 같은 종합형 게이머나 김구현같은 훌륭한 원석도 있습니다.

프로토스를 통해서 스타계를 지배해왔던 패러다임들이 충돌하려 합니다. 정말 흥미로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현 시대는 프로토스의 부흥기입니다. 물론 테란의 압도적인 물량과 구시대 패권 보유자로써의

영향력이 남아있긴 하지만 현재의 대세는 프로토스입니다. 그 안에서 마재윤-이제동으로 이뤄

지는 저그의 원톱 체제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 상황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이 제시되었습니다. 이번 패러다임이 신시대의 이름이 되어 새롭

게 열릴 것인지 궁금해지네요.








ps.밑의 글을 읽고 한번 써봤습니다. 리플로 달기엔 글이 길어질꺼 같아서 글로 썼는데 생각

보단 양이 적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2/15 00:40
수정 아이콘
그래도 토토전은 송병구가 짱
매콤한맛
08/02/15 00:42
수정 아이콘
마치 무림에서 상대의 움직임을 느려보이게 하는 궁극의 기술을 시전하며 싸우는 느낌이랄까요?
이제동과 김택용은 그런 느낌입니다.
테란나이트
08/02/15 00:46
수정 아이콘
저그vs테란에서의 테란은 멀티태스킹능력이 떨어지면 확실히 게임상의 티가나는듯합니다.
특히 어느새 어택당해놓은 마린부대가 럴커에 쓸리고 있는 상황을 보자니.. ㅠㅠ
08/02/15 00:49
수정 아이콘
여담이지만 프로토스의 부흥기를 일으키는데 맵들도 한몫했죠. 카트리나,몽환,로키의 오랜 사용...
특히 로키는 뒷마당 가스멀티를 쉽게 확보할 수 있어서 3가스 이후의 엄청난 폭발력을 보여주는 김택용 선수의 맵이죠.
하늘하늘
08/02/15 05:21
수정 아이콘
뻘이님//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어떤 맵이라도 대부분 프로토스가 할만하거나 좋거나 하죠.

특히 프로리그에서 쓰여진 맵들이 프로토스가 좋은 맵이 많아짐으로 해서
팀의 연습이 모두 프로토스선수에게 집중되는 측면은 프로토스선수의 비약적인 성장을 가져다 줬다고 봅니다.
제3의타이밍
08/02/15 06:18
수정 아이콘
다른 토스 들도 마찬가지겠지만 김택용 선수에게는 3개스를 쉽게 가져갈 수 있는 전장이 주어지면
최고의 플레이를 선사하죠... 블루스톰에서 약한 이유가 그것인듯 이기도 하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6252 오늘 도재욱 팬들한테는 그저 덩실덩실 [19] 다음세기7040 08/12/10 7040 0
36251 오늘의 프로리그- 온게임넷vsSK / KTFvs웅진 [96] 청순가련순수6113 08/12/10 6113 1
36250 LIVE란건 생중계일까? 생방송일까? [11] 프렐루드5637 08/12/10 5637 0
36246 그래도 저그인 이유. [23] CakeMarry4889 08/12/10 4889 0
36245 저그의 위기에 대해서... [26] 보통5795 08/12/10 5795 0
36242 SKT1- 웅진 팀배틀 최연성 선수 등장하네요. [239] 하수태란10023 08/12/09 10023 0
36241 16인의 이야기4. - 이윤열 [42] 王非好信主5688 08/12/09 5688 2
36240 왜 우리는 차별에 익숙한가? [56] TaCuro6267 08/12/09 6267 1
36237 SKT1 vs 웅진 스타즈 팀 배틀 1일차 [20] 허느님맙소사7995 08/12/09 7995 0
36236 하얗게 불태워버린 후. [24] legend6884 08/12/09 6884 11
36235 이영호선수가 다른팀으로 이적한다면!! [26] pharmacist7584 08/12/09 7584 1
36233 마이스타 카페를 돌아다니다가 한 글을 보고[그저 뜬금없는KTF응원글] [15] HaSSaD5098 08/12/08 5098 0
36232 이성은vs이제동 - 1편만한 속편 없다?! [29] 호수청년8379 08/12/08 8379 2
36230 현재 테vs저, 프vs저 밸런스가 심각한 지경입니다 [275] 산화10864 08/12/08 10864 2
36229 낭인왕 폭군, 제 21회 - 래두 수나이부(來逗 壽娜移夫) 진영수 - [12] aura4784 08/12/08 4784 0
36228 오늘의 프로리그-삼성vs르까프/CJvsMBCgame [307] SKY925438 08/12/08 5438 0
36225 스타크래프트 Legend Top 10 - 12월7일 투표결과. [25] legend7226 08/12/07 7226 1
36224 근심 [16] ToGI5696 08/12/07 5696 0
36223 이제동의 복수혈전? 이성은의 더큰충격선사? [47] 처음느낌9343 08/12/07 9343 0
36222 곰 tv 클래식 도재욱 vs 김정우 [131] 지니-_-V6442 08/12/07 6442 0
36221 IEF 2008 결승전 대박 3경기 (.rep 포함) [76] WizarD_SlayeR8365 08/12/07 8365 0
36219 스타크래프트 Legend top10 을 뽑아주세요. [127] legend5618 08/12/07 5618 0
36217 오늘의 프로리그-웅진vsSKT/KTFvs온게임넷(2) [56] SKY924466 08/12/07 446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