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8/01/27 21:07:21
Name 낭만토스
Subject 승부는 조금의 차이가 갈랐다.



CJ 엔투스  르까프 Oz



결승 직행한 정규시즌 1위

오영종 이제동의 초강력 원투펀치를 가진 르까프 Oz


플레이오프의 주인공

전 선수의 에이스화 전통의 명가 CJ 엔투스


그 둘의 결승전은 충분히 대박 매치가 이루어지기에 손색이 없었다.




1경기 변형태 VS 이제동

30여분간의 기나긴 혈투

1경기의 결과는 오늘 결승전의 무게감과 양 팀의 강력함을 대변해주는 듯 했다.

그리고 오늘 7경기까지의 그림을 대략적으로 보여주는 듯 했다. 마치 오늘의 혈전을 예고해 주는 것 처럼.....



그러나 2경기부터는 조금의 차이가 승부를 갈라버렸다.




탱크와 드라군의 미묘한 차이. 그 틈을 비집고 들어간 캡틴 박영민



성안길....그 많은 길중에서도 최고의 위치를 찰나의 순간 먼저 차지한 서지훈



서플라이 하나만 더 지어져 있었다면, 혹은 드라군이 1초만 늦게 달려들었더라면

탱크가 몇CM만 떨어져 있었다면... SCV가 1초만 빨리 블록킹을 했더라면...?

초반 벌처에 의해 불리해진 경기... 일반인의 눈에는 보이지도 않는 그 미세한 틈을 찔러버린 오영종의 드라군



드론이 1~2초만 빨리 나왔더라면? 저글링이 조금만 있었다면?

혹은 성큰 3개와 4개의 차이.... 그 성큰 하나의 차이를 놓치지 않은 박지수의 날카로운 돌파




그리고

6경기.... 벌처를 완벽히 감싸지 못한...그 드론 1기의 틈...

그 틈을 장육은 눈물로 매꿀 수 밖에 없었다.




이 모든 작은 틈 하나가 오늘의 승부를 갈라버렸다.




치고 받는 혈전은 없었다. 그러나 이 작은 실수, 작은 틈, 작은 방심으로 승부가 결정되는 것을 보면

이 프로게임계에서 얼마나 살아남기가 힘든지를 알 수 있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너이리와봐
08/01/27 21:09
수정 아이콘
그게 바로 실력차고요 .. 실력차 없다고 하지만. 어차피 이바닥 에서는 승자와패자 ... 존재하니까 어쩔수없이 그미세한차이가 실력이될수있져
오르페우스
08/01/27 21:10
수정 아이콘
1경기를 제외하곤 대부분 약간의 차이가 승부를 가른정도이죠
재미로만 따지면 준플옵이나 플옵이 더 나았다고 전 생각합니다.
특히 6경기는.CJ쪽에서 약간 불운도 따랐구요.
역시 르까프는 원투펀치를 무너뜨려야 이길수 있나 봅니다.
그나저나 CJ는 저번주까지 최고의 한주였다가 이번주는 최악의 한주네요
박영민선수를 제외한 한상봉/권수현/마재윤/서지훈이 개인리그 전패에 준우승까지..
마음의손잡이
08/01/27 21:16
수정 아이콘
너이리와봐님// 동감합니다. 대진운,맵순운 이라고 하는 요소도 이런 것과 다를 바없다고 봅니다.
darksniper
08/01/27 21:17
수정 아이콘
삼산체육관에서 지금 막 집에 도착했습니다
딱히 응원한 팀은 없었지만 cj쪽에서는 정말 5,6경기가 아쉬울거에요.
08/01/27 21:17
수정 아이콘
조금의 찰라가 승패를 결정했다는 말씀에 반은 동의하고 반은 반박합니다.
김성기 선수의 서플 바리케이트가 이루어진 시점에서 본진에 엔베가 올라갔습니다. 그걸 바리케이트용으로 지을 수 있는 시각은 '찰라'가 아니었습니다. 마찬가지로 한상봉 선수도 동일합니다. 승부가 찰라가 아닌 장기전의 운영으로 끌고 갈수 있는 것을 '찰라'로 변경한 것은 패배한 선수의 선택이었습니다.
하지만 승패가 결론난 것을 사후에 약방문을 쓰는 것은 아쉬움이니 선수에 대한 질타로 이어지지 않길 바랍니다.
오우거
08/01/27 21:21
수정 아이콘
작년에 이어 올해도 똑같은 6차전에서 마지막 gg를 치고 만 주현준 선수 ㅠ.ㅠ

지못미....
찡하니
08/01/27 21:21
수정 아이콘
솔직히 말해서 구성훈 선수나 한상봉 선수는 꽤 큰 틈이었습니다. 그냥 안들어 오겠지 넋놓고 있다가 진 경기라고 생각이 드네요.
카르패디엠
08/01/27 22:06
수정 아이콘
그나 저나 한상봉선수까지 이겼으면 엄옹 대박 나는 거였는데...설마 설마 했는데...결국 안됐내요..
08/01/27 22:50
수정 아이콘
오늘 오영종 선수의 찌르기가 정말 환상이었습니다.
별다방
08/01/28 01:00
수정 아이콘
강한 사람이 이기는게 아니고 이긴 사람이 강하다곤 하지만..

오늘 르까프는 강했고 이겼습니다.

하나의 차이가 승과 패를 가른다고 하지만

그 하나의 차이를 만들었기 때문에 이겼다고 생각합니다.

CJ가 못했다기 보단 르까프가 잘한 것 같네요.

하지만 다음 시즌은 CJ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3841 옮긴 글) "저저전 개괄" [17] Judas Pain8954 08/02/04 8954 19
33840 왕이여 일어나세요. [8] 사랑과우정5741 08/02/04 5741 2
33839 [프로리그의 발자취] (1) - KTF EVER 프로리그 [15] 彌親男5106 08/02/03 5106 0
33836 MSL식 토너먼트 vs 스타리그식 토너먼트 [25] S@iNT6126 08/02/03 6126 0
33835 신한은행 프로리그 통합챔피언전 맵이 발표되었습니다. [9] 행복한 날들5851 08/02/03 5851 0
33834 "MSL우승=최고의실력자" 라는 의미는 이제 없습니다. [70] 매콤한맛10443 08/02/03 10443 1
33833 곰 TV MSL 시즌 4, 8강전 대진표가 아주 알찹니다. [31] SKY927842 08/02/03 7842 0
33832 육감 [18] 점쟁이5707 08/02/03 5707 0
33830 내가 누구냐? [48] 종합백과8901 08/02/03 8901 11
33828 8강에서 최고의 테저전을 보겠군요. [55] SKY928132 08/02/02 8132 0
33827 [스타구경] 온게임넷 박카스 스타리그 16강 5회차 [4] ls4933 08/02/02 4933 0
33826 게이트의 극의/하이테크의 비기 -update- [41] Judas Pain9923 08/02/02 9923 34
33824 [설탕의 다른듯 닮은]염보성과 호비뉴 [14] 설탕가루인형5728 08/02/02 5728 7
33823 박영민선수? 조금은 불안한데 계속 이기는 선수? [37] Xell0ss7046 08/02/01 7046 0
33822 스타리그 16강 재경기 맵순서가 나왔네요. [27] kama6027 08/02/01 6027 0
33821 개인리그와 프로리그의 비중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2] 프렐루드4964 08/02/01 4964 0
33820 모두가 재미없다던 팀플... 과연 트로이는 어떨까요? [18] GoThree5000 08/02/01 5000 1
33818 송병구우우우~!! [58] 종합백과7088 08/02/01 7088 0
33815 그랜드파이널 맵순서도 나왔네요. [19] SKY924887 08/02/01 4887 0
33814 스타챌린지 예선대진표 발표되었습니다.(+서바이버 예선대진표도요~) [39] SKY927177 08/02/01 7177 0
33813 2008년 2월 KesPA 랭킹이 업데이트 되어있습니다. [15] 택용스칸6294 08/02/01 6294 0
33810 훌륭합니다. 이재호선수. [66] SKY9210322 08/01/31 10322 1
33809 신맵 트로이의 경기양상 및 맵 밸런스 [12] 노맵핵노랜덤6865 08/01/31 686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