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12/14 13:51:42
Name 하성훈
Subject 무결점의 총사령관의 승전보를 기다리며...
지난 GomTv 시즌2 결승전의 리턴매치가 온게임넷 스타리그 4강 제2경기에서 성사가 되었습니다.
기적의 혁명가와 무결점의 총사령관의 당대 현존하는 프로토스 중
누가 가장 강한 프로토스인가를 정하는 싸움이 이제 곧 시작되게 됩니다.

GomTv 시즌2 결승전이 어림풋이 기억이 납니다. 그 당시 무결점의 총사령관은 기적의 혁명가의 날카로운 비수에
자신만의 최강의 무기인 무결점을 빼앗겨 버린 체 1,5경기 전장 로키에서 두 번 만나 모두 패하며
MSL 우승자의 자리를 내주었던 그때가 말이지요.

송병구 선수의 팬으로서 저는 이러한 바람을 가져 봅니다. 이제는 그러지 않길 바랍니다.
저는 송병구 선수가 가진 최강의 무기는 다름아닌 자신의 별명에 담긴 무결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무런 결점이 없고 아무런 빈틈도 없는 그야말로 완벽한 무결점말이지요.

그런데 지난 기적의 혁명가와의 다전제에서는 그만의 최강병기인 무결점을 기적의 혁명가의 날카로운 비수에
빼앗겨 버리지 않았습니까?

오늘 온게임넷 4강전 경기는 올해 최고의 활약과 포스를 보여주었지만 개인리그 우승의 커리어를 쌓지 못한 송병구 선수의 중요한 일전이 될 것입니다. 기적의 혁명가가 넘어선다면 마에스트로, 대인배가 아닌 저그에겐 무서움을 느끼지 못하는 무결점의 총사령관이기에 자신이 그렇게도 염원하던 개인리그 우승자 자리에 올라설 수 있습니다.

오늘만큼은 자신만의 최종병기 무결점을 빼앗기지 않고 기적의 혁명가에게 가르쳐 주십시오. 나의 무결점은 너의 날카로운 비수에게 더이상은 지지 않는다는 것을...

Ps. 너의 최고의 무기 무결점을 날카로운 비수에 매혹되어 빼앗기지만 않는다면 너는 반드시 넘어설 수 있을 것이다. 기적의 혁명가를...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종합백과
07/12/14 13:58
수정 아이콘
거의 동신간에 글을 올렸네요. 평소라면 제 글을 이 덧글로 달았겠지만, 오늘은 응원을 위함이니 그냥 독립 글로 남기렵니다. ^^;

좋은 글 잘읽었습니다. 병구 선수! 우승합니다.
happyend
07/12/14 14:00
수정 아이콘
제국의 운명을 건 혁명가와 총사령관의 에버벌 대혈투가 벌어지겠군요.
아이어의 영광은 누구의 차지가 될지...두두두두둥
My name is J
07/12/14 14:12
수정 아이콘
많은 이들의 기대를 받으며 시작했지만 그만큼 많은 실패도 좌절도 맛본 선수입니다.
실수와 부주의로 승리를 놓치는 일은 없겠지요.
신중함과 진중함..단단함을 바라고 있습니다.

병구선수 화이팅!
sway with me
07/12/14 15:02
수정 아이콘
두 선수 모두 좋아하고 응원하지만,
택용 선수가 지는 것보다, 병구 선수가 지는 쪽이 조금 더 마음이 아플 것 같군요.
의외로 큰 무대에서 실수를 보여주곤 했던 병구 선수.
오늘은 실수하지 마세요.
실수하지 않는다면, 다전제에서 병구 선수를 이길만한 선수는 찾기 힘들 것 같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5467 김태형 해설에 대한 짤막한 비판글 [36] 라울리스타15534 08/08/14 15534 0
35466 제가 생각해본 예전 팀리그와 현 프로리그의 접목한 새로운 리그 방식 [14] 후딱5156 08/08/14 5156 8
35465 위메이드, 최초로 지역연고 프로게임단 추진 [45] 보름달7762 08/08/13 7762 0
35464 리그 브레이커 박지수. [32] 펠쨩~(염통)8382 08/08/13 8382 0
35463 경남 STX 컵 플레이오프 선봉 엔트리~ [10] SKY925012 08/08/13 5012 0
35462 과연 프로리그 게임방식에 관한 문제인가? [9] 씨빌라이져4215 08/08/13 4215 0
35461 [알림] 신규 운영진 소개. [19] 메딕아빠4498 08/08/13 4498 0
35460 팀리그와 프로리그의 교점 - 팀 서바이벌 [14] 점쟁이4436 08/08/13 4436 1
35459 완전하지 못해도 팀배틀은 분명히 여러가지 장점이 존재한다. [27] 스갤칼럼가5929 08/08/13 5929 5
35457 오늘보여준 E스포츠의 구원투수 -팀리그- 장단점 [11] 100_NO4926 08/08/13 4926 0
35456 오늘 팀리그를 보고 생각난 리그 방식 [10] ranmov4208 08/08/12 4208 0
35455 팀리그 방식에 대한 변론 1) 혹사 2) 경기질 저하 3)선수출전축소 [29] 정테란4936 08/08/12 4936 0
35454 프로리그 연습과정 [22] opscv6127 08/08/12 6127 1
35453 오늘 팀배틀 재미있습니까? [34] 펠쨩~(염통)8553 08/08/12 8553 2
35452 모든것을 불태운 그들이여... [10] 신우신권5750 08/08/12 5750 3
35450 경남 STX컵 마스터즈 준플레이오프 입니다. (삼성 vs SK텔레콤) [405] 핫타이크8966 08/08/12 8966 0
35449 저테전, 3헷의 변화. [32] CakeMarry7306 08/08/11 7306 0
35448 본좌 논란과 춘추전국 시대 [40] 피스5685 08/08/11 5685 0
35447 인크루트 스타리그 36강 D조입니다. [102] 보름달5370 08/08/11 5370 0
35446 폭풍 [暴風] 홍진호. 잊혀지지 말아다오. [19] 구름지수~5132 08/08/11 5132 1
35445 오늘 wcg 워크래프트 경기 재미있었습니다. ^^ [11] Mr.Children5887 08/08/11 5887 0
35444 [공지] 본문 자동 복사 추가 및 사이트 변경 사항 안내. [14] anistar4659 08/08/10 4659 2
35443 이제동 뮤탈의 비밀? [31] 이리13527 08/08/11 1352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