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10/24 19:31:50
Name 메딕아빠
Subject @@ 프로리그 최고의 Starter 는 누구 ?

프로리그 정규시즌 경기순서별 전적데이터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그 중 1경기 전적에 대한 데이터를 간략히 분석해 보겠습니다.

프로리그 경기 중 1경기는 경기의 흐름을 좌우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1경기의 승리팀이 최종 승리팀이 될 확률이 높은 것도 아마 이 때문이 아닐까 싶네요.

2007년 프로리그 정규리그(포스트시즌 제외)에는 총 96명의 선수가 1경기에 출전을 했습니다.
종족별로 보면 저그 35승 52패 / 테란 71승 63패 / 프토 65승 56패 의 전적을 기록 하였습니다.

프로리그 최고의 Starter 는 누구 ?
MBCgame Hero 의 염보성 선수입니다.
염보성 선수는 1경기에 출전하여 13승 1패라는 놀라운 성적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MBCgame Hero 팀의 입장에서는 무조건 염보성 선수를 1경기에 출전시키고 싶을만한 수치입니다.
이어서 윤용태 선수가 11승 3패, 송병구 선수가 8승 3패,
김구현 선수가 7승 3패, 박지수 선수가 5승 1패의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있습니다.

그럼 그 반대의 선수는 ?
공군 ACE 팀의 조형근 선수는 1경기에 5번 출전해서 모두 패하는 저조한 성적을 기록 중입니다.
신희승,허영무 선수도 1승 5패의 부진한 성적을 거두고 있으며
김동주, 김환중 선수도 1승 4패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팀별 1경기 성적을 살펴보면
예상대로 MBCgame Hero 팀이 20승 8패의 높은 승률을 기록 중이며
르까프 OZ 팀도 18승 9패의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고
온게임넷 SPARKYZ 가 16승 12패, STX Soul 16승 13패로 뒤를 잇고 있습니다.
반면 공군 ACE 팀은 9승 20패로 1경기의 승리가 절실히 필요한 상황입니다.
이스트로팀도 11승 17패라는 부진한 성적을 기록 중입니다.


다음 번에 ACE 결정전 데이터를 간략히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이하 프로리그 1경기 선수별 승패 데이터 )
염보성          13        1
윤용태          11        3
송병구          8        3
김구현          7        3
오영종          6        3
이제동          6        3
서기수          6        5
박지수          5        1
박찬수          5        2
이윤열          5        3
고인규          4        1
박명수          4        1
전상욱          4        1
김윤환K          4        4
임요환          4        4
이영호          3        0
변형태          3        1
도재욱          3        2
박문기          3        2
성학승          3        2
강민          3        3
마재윤          3        3
박정욱          3        3
김성기          3        5
고석현          2        0
박대경          2        0
안상원          2        1
이성은          2        1
이승훈          2        1
이재호          2        1
한동훈          2        1
박세정          2        2
박종수          2        2
박지호          2        2
김윤환S          2        3
박영민          2        3
신상문          2        3
김성진          1        0
김승현          1        0
김윤중          1        0
박성준S         1        0
박성진          1        0
배병우          1        0
안기효          1        0
장용석          1        0
장육          1        0
최연성          1        0
서지훈          1        1
이학주          1        1
정명호          1        1
홍진호          1        1
김동건          1        2
김택용          1        2
나도현          1        2
한동욱          1        2
김원기          1        3
김준영          1        3
박성준T          1        3
이재훈          1        3
김동주          1        4
김환중          1        4
신희승          1        5
허영무          1        5
김명운          0        1
김성제          0        1
김세현          0        1
김재춘          0        1
노준동          0        1
박대만          0        1
박상우          0        1
박영훈          0        1
박용욱          0        1
박태민          0        1
변길섭          0        1
손영훈          0        1
손주흥          0        1
오충훈          0        1
정명훈          0        1
조일장          0        1
진영수          0        1
차재욱          0        1
최인규          0        1
김동현          0        2
박성균          0        2
박재혁          0        2
변은종          0        2
신상호          0        2
원종서          0        2
임동혁          0        2
조용호          0        2
주영달          0        2
한승엽          0        2
박정석          0        3
주현준          0        3
조형근          0        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the hive
07/10/24 19:38
수정 아이콘
프로리그 최악의 스타터는 조형근선수로군요 ㅠㅠ
엘렌딜
07/10/24 22:04
수정 아이콘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그런데 염보성 선수의 이상하리만큼 개인리그에서의 부진은 한번 심도있게 연구해봐야 할 대상 아닌가요??
프로리그에서 날렸던 김준영, 송병구 선수 모두 이제 개인리그에서도 우승과 준우승을 기록하며 실력을 보여줬고 이제동 선수도 계속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죠. 염보성 선수는 도대체 어떻게 된 건지 설명이 안되네요.
노력의천재
07/10/24 22:07
수정 아이콘
염보성 선수는 내년쯤 빛을 보려나...
홍승식
07/10/24 22:09
수정 아이콘
과거 단체전 최고의 1번타자였던 전상욱 선수가 생각나네요.
요즘 전상욱 선수도 좀 소강상태인데, 염보성 선수도 잘 나갈 때 타이틀을 따지 못하면 페이스를 이어가기가 쉽지 않을 듯 합니다.
초보저그
07/10/24 22:36
수정 아이콘
낭중지추라고 프로리그만 잘하는 것 같이 보이던 선수들도 조금 기다리면 결국 개인리그에서 빛을 보더군요. 솔직히 예전에는 제가 특정맵이나 특정 종족전에 특화된 프로리그용 선수들이라고 생각했던 전상욱, 이제동, 윤용태 선수 등이 개인리그에서 활약하는 모습을 보면서 제 생각이 틀렸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볼텍스
07/10/24 22:59
수정 아이콘
여.. 염보성!
타마마임팩트
07/10/24 23:21
수정 아이콘
여.. 염보성! (2)
우왕... 굳
성야무인
07/10/24 23:44
수정 아이콘
여.. 염보성! (3)
timedriver
07/10/25 00:00
수정 아이콘
마.. 마재윤!
도시의미학
07/10/25 00:00
수정 아이콘
염보성 선수 작년에만 하더라도 김택용선수보다 더 주목받았던거 같은데, 경기를 본적은 몇 번 없지만 이렇게까지나 개인리그 성적이 안좋다는건 뭔가 있는건가요-_-;;
미운오리
07/10/25 00:04
수정 아이콘
로얄로더 후보였을떄 박명수 선수를 잡고 올라갔다면 개인리그성적도 엄청 좋았을꺼 같네요...그때 박명수선수와 붙기 전까지만 해도 분위기가 엄청 좋았으니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4359 제 3 리그의 출발. 곰티비 클래식. [52] 펠쨩~(염통)9761 08/03/17 9761 0
34358 이영호선수를 보며 이윤열선수를 느끼다. [37] Yes8208 08/03/17 8208 4
34357 패배주의에 젖어있었던 KTF의 팬이.... [21] 구아르 디올라6157 08/03/17 6157 1
34355 이번 결승전에 관한 아쉬움의 표현들... 그리고... [19] 5571 08/03/16 5571 0
34354 온겜넷 엠겜넷 제작진에 바란다. 제발 기본을 지키자 [68] 느낌10492 08/03/16 10492 0
34352 죽어있다 송병구, 일년동안 발전한게 하나도 없군. [26] 드림씨어터9283 08/03/16 9283 1
34346 기동전 [24] 김연우11323 08/03/16 11323 37
34342 MSL 역대 최고의 다전제(5전3선승제)는? [49] 당신은저그왕9263 08/03/16 9263 1
34341 댓글잠금 어제 3경기 해설에 대해 (오해의 소지가 있어 부득이하게 제목을 바꿉니다) [126] 하얀나비23352 08/03/16 23352 3
34339 2008. 3. 16 pp랭킹 [6] 택용스칸4862 08/03/16 4862 1
34338 프로토스 암울론은 그저 팬심이 빚어낸 핑계에 불과하다. [31] 마음속의빛6823 08/03/16 6823 1
34337 경기에서 졌는데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30] 꼭데페6215 08/03/16 6215 1
34336 다음(NEXT) 온게임넷 스타리그 스폰서는 에버일 것 같습니다. 그밖에 방송개편에 대해 [24] Alan_Baxter8447 08/03/16 8447 0
34335 총사령관은 왜 프로토스의 강점을 포기했을까, .. [4] Lupus5717 08/03/16 5717 0
34333 송병구선수 패인분석 [15] 4thrace5840 08/03/16 5840 1
34332 스타관련리그 결승전은 7전 4선승제 확실히 해야하지 않을까 싶어요. [30] 샤르미에티미6278 08/03/16 6278 0
34331 오늘 결승에서 아쉬웠던 한가지. [12] 핫타이크4969 08/03/16 4969 0
34330 데뷔 초기의 송병구 & 이영호 [2] S@iNT5108 08/03/16 5108 0
34329 송병구 선수...죄송합니다...너무나도 죄송합니다... [26] 휀 라디엔트9582 08/03/15 9582 2
34328 이영호의 믿음 [37] sylent9934 08/03/15 9934 34
34326 3경기에서의 벌쳐의 시야? 그리고 김캐리의 저주 [35] 후크의바람8991 08/03/15 8991 1
34324 송병구의 전투력은 프로게이머 최고다 [14] 낭만토스7301 08/03/15 7301 4
34323 이영호선수와 마재윤선수의 스킨스 매치가 갑자기 기대되는군요. [37] 보름달7380 08/03/15 738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