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9/15 13:06:01
Name 점쟁이
File #1 nr1.gif (371.0 KB), Download : 22
File #2 nr2.gif (364.0 KB), Download : 14
Subject 로키2의 선택 - 김택용 선수의 패스트 아비터




※ 맵 이미지는 버서크광기님이 pgr 게임 게시판에 올려주신 곰TV3 로키2를 이용했음을 밝혀드립니다
https://www.pgr21.co.kr/zboard4/zboard.php?id=free2&page=3&sn1=&divpage=6&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32020


첫번째 이미지는
2시 앞마당에서 7시로 진출하는 경로입니다

로키는 센터의 최단 경로가
테란의 메카닉 병력이 지나갈 수 없는 좁은 길이므로
경로는 위와 같이 나타나죠

사실 좌측 경로에 윗언덕을 돌아서 가는 길이 하나 더 있지만
그 얘기는 조금만 있다가 하겠습니다


두번째 이미지는
김택용 선수가 활용한 언덕 방어입니다

패스트 아비터를 선택한 김택용 선수가
과감히 로보틱스를 버리면서 생기는
마인 피해에 무방비로 노출된다는 최대 약점을
드라군들이 부지런히 좌우 언덕을 움직이며 사수했죠

그 결과 마인 걱정 없이 활보할 수 있는
연두색 테두리 비수 안전 지대를 만들었습니다
(본진과 뒷마당은 원래 안전하고요 ※예외:드랍쉽 플레이)

실은 좌측 경로에 윗길이 하나 더 있지만
초반에 병력이 적을 때는 언덕 좌우 번갈아 지키기도 힘들었기 때문에
보라색 점 부근에 파일런을 소환해서 벌쳐의 움직임을 감시했고
중반 이후엔 그 부근에 캐논을 지으며 벌쳐의 난입을 막았습니다

자신의 영역을 마음껏 활보할 수 있게 된 상황에서 남는 문제는
노옵상태에서 테란 진영으로의 진로를 막는 마인인데..
이건 처음부터 리콜로 날라갈 속셈이었던 것이고요


김택용 선수는 몇주 전 KT 와이브로 아마츄어 스타배틀에서도
노로보틱스 패스트 아비터를 보여줬지만
그 때는 아마츄어와의 경기니까
일부러 프로와의 갭을 보여주기 위한 플레이라고 생각했었는데
로키의 맵분석을 통해 패스트 아비터 가능성을 엿보고
일찍부터 열심히 연습한 것 같습니다


이영호 선수 승자전 간다는 자신감으로
로키2 연습이 부족했던 걸까요?

요즘 테란은 플토 상대로 아무렇게나 무난하게 해도 이기기 때문인지
맵 분석이 김택용 선수에게 뒷처졌고
2스캔은 사기, 3스캔부터는 맵핵 소리를 듣는 정보력에도 불구하고
패스트 아비터를 눈치챘을 뿐
당연히 옵저버가 어딘가에 있을 거란 고정관념으로
노옵저버의 약점인 드랍쉽 마인 플레이를
첫드랍이 쉽게 막혔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선보이지 않았습니다
(막판 드랍쉽은 이미 승기가 완벽히 넘어간 후라 무의미)

로얄로더 0순위였던 선수라 아쉬움이 많이 남네요



ps 제목에서 맵명과 선수명 교체는 서비스 유머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arq.Gstar
07/09/15 13:12
수정 아이콘
수비형 유머를 구사하셨군요 (....)
사상최악
07/09/15 14:10
수정 아이콘
아무리 잘 보려고 해도 테란이 토스 상대로 많이 힘들겠네요.
오맙소사
07/09/15 15:28
수정 아이콘
좋은 글 감사합니다..^^
꼬꼬마
07/09/15 16:35
수정 아이콘
생각해보니까 아마추어와의 경기에서 노로보틱스 패스트 아비터를 선보였었네요.
07/09/16 00:26
수정 아이콘
배넷어택 김택용선수 편 아무리 뒤져봐도 그런 경기 없는데...-_-; 좀 알려주세요.
07/09/16 01:11
수정 아이콘
무난히하면 테란이 이기는건 이전이고
요즘은 무난히하면 플토가 이기지 않나요? =_=
점쟁이
07/09/16 01:55
수정 아이콘
Dizzy님// 으아~~악! 죄송합니다;
최근 아마랑 붙었던 경기라 당연히 배넷어택인 걸로 기억하고 있어서; 확인도 않고 올렸네요
지금 확인해보니 KT 와이브로 & 1to1 아마츄어 스타 배틀 4회 김상민(T) vs 김택용(P) 파이썬 경기입니다
경기 후 유병준 해설이 옵저버 없이 끝내 테란 본진 밀었다고 극찬하는 경기입니다
확인 않고 올려서 Dizzy님 시간낭비 하게 만들어서 정말 죄송합니다
본문은 수정해두겠습니다

SkPJi님// 글쎄요.. 맵이나 선수 성향마다 다르겠지만
전진 건물이나 몰래 시리즈는 주로 플토가 사용하고 있고
똑같이 앞마당 먹고는 테란의 진출을 플토가 막을 수 없기 때문에
끊임없이 어떻게든 흔들어서 진출을 늦추는 것도 플토 쪽이고
요즘은 입구 안막고 건물 대충 지어도 상관없다는 식으로 선수들이 얘기한다고 들었고
결정적으로 무난하게 서로 먹고 싶은 만큼 자원 먹는 상황에서
테란이 질 이유는 없다고 생각하고 실제로도 그런 걸로 알고 있습니다
Saturday
07/09/16 05:52
수정 아이콘
SkPJi님// 동의합니다.
요즘은 테란이무난히가면 힘들죠
실력이 동급인경우 견제안하고 한방싸움가도 거의 플토가 유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269 이제동을 말하는 몇가지들 [53] 로바로바9943 07/10/09 9943 0
32268 WCG를 봤습니다. [21] zenith7507 07/10/09 7507 0
32267 아는 사람과 게임을 하는데 핵을 쓴다??....... [53] 샴페인슈퍼노9113 07/10/08 9113 0
32266 이스포츠 전용경기장 건립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17] 메딕아빠5208 07/10/08 5208 0
32265 MSL 16강 흥미진진.. [20] rakorn7646 07/10/08 7646 0
32264 WCG 2007 스타크래프트 우승 송병구! [21] 황제의마린8919 07/10/08 8919 0
32263 보리밟기. [13] XiooV.S26108 07/10/08 6108 0
32262 WCG 2007 그랜드파이널 최종 결과입니다. [36] Leeka7824 07/10/08 7824 0
32261 진영수 선수 아깝습니다. [4] Mars6723 07/10/08 6723 0
32260 황새 날아오르다! [23] ISUN7480 07/10/08 7480 1
32258 2년만에 스타를 다시 시작하도 느낀점.. [21] 머신테란 윤얄7626 07/10/07 7626 0
32257 WCG 2007 그랜드파이널 현재까지 성적 정리. [20] Leeka8053 07/10/07 8053 0
32256 양대리그 16강. 살펴보기 [17] Leeka5972 07/10/07 5972 0
32255 PGR 평점 랭킹 - 10월 6일 [5] ClassicMild4871 07/10/07 4871 0
32253 WCG 메달집계 및 우리나라의 우승가능성(수정) [23] hyungiloveoov6309 07/10/07 6309 0
32252 WCG2007 토너먼트 1일차 경기 결과 [5] 행복한 날들5347 07/10/07 5347 0
32251 마재윤 선수 8강 경기 영상 [68] 은피우유10169 07/10/07 10169 0
32249 케스파 랭킹 1위. 송병구 선수의 2007시즌 성적. [20] Leeka5968 07/10/07 5968 0
32247 한밤의 시애틀발 대참사... 송병구선수의 확끈한 복수전을 기대하면서 [81] 처음느낌8816 07/10/07 8816 0
32245 헉....... 이럴수가;;(WCG 스타 스포일러있어요.) [66] SKY928087 07/10/07 8087 0
32244 WCG 2007 워크래프트3 8강전(스포일러 주의) [22] [couple]-bada5161 07/10/07 5161 0
32242 박성준의 투신이라는 이름의 값어치.. [18] TaCuro5267 07/10/07 5267 0
32241 한상봉선수방식 테란한테 통하는 건가요? [26] yangjyess6533 07/10/06 653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