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7/26 19:00:23
Name 彌親男
Subject 차기시즌 시드권자 분석 2 - 곰TV MSL S3 1 ~ 5위
곰TV MSL S3 5위 - 마재윤(CJ Entus, Z or T)

전 시즌 성적 => 4강 진출 실패 (6승 4패, 승률 60%)

vs T : 3승 3패 (vs 안상원 1승, vs 이성은 2승 3패)

vs Z : 0승 1패 (vs 박태민 1패)

vs P : 3승 0패 (vs 송병구 2승, vs 허영무 1승)

이번시즌 32강에서부터 이슈를 만들어왔던 마재윤 선수입니다. 결국 그의 첫 테란 도전은 상처뿐이 되었지만 그 후에는 마재윤 다운 모

습을 잘 보여줬습니다. 16강에서 당시 최고의 포스를 뿜어내던 중인 송병구 선수를 노동드랍과 깔끔한 방어로 2:0으로 셧아웃시킵니다.

하지만, 8강에서 그는 또다른 이슈메이커였던 이성은 선수에게 엄청난 명경기를 함께 만들면서 3:2로 아쉽게 패하고 맙니다. 비록 8강

에서 탈락했지만 아직 그의 전성기가 끝났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들은 별로 없습니다. 그의 곰TV MSL S3도 기대가 됩니다.




곰TV MSL S3 4위 - 박태민 (SK Telecom T1, Z)

전 시즌 성적 => 결승 진출 실패 (8승 3패, 승률 72.7%)

vs T : 4승 0패 (vs 염보성 2승, vs 안상원, 마재윤 1승)

vs Z : 3승 0패 (vs 박성준 3승)

vs P : 1승 3패 (vs 김택용 1승 3패)

8강까지 극강의 포스를 달리다가 김택용 선수의 후덜덜한 저그전에 아쉽게 탈락해버린 박태민 선수입니다. 위에서 나와있는 기록을 보

면 알겠지만 테란전과 저그전은 전승입니다. 이때까지는 7전 전승으로 '당골왕배때의 포스가 돌아오는 구나.' '이번에는 우승 할 수 있

겠구나.'등 많은 화제를 모았지만 결과는 아쉽게 되었죠. 하지만, 그때까지 보여줬던 경기력은 굉장히 안정적이었기 때문에 다음시즌에

서도 좋은 활약을 보여주리란 기대는 갖게 됩니다.



곰TV MSL S3 3위 - 이성은 (Samsung KHAN, T)

전 시즌 성적 => 결승 진출 실패 (9승 6패, 승률 60%)

vs T : 4승 1패 (vs 최연성 2승 1패, vs 임요환, 고인규 1승)

vs Z : 3승 2패 (vs 마재윤 3승 2패)

vs P : 2승 3패 (vs 송병구 2승 3패)

4강까지 곰TV MSL S2에서의 주인공 역할이었던 이성은 선수. 하지만 테란전에서의 무결점 총사령관이라는 송병구 선수에게 아쉽게 2

:3으로 패하면서(속설에서는 5:0이라고도 하지만) 그의 돌풍은 끝나고 맙니다. 하지만, 공식전 다전제에서 마재윤을 이긴 최초의 테란

이라는 영원히 없어지지 타이틀을 얻은 것 만으로도 이번 시즌은 성공일지도 모르겠습니다.(물론 본인에게는 끝도 없이 아쉽겠지만.)




곰TV MSL S3 2위 - 송병구 (Samsung KHAN, P)

전 시즌 성적 => 준우승 (13승 7패, 승률 65%)

vs T : 9승 2패 (vs 이성은 3승 2패, vs 강구열 3승, vs 염보성, 이재호, 서지훈 1승)

vs Z : 0승 2패 (vs 마재윤 2패)

vs P : 4승 3패 (vs 김택용 2승 3패, vs 강민, 박영민 1승)

이번 시즌 정말 산전수전공중전 다 겪고 간신히 결승에 진출했던 송병구 선수입니다. 전적에서도 보이지만 이번시즌에만 무려 20전을

치뤘습니다. 오히려 준우승을 하였기 때문에 논쟁이 되지 않았던 대 저그전 2패는 다음 시즌까지 꼭 보완해야만 하는 과제입니다. 그에

비해 9승 2패를 기록한 테란전은 이번시즌 가장 테란전을 잘 했던 프로토스라는 것에 전혀 의심의 여지를 남기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온게임넷에서의 약간의 아쉬움과 결승전에서의 아쉬움은 다음시즌에 대한 기대를 갖게만 합니다.




곰TV MSL S3 1위 - 김택용 (MBCgame HERO, P)

전 시즌 성적 => 우승 (13승 6패, 승률 68,4%)

vs T : 6승 2패 (vs 진영수 3승 2패, vs 이재호 2승, vs 장용석 1승)

vs Z : 4승 2패 (vs 박태민 3승 1패, vs 김남기 1승, vs 이주영 1패)

vs P : 3승 2패 (vs 송병구 3승 2패)

프로토스의 기적의 혁명가. 프로토스 최초로 메이저대회 2연속 우승등 프로토스에서의 새로운 역사를 이끌어나가고 있는 김택용 선수

입니다. 특히 이번시즌에서는 대 테란전, 대 저그전, 대 프로토스 전에서 모두 5전 3선승제 승리를 거두면서 그에 대한 몇 가지 의혹들

을 불식시켰습니다. 이제 그에게 남은것은 온게임넷에서의 성적과 포스트시즌에서의 승리겠죠.


곰TV MSL S3 시드 분석

총 10명 중

테란 : 4명

저그 : 4명

토스 : 2명

승률

70% 이상 : 2명

65 ~ 70% : 2명

60 ~ 65% : 2명

55 ~ 60% : 1명

50 ~ 55% : 3명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다크드레곤
07/07/26 20:22
수정 아이콘
마재윤선수 종족보고 한참 웃었네요..과연 이번에도 테란실력을 보여줄지 궁금하네요^^
07/07/26 23:35
수정 아이콘
70%넘는 승률을 가진 4위..
07/07/27 09:35
수정 아이콘
기적의 혁명가..
진리탐구자
07/07/28 11:30
수정 아이콘
음- 근데 왜 박태민 선수가 4위이고 이성은 선수가 3위인가요?
彌親男
07/07/28 21:59
수정 아이콘
진리탐구자님// 여태까지 MSL은 탈락했던 가장 상위라운드에서 따낸 경기 횟수로 등수를 정하더군요. 즉, 박태민 선수는 4강에서 1:3으로 졌고 이성은 선수는 4강에서 2:3으로 졌기 때문에 박태민 선수가 4위, 이성은 선수가 3위입니다. 위 순위는 물론 그 전까지 MSL에서 3,4위를 정하던 방식을 적용한 것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221 Replay Analyzer v 0.1 [14] 프렐루드5082 07/10/04 5082 0
32220 저그에 가능성에 대해서 [22] 펠릭스~6185 07/10/04 6185 0
32219 Flying Circus [16] 총알이모자라5360 07/10/04 5360 0
32218 @@ 작년과 올 해의 피지알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29] 메딕아빠6238 07/10/04 6238 0
32216 임요환- 클래스는 영원하다 [32] 신상혁7440 07/10/04 7440 0
32215 임요환도 통하지 않네? [111] 낭만토스14637 07/10/03 14637 0
32214 WCG 2007 - ongamenet 및 WCG 홈페이지 생방송 일정 [18] kimbilly6597 07/10/03 6597 0
32211 프로리그 이왕이면 연전으로 하는게 낫지 않을까요? [20] SkPJi5683 07/10/03 5683 0
32209 제3의 물결 [12] Lunatic Love5907 07/10/03 5907 0
32207 이기기 어려운 선수, 이길 수 없는 선수 [24] 삭제됨7235 07/10/03 7235 0
32206 그는 왜.....[마재윤 vs 이영호 뒷북 후기] [20] The Greatest Hits8009 07/10/03 8009 0
32203 산전수전 - 저그로 플레이하면서 느낀 어려움 [32] 소현6093 07/10/02 6093 0
32202 프로리그, 개인리그에서 저그가 이기는 모습을 보고싶다. [43] 삼삼한Stay5846 07/10/02 5846 0
32201 오늘의 프로리그 한빛 vs MBC, STX vs 위메이드- 얘기해 봅시다. [86] 4thrace6659 07/10/02 6659 0
32200 이러고 있다~ 이러고 있다~ [7] 프렐루드4548 07/10/02 4548 0
32199 이제동이 다른 저그들과 조금은 다른점. [32] Akira8802 07/10/02 8802 0
32198 평가절하받는 프로리그 에이스들. [113] 파벨네드베드9591 07/10/02 9591 0
32197 PGR에는 필진들이 필요합니다. (게임게시판 활동량 감소에 대한 이야기...) [30] 모짜르트6278 07/10/02 6278 0
32195 네이버 스포일러... 후우, 난감하네요 [28] 그렁그렁6383 07/10/02 6383 0
32194 Kespa. 통합랭킹을 없애자. [24] 골든마우스!!5501 07/10/01 5501 0
32193 송병구 선수가 Kespa 랭킹 1위 자리에 등극했군요! [32] 비수6998 07/10/01 6998 0
32191 마재윤 vs 이영호(T) 맵탓? 잘못된 운영? [76] 낭만토스9525 07/10/01 9525 0
32190 프로리그에서 잘나가는 선수들은 프로리그에서만 잘나간다? [122] 로바로바5730 07/10/01 573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